| <colbgcolor=#003876,#000000><colcolor=#ffffff,#e0e0e0> 제2대 부경대학교 총장 강남주 姜南周 | |
| | |
| 출생 | 1939년 7월 5일 |
| 경상남도 하동군 | |
| 사망 | 2025년 6월 25일 (향년 86세) |
| 국적 | |
| 가족 | 배우자 안진강 장녀 강유나 장남 강준 차녀 강유경 |
| 학력 | 동아고등학교 (졸업) 부경대학교 (수산경영학 / 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박사) |
| 경력 | 부산MBC 기자 (1964~1968) 중앙일보 보도국 차장 (1968~1978) 부경대학교 교수 (1978~2004) 부경대학교 총장 (2000~2004)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집행위원 (2003)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위원 (2004) 중국인민대학 명예교수 (2004) 제1대 부산문화재단 대표이사 (2009) 부산문화재단 조선통신사문화사업 한국추진위원회 학술위원 위원장 (2014) |
| 직업 | 교육인, 시인 |
1. 개요
대한민국의 교육인, 시인.2. 생애
1939년 7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나 동아고등학교와 부경대학교 수산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부경대학교의 전신인 부산대학교의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부터 부산MBC에서 기자로 일했고 1968년 4월부터는 중앙일보 보도국 차낭을 역임했다.1973년에는 첫 시집 '해저의 숲'을 내며 작가의 길에 발을 내딛었다. 1975년에 시문학에 추천이 완료되고 동인 목마의 일원으로 시를 써냈다.
1978년 4월부터 부경대학교에서 문학 교수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약 20년간 교수 생활을 하다가 총장직을 역임했다.
총장직을 끝낸 후에도 조선통신사 문화사업회 집행위원장,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일공동등재 학술위원장, 중국인민대 명예교수, 이주홍문학재단 이사장, 부산문화재단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2013년에는 문예지 문예연구에 응모한 소설이 당선되며 소설가로 등단했다. 2019년까지 시집 10권과 소설 4권을 발매했다.#
2.1. 사망
2025년 6월 25일 새벽에 사망했다. 향년 86세.#3. 저서
3.1. 시집
- 해저의 숨 (1972)
- 바느질 (1975)
- 떠도는 자의 일기 (1981)
- 새와 머리카락 (1983)
- 가고싶은 수렵시대 (1987)
- 장자의 바가지 (1992)
- 파도를 건너는 천년의 노래 (1992)
- 낯선 풍경 속으로 (2008)
- 흔적 남기기 (2018)
3.2. 산문집
- 사랑이 없는 시대 (1993)
- 돌아가길 잘했다 (2004)
3.3. 소설
- 사랑은 두 번 오지 않는다 (1992)
- 유마도 (2017)
- 따로 쓰게된 방 (2019)
- 비요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