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black,#ddd>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가면라이더 | |||||||
류우키 | 나이트 | 졸다 | 오쟈 | 시저스 | 라이아 | 가이 | ||
타이가 | 임페러 | 베르데 | 팜 | 류우가 | 오딘 | 어비스 | ||
의사 라이더(유사 라이더) | ||||||||
얼터너티브 / 얼터너티브 제로 | ||||||||
← 아기토 라이더 목록ㆍ555 라이더 목록 → |
역대 헤이세이 가면라이더의 1호 라이더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헤이세이 1기 | |||||
| 가면라이더 쿠우가 (고다이 유스케) | | 가면라이더 아기토 (츠가미 쇼이치) | |||
| 가면라이더 류우키 (키도 신지) | | 가면라이더 파이즈 (이누이 타쿠미) | |||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켄자키 카즈마) | | 가면라이더 히비키 (히비키) | |||
| 가면라이더 카부토 (텐도 소우지) | | 가면라이더 덴오 (노가미 료타로) | |||
| 가면라이더 키바 (쿠레나이 와타루) |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카도야 츠카사) | |||
헤이세이 2기 | ||||||
| 가면라이더 W (히다리 쇼타로 & 필립) | | 가면라이더 오즈 (히노 에이지) | |||
| 가면라이더 포제 (키사라기 겐타로) | | 가면라이더 위자드 (소우마 하루토) | |||
| 가면라이더 가이무 (카즈라바 코우타) | |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토마리 신노스케) | |||
| 가면라이더 고스트 (텐쿠지 타케루) |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호죠 에무) | |||
| 가면라이더 빌드 (키류 센토) | | 가면라이더 지오 (토키와 소고) | |||
← 쇼와 라이더 목록ㆍ레이와 1호 라이더 목록 → | }}} |
<colbgcolor=#cc0000><colcolor=lightgray>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등장 가면라이더 | |||
| |||
명칭 | <colcolor=black,white><colbgcolor=white,#191919> 가면라이더 류우키(드래건) 仮面ライダー龍騎 KAMEN RIDER RYUKI | ||
장착자 | 키도 신지 | ||
사카키바라 코이치[1] | |||
타츠미 신지[2] | |||
아담[3] | |||
킷 테일러[4] | |||
타츠오[5] | |||
{{{#!folding 【 기본 스펙(통상 형태 기준) 보기/접기 】 | <colbgcolor=#cc0000><colcolor=lightgray> 변신벨트 | <colcolor=black,white><colbgcolor=white,#191919> V 버클 | |
키 | 190cm | ||
무게 | 90kg | ||
펀치력 | 200AP = 10t | ||
킥력 | 400AP=20t | ||
도약력 | 35m | ||
주력 | 100m를 5초에 주파 | ||
주무장 | 드래그 세이버 드래그 클로 드래그 실드 | ||
주요 아이템 | 어드벤트 카드 드래그 바이저 | ||
전용 탈것 | 라이드 슈터[6] 드래그렌저[7] | ||
테마곡 | Alive A Life 끝없는 생명 Revolution | ||
슈트 액터 | 타카이와 세이지 | ||
나카타 유지[8] |
[clearfix]
1. 개요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1호 라이더. 키도 신지가 변신하며 TV스페셜판에서는 신지 이전의 선대 류우키로 사카키바라 코이치가 변신했다. 격투 타입.류우키(龍騎)란 이름은 '용(龍)의 기사(騎士)'라는 말.[9] 국내 방영때는 드래건(Dragon)[10], 북미판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의 명칭은 드래곤 나이트(Dragon Knight).
기본 컬러는 빨강색. 드래그레더와의 계약 전과 드래그레더의 카드를 도둑맞았을 때에는 계약몬스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블랭크체가 됐었다. SURVIVE 열화를 사용해 강화형태인 류우키 서바이브로 변신할 수 있다. 변신해서까지 웃긴 라이더로 유명한 녀석이다. 가면라이더 덴오의 덴오 플랫폼 등장 전까지는 가장 허약한 라이더라고 불리고 있었고, 농담삼아 나오는 최약체 라이더 중 하나로 블랭크체가 꼽힐 정도.
류우키를 이길만한 라이더는 오딘, 졸다, 오쟈, 얼터너티브 정도고, 서바이브를 하면 오딘을 제외한 라이더 중 맞 붙을수 있는 라이더가 유나이드 밴트 제노사이더를 사용하는 오쟈 정도고 중에서는 이길 자가 없을 정도로 매우 강하다. 문제는 신지가 라이더 배틀을 하지 않고 싸움을 말리고 있기 때문에 항상 바닥에 구르는 역이라는 것. 만약에 신지가 라이더 배틀에 적극적으로 나온다면 웬만한 라이더들은 신지한테 개털렸을 것이다.
본작에서 라이더의 전투력은 표면적인 스펙 이상으로 장착자의 신체능력이나 전투센스도 상당히 중요한데,[11] 류우키는 스펙도 높으면서 신지가 마음만 먹으면 싸우기도 잘 싸우기 때문에 상당히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가면라이더의 눈[12]을 디자인에 사용하고 있으며, 신지의 변신 포즈는 가면라이더 1호를 오마주한 거다. 그 외에도 주역 라이더인 류우키, 나이트, 졸다는 각각 초대 가면라이더의 눈, 입, 더듬이를 디자인에 사용하고 있다.[13]
류우키의 가면라이더 전원도 마찬가지이지만 서바이브 외에는 폼 체인지와 중간 폼이 없는 헤이세이 라이더이다.[14][15]
2. 폼
2.1. 블랭크체
신장: 190cm 체중: 90kg 최고시력: 약 5km / 최고청력 : 약 5km 최고속도: 8초에 100m 주파 점프력: 수직 10m 공격력: 펀치력 50AP (2.5톤), 킥력 100AP (5톤) 소환기: 라이드 바이저 소드 벤트: 라이드 세이버 (300AP, 프리카드) 가드 벤트: 라이드 실드 (300GP, 프리카드) 특수카드: CONTRACT (프리카드), SEAL (프리카드) |
龍騎 ブランク体
처음 신지가 아무것도 모른 채 얼떨결에 변신한 형태. 몬스터와 계약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능력이 아주 바닥을 긴다.
색도 흑백계열이고, 별다른 문양도 없다. 류우키 블랭크체가 사용하는 어드벤트 카드는 공통적으로 모든 라이더의 블랭크체와 동일하다.
중반부에 드래그레더와의 계약카드 (ADVENT)를 도둑맞았던 적이 있는데, 그 때문에 라이더 시스템이 계약 몬스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서 변신했을 때 이 블랭크체가 됐었다.
PS용 격투게임에도 등장하며 어드벤트 카드라고는 소드벤트 하나밖에 없는데, 이마저도 칼질 한번하면 칼이 부러지며 리치가 반으로 줄어든다. 그리고 명대사 "부러졌다?!"가 음성으로 나온다.
북미판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의 명칭은 가면라이더 블랭크나이트.
2.1.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아래에 서술한 어드벤트 카드는 가면라이더 류우키에서 등장하는 모든 가면라이더의 블랭크체들이 공통으로 소지한 카드들이다. 라이드 바이저 ライドバイザー / Ride Visor |
|
왼팔에 장비된 건틀렛 형태의 바이저. 방어 기능은 없다.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할 땐 바이저의 상부커버를 열고 안에 장전한다. |
소드 벤트 - 라이드 세이버 ライドセイバー / Ride Saber | |
| |
300AP | |
프리카드. 장검 형태이기는 하지만 미러 몬스터에게 흡집 하나 낼 수 없는 최약의 장비다. 작중에서 나이트의 소드 벤트를 소환하는 걸 보고 따라해서 소환했다. 그리고 디스파이어에게 돌격해 내려치지만 시원하게 두동강난다. 이때 신지의 명대사, "부러졌다?!"[16] |
가드 벤트 - 라이드 실드 ライドシールド / Ride Shield |
300GP |
프리카드. 설정상으론 존재하지만, 극중에서 사용한 적이 없는 것을 넘어 카드 도안이나 설정화조차 없다. |
계약(CONTRACT) 카드 |
|
항목 참조 |
봉인(SEAL) 카드 |
|
항목 참조 |
2.2. 류우키
신장: 190cm 체중: 90Kg 최고 시력: 약 15km / 최고 청력: 약 15km 최고 속도: 5초에 100m 주파 점프력: 한번에 35m 공격력: 펀치력 200AP (10톤), 킥력 400AP (20톤) 소환기: 용소기갑 드래그바이저 계약몬스터: 무쌍용 드래그레더 소드 벤트: 드래그 세이버 (2000AP) / 용무참 (2000AP)[a] 스트라이크 벤트: 드래그 클로 (2000AP) / 승룡돌파 (3000AP)[a] 가드 벤트: 드래그 실드 (2000GP) / 용권 방어 (3000GP)[a] 파이널 벤트: 드래곤 라이더 킥 (6000AP) |
龍騎
드래그레더와 계약해 완전한 모습이 된 형태. 디자인 모티브는 기사 + 용. 초대 가면라이더와 같은 커다란 겹눈을 가지고 있다.
주력기는 소드 벤트(드래그 세이버)와 스트라이크 벤트(드래그 클로).[20] 일단 처맞고 구르는게 기본 일상이니만큼 가드 벤트(드래그 실드)도 자주 사용한다. 파이널벤트는 라이더에게 향한적이 거의 없기 때문도 있겠지만 높은 살상률을 자랑한다. 졸다의 엔드 오브 월드나[21], 나이트의 비상참, 타이가의 크리스탈 브레이크 등 다른 라이더의 파이널 벤트들은 류우키와는 달리 다른 라이더에게 많이 사용했지만, 상쇄되거나 맞아도 멀쩡, 도중에 캔슬되는 등 초랄한 상황이 많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살상률이 낮다.
사사건건 위기에 처하고 뻑하면 쳐맞고 구르는 역할이면서도 드래그레더의 높은 능력치 보정 덕에 막판까지 살아남는 초월맷집을 자랑하지만 높은 공격력으론 다른 라이더를 공격하질 않고, 높은 방어력으론 얻어맞기만 한다. 작품 인물들에게도 대놓고 무시당한다. 작품 내 공인 바보.
하지만 뒤집어 말하면 능력치 자체는 매우 높으며, 실제로 나이트와 일기토를 벌이는 에피소드에서는 간단한 연계기만으로 나이트에게 한 방 먹이고[22], 오쟈하고의 전투에서도 우위를 점한 적 있는데다[23] 임페러의 기습에 주춤했지만 스트라이크 벤트로 오히려 밀어붙였다[24]. 이런 판이니 만약 류우키가 진심으로 라이더 배틀에 참가했거나 강자급 라이더의 계약 몬스터가 드래그레더였다면 상황이 달라져도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코미컬 라이즈 버전에서 나이트 서바이브 상태로 다른 라이더들을 전부 발라버리거나, 극장판에서 자신보다 스펙이 한 단계 위인 류우가와 정면으로 맞붙어 싸워 이긴 것과[25] SIC에서 아예 라이더 배틀의 승자가 된 것[26]으로 볼 때 키도 신지 개인의 스펙도 상당히 출중할 것으로 추측된다.[27][28]
북미판에서는 원판에도 없는, 류우키 전용 바이크가 따로 존재한다. 이 점은 나이트도 마찬가지.
2.2.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어드벤트 카드는 자신의 소환기(바이저)에 삽입해서, 카드를 소비하는 대신 장비를 소환하거나 특수효과, 필살기 등을 발동시킬 수 있다. 단, 라이더로 1회 변신했을 때마다 기본적으로 카드 종류당 1장씩만 사용할 수 있다. 용소기갑 드래그 바이저 龍召機甲ドラグバイザー / Drag Visor |
|
왼팔에 장비된 건틀렛 형태의 바이저. 방어 기능은 없다.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할 땐 바이저의 상부커버를 열고 안에 카드를 장전한다. |
<colcolor=black>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드래그 세이버 드래그 클로 류우가 버전 | 윙 랜서 | ||
기가 런처 기가 캐논 기가 혼 | 베노 사벨 | 시저스 핀치 | 에빌 휩 | |
메탈 혼 | 데스트 클로 | 가젤 스탭 | 바이오 와인더 | |
윙 슬래셔 | 골트 세이버 | 어비스 세이버 어비스 클로 | 슬래시 대거 | |
← 아기토 무기 목록 ㆍ555 무기 목록 → | }}} |
소드 벤트 - 드래그 세이버 ドラグセイバー / Drag Saber | |
| |
2000AP | |
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의 꼬리를 본뜬 유엽도로, 신지가 주력으로 사용하는 장비이다. 두께 40cm의 철벽도 단숨에 두동강내버리는 위력을 지녔다. 점프 후 수직으로 내려베는 용무참(龍舞斬, 2000AP)이란 기술을 쓸 수 있으며[a] 극중에서는 3화에 등장. 다만 이 기술은 미러 몬스터가 하늘로 날린 드래그 세이버를 붙잡으며 임기응변으로 사용한걸 기술로 붙인 느낌이 강하다. 실제 승룡돌파와 달리 AP가 드래그 세이버와 같은 2000에 사용횟수가 저조한 편. |
스트라이크 벤트 - 드래그 클로 ドラグクロー / Drag Claw | |
| |
| |
2000AP | |
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의 머리를 본뜬 건틀릿형 무기로, 오른손에 장비해 사용한다. 류우키가 드래그세이버 다음으로 애용하는 주력 장비. 드래그세이버에 비해 길이가 짧지만 활용도가 더 높고 상당히 다재다능한 무기다. 기본 용도는 강력한 펀치를 날리는 용도지만[30] 건틀릿답게 방어용으로도 쓸 수 있다.[31]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가장 중요한 장점은 전용 기술 승룡돌파(昇竜突破, 3000AP)이다.[a] 드래그레더의 드래그브레스는 매우 강력하지만 아무데나 난사해 대는 습성 탓에 통제가 불가능한데, 드래그클로를 사용하면 드래그레더를 통제할 수 있어 불필요하고 부정확한 난사 없이 정밀한 저격이 가능하다. 즉 승룡돌파를 쓸 때의 드래그클로는 사실상 표적지시기 역할을 하는 것 뿐이다. |
가드 벤트 - 드래그 실드 ドラグシールド / Drag Shield | |
| |
2000GP | |
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의 복부를 본뜬 2개의 방패. 소환시 양 어깨에 장비되며, 주로 드래그 세이버와 연계해서 사용한다. 일단 맞고 구르는게 기본 일상이니만큼 이 드래그 실드도 자주 사용한다. 또한 드래그 실드를 직접 양손에 들고 정면공격을 막거나 적을 밀치는 용권방어(竜巻防御, 3000GP)란 기술이 있다.[a] 이 기술로 가이의 파이널 벤트를 막아낸 적도 있다. 가면라이더 배틀라이드 워 시리즈에선 용권방어는 공격기술이 되었다. 용권방어 자세에서 돌진하여 적을 공격하는 방식. 물론 원래 용도가 용도인 만큼 전방에 가드판정이 존재한다. |
어드벤트 - 드래그레더 |
|
류우키의 계약 몬스터. 항목 참조 |
파이널 벤트 - 드래곤 라이더 킥 ドラゴンライダーキック / Dragon Rider Kick |
|
6000AP |
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와 함께 공중으로 떠올라, 뒤에서 드래그레더의 화염을 받아서 적에게 라이더 킥을 먹이는 피니시 기술. 류우키의 성격상 필살기를 거의 몬스터에게만 시전하기 때문에 적중률이 매우 높다.[36] |
서바이브 -열화- サバイブ -烈火- |
|
칸자키가 싸움을 거부하는 신지에게 싸움을 재촉하게 하기 위해 건네준 카드. 라이더와 계약몬스터를 진화시키는 강력한 카드로 최강의 미러몬스터인 골트 피닉스의 힘의 일부가 담겨있다. |
2.3. 류우키 서바이브
<colcolor=black,#ddd> 헤이세이 가면라이더의 1호 라이더 최종 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헤이세이 1기 | |||
| 가면라이더 쿠우가 얼티밋 폼 | | 가면라이더 아기토 샤이닝 폼 | |
| 가면라이더 류우키 류우키 서바이브 | | 가면라이더 파이즈 블래스터 폼 | |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킹 폼 | | 가면라이더 히비키 암드 히비키 | |
| 가면라이더 카부토 하이퍼 폼 | | 가면라이더 덴오 라이너 폼 | |
| 가면라이더 키바 엠페러 폼 |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컴플리트 폼 | |
헤이세이 2기 | ||||
| 가면라이더 W 사이클론 조커 엑스트림 | | 가면라이더 오즈 프트티라 콤보 | |
| 가면라이더 포제 코즈믹 스테이츠 | | 가면라이더 위자드 인피니티 스타일 | |
| 가면라이더 가이무 키와미 암즈 | |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타입 트라이도론 | |
| 가면라이더 고스트 무겐 다마시 |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무테키 게이머 | |
| 가면라이더 빌드 지니어스 폼 | | 가면라이더 지오 그랜드 지오 | |
레이와 1호 라이더 최종 폼 → |
신장: 193cm 체중: 95Kg 최고시력: 약 20km / 최고청력 : 약 20km 최고속도: 4.5초에 100m 주파 점프력: 수직 45m 공격력: 펀치력 300AP (15톤), 킥력 500AP (25톤) 소환기: 드래그바이저-츠바이 계약몬스터: 열화용-드래그렌져 소드 벤트: 드래그 블레이드 (3000AP) 슛 벤트: 메테오 불렛 (4000AP) 가드 벤트: 파이어 월 (4000GP) 파이널 벤트: 드래곤 파이어스톰 (9000AP) 특수카드 : STRANGE VENT (프리카드) |
류우키가 'SURVIVE 열화' 카드를 사용해 강화된 형태. 능력치가 류우키 기본폼에 비해 엄청나게 상승하고 있다. 슈트의 색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 되며 갑옷 부분은 빨간색을 띄고 있다.
류우키가 카드덱에서 이 카드를 꺼내면, 주위에서 불길이 일어나며 바이저가 '츠바이' 형태로 변한다. 츠바이형태가 된 바이저에 서바이브카드를 VENT IN 하면 「SURVIVE」란 음성과 함께 류우키 서바이브로 변신하게 된다. 극장판 결말에선 바로 이 형태로 변신했다.
류우키 기본 폼의 스텟이 기본적으로 최강급이었기 때문에 류우키 서바이브 역시 작중 2위의(1위는 요지부동의 먼치킨 오딘) 최강급 능력치를 자랑한다. 실제로 작 중 서바이브 상태에서 오딘을 제외하면 전투에서 고전한 적이 없다![37][38]
키도 신지 문서에도 있지만, 첫 류우키 서바이브 변신 연출은 역대 가면라이더 최종 폼 첫 변신신 중 최고의 명장면으로 손꼽히고 있다.
- 변신음
Survive
2.3.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드래그바이저 츠바이 ドラグバイザーツバイ / DragVisor-Zwei |
|
드래그바이저가 변형된 권총형 소환기. 평상시엔 왼쪽 허리에 장비한다. 입 안의 장전구에는 서바이브 카드를 장전하며, 측면의 장전구에 다른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한다. 바이저 끝부분의 칼날을 전개시켜 소드 벤트(드래그 블레이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슛 벤트(메테오 불렛) 사용시 공격 대상을 레이저빔으로 지정하는 포인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외형에 맞게 레이저빔, 화염탄 등을 발사하는 사격무기로도 사용 가능하다. 사족으로 총구는 입이 아니라 아래턱 밑에 위치해 있다. |
소드 벤트 - 드래그 블레이드 ドラグブレード / Drag Blade | |
| |
3000AP |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바이저 끝부분의 칼날을 전개시켜 사용하는 검 모드. 두께 60cm의 철판도 두동강 낼 수 있다. 어드벤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냥 전개시킬 수 있다. |
슛 벤트 - 메테오 불렛 メテオバレット / Meteor Bullet |
|
4000AP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류우키가 바이저로 레이저를 쏴 공격 대상을 포인트하면 드래그렌저가 그 대상을 향해 초고열의 화염탄을 발사하는 기술이다. 통상 류우키의 승룡돌파와 비슷한데, 류우키가 드래그랜저가 연계하여 적을 향해 화염탄을 발사하는 것이 서로 비슷하다. |
가드 벤트 - 파이어 월 ファイヤーウォール / Fire Wall |
|
4000GP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드래그렌져를 소환해 그 육중한 몸통으로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기술. 작중에선 오쟈의 헤비 프레셔(파이널 벤트)를 막아낸 적이 있다. 그것도 아주 여유롭게 가만히 서서.[39] 노멀 류우키의 가드벤트와 마찬가지로 배틀라이드 워 시리즈에선 공격기술이 되었다. 류우키 서바이브 주변을 드래그렌저가 휘저으면서 공격하는 기술로 이쪽 역시 (원래의 목적대로) 가드 판정이 존재한다. |
스트레인지 벤트 |
|
프리카드. 바이저에 한번 VENT IN 하면 무작위로 특수능력 카드[40]로 변화되어 방출되고, 다시 한번 바이저에 VENT IN 하면 그 카드로서 능력을 발동시킨다. 나이트 서바이브와 1대1로 붙는 화에서는 나이트의 트릭벤트를 복사, 12명의 류우키 서바이브와 12명의 나이트 서바이브가 싸우는 초랄한 상황도 보여주었다(...) |
트릭 벤트 - 섀도우 일루전 シャードイリュージョン / Shadow illusion |
|
2000AP |
스트레인지 벤트가 변화해 생성된 카드. 나이트의 카드와 같다. |
스틸 벤트 |
|
스트레인지 벤트가 변화해 생성된 카드. 오딘의 가드 벤트를 강탈했지만 오딘이 스틸 벤트를 사용해 되찾아 갔다. |
파이널 벤트 - 드래곤 파이어 스톰 ドラゴンファイヤーストーム / Dragon Fire storm |
|
9000AP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드래그렌져(바이크 모드)를 타고 돌격하며 앞바퀴를 든 뒤 적에게 다량의 화염탄을 연속발사하며 그대로 돌진하여 앞바퀴로 적을 짓뭉개는 피니시 기술. 몬스터 살상률 100%라는, 가면라이더 류우키에서는 매우 이례적으로 초월적인 위력을 자랑한다.[41] 드래곤 라이더 킥은 그래도 회피하거나 튕겨내는 몬스터도 종종 있었지만, 드래곤 파이어스톰은 모든 몬스터들이 쏟아지는 화염탄에 우왕좌왕하다가 단숨에 개발살난다. 오딘에게도 위력 9000AP는 만만하지 않은 듯 순간이동 능력으로 피했다. 가면라이더 관련 게임에선 일본의 등급심의 때문에 피해를 가장 많이 본 기술. 일본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게임의 경우 탈것을 이용한 뺑소니 연출을 넣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연히 드래곤 파이어 스톰 역시 연출이 바뀔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게임에선 단순히 화염탄만 발사하고 마는 썰렁한 연출로 변경되었다. 다만 이건 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히어로즈 시리즈에서의 이야기이고 가면라이더 배틀라이드 워 II에선 화염을 뿜는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게 되었다. |
3. 계약 몬스터
3.1. 무쌍룡 드래그레더
3.2. 열화룡 드래그랜저
4. 각 신체 부위
4.1. 류우키
- 01. 지패트 슬랫 :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의지를 계약 몬스터인 드래그레더에게 전달해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한 원격 조작 디바이스 포인트. 팔, 어깨, 등, 허리, 무릎에 총 10개가 배치돼 있다.
- 02. 드래그 너클 : 수갑을 감싼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패널. 그 초경소재가 적에게 명중하는 것으로 류우키의 펀치의 위력이 최대로 강화된다.
- 03. 포스 본 : 몸 중앙, 양 팔다리, 등에 배치된, 류우키의 파워를 전신에 보내는 제어기관. 이 기관에 의해 잉여 에너지는 외부로 해방되고 적당량만이 보존된다.
- 04. V버클 : 용의 문장이 떠오른 카드덱. 여기서 어드벤트 카드를 뽑아내 상황에 맞는 전법을 선택할 수 있다.
- 05. 레그 블랙 : 순간적인 파괴력과 그 파괴에 의한 충격을 견디는 강도를 겸비했다. 덕분에 필살기 「드래곤 라이더 킥」을 날려도 자신은 멀쩡하다.
- 06. 드래곤 체스트 : 류우키의 몸은 강화피부 그란 메일과 특수소재의 블랙 아머로 보호받고 있다. 흉부는 여기에 강고한 장갑 드래곤 체스트를 추가한 3중 구조로, 이것을 파괴하기는 극도로 어렵다.
- 07. 드래그 바이저 : 카드리더식 소환기. 어드벤트 카드를 장전해서 드래그레더의 특수능력을 발동시킨다.
- 08. 그란 메일 : 수많은 몬스터의 공격을 견뎌내는 특수강화피부. 미러 월드에서의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증폭시켜 가면라이더로서 싸울 수 있게 하지만, 9분 55초의 제한시간이 있으며 시간이 다 되면 변신이 강제로 해제돼버린다.
- 09. 블랙 아머 : 강화피부인 그란 메일 위에 장착된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보호구. 다이아몬드에 필적하는 재질로 극도로 튼튼하다.
4.1.1. 두부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얼굴. 어떤 충격에도 버티는 경도를 지녀 충격을 거의 완전히 흡수해 내부의 장착자를 지켜낸다. 독가스 등 공기중의 유해물질을 무력화하는 정화장치 역할도 맡는다.
- 02. R 시그널 : 램프형의 레이더 센서. 적의 위치나 존재를 확실히 탐지한다.
- 03. 드래그 크라운 : 이마에 떠오른 용의 문장은,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계약 몬스터인 드래그레더의 힘을 얻었다는 증표다.
- 04. 레드 아이 : 15km 너머의 대상도 놓치지 않는 시력을 가진 눈. 어둠 속에서는 적외선 암시 능력을 발휘해 밝은 곳과 변함없이 싸울 수 있다.
4.2. 블랭크체
- 01. 지패트 슬랫 : 계약 몬스터를 조종하기 위한 원격 조작 디바이스 포인트. 미러 몬스터와 계약하지 않았기 때문에 쓰일 일은 없다.
- 02. 너클 :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수갑.
- 03. V버클 : 카드덱이 장전돼 있으며 전투시에는 여기서 어드벤트 카드를 뽑는다. 미러 몬스터와 계약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앙에는 문장이 없다.
- 04. 레그 블랙 : 순간적인 파괴력과 그 파괴에 견디는 방어력을 갖춘 강인한 다리.
- 05. 흉부 : 가면라이더에게 있어 가장 방어력이 뛰어난 부위. 미러 몬스터와 계약하면 더욱 단단해져 고고도에서의 낙하나 심해 1만m에서의 수압도 견딜 수 있게 된다.
- 06. 라이드 바이저 : 무기나 기술을 소환하기 위한 소환기. 미러 몬스터와 계약하지 않았기 때문에 강력한 장비나 기술은 소환할 수 없다.
- 07. 그란 메일 : 변신자의 몸을 감싼 특수강화피부. 미러 월드에서도 9분 55초 동안은 버틸 수 있다. 미러 몬스터와 계약하면 그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다.
- 08. 블랙 아머 : 초경물질 아메탈제. 다이아몬드에 맞먹는 경도를 가져 격렬한 충격에서 흉부를 보호한다.
4.2.1. 두부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마스크.
- 02. R 시그널 : 레이더 센서 역할을 맡고 있어 미러 몬스터의 위치나 존재를 감지해 알린다. 계약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도는 낮다.
- 03. 레드 아이 : 5km너머의 목표물을 식별하는 눈. 적외선 시력도 갖추고 있으며 미러 몬스터와 계약을 맺으면 그 능력이 100% 발휘된다.
4.3. 류우키 서바이브
- 01. 지패트 슬랫 : 가면라이더 류우키 서바이브의 의지를 계약 몬스터인 드래그랜저에게 전달해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한 원격 조작 디바이스 포인트. 팔, 어깨, 등, 허리, 무릎에 총 10개가 배치돼 있다.
- 02. 드래그 너클 : 강력한 펀치를 날릴 수 있게 하는,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수갑.
- 03. 포스 본 : 몸 중앙, 양 팔다리, 등에 배치된, 류우키 서바이브의 파워를 전신에 보내는 제어기관. 이 기관에 의해 잉여 에너지는 외부로 해방되고 적당량만이 보존된다.
- 04. V버클 : 가면라이더 류우키가 서바이브로 폼 체인지한 것에 의해 덱이 검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화했다.
- 05. 레그 블랙 : 순간적인 파괴력과 그 파괴에 의한 충격을 견디는 강도를 겸비했다.
- 06. 레드 디펜스 : 열화의 서바이브 어드벤트 카드의 영향으로 통상의 드래곤 체스트보다 강해진 갑옷.
- 07. 그란 메일 : 수많은 몬스터의 공격을 견뎌내는 특수강화피부. 미러 월드에서의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증폭시켜 가면라이더로서 싸울 수 있게 하지만, 9분 55초의 제한시간이 있으며 시간이 다 되면 변신이 강제로 해제돼버린다.
- 08. 골드 아머 : 열화의 서바이브 어드벤트 카드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은 부분. 그란 메일의 표면에 튼튼하면서 가벼운 보호구가 추가, 방어력이 향상되었다.
4.3.1. 두부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얼굴. 어떤 충격에도 버티는 경도를 지녀 충격을 거의 완전히 흡수해 내부의 장착자를 지켜낸다. 독가스 등 공기중의 유해물질을 무력화하는 정화장치 역할도 맡는다.
- 02. 드래그 필러 : 이마에 달린 2개의 초감각기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어도 계약 몬스터인 드래그렌져와 의사소통할 수 있다.
- 03. R 시그널 : 램프형의 레이더 센서. 미러 몬스터의 위치나 존재를 탐지한다.
- 04. 드래그 크라운 :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힘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떠오른 용의 문장. 색이 금색으로 변했다.
- 05. 레드 아이 : 적외선 암시 능력이 갖춰져 어둠 속에서도 밝은 곳과 변함없이 싸울 수 있다. 시력도 강화되어 20km 너머의 물체까지 볼 수 있게 되었다.
5. 기타
5.1.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에서
류우키의 세계의 가면라이더. 라이더 재판을 위해 만들어진 가면라이더로 ,장착자는 재판에 따라 선택된다. 현 장착자는 모모이 레이코 편집장의 관련인물인 타츠미 신지.
7화에서 파이널 폼 라이드로 류우키 드래그레더가 되기 위해 등짝이 열리는 굴욕을 겪었다. 하지만 완구 기믹으로는 가랑이가 찢어지는(!)변신 기믹인지라 어찌보면 등짝보다 더 나쁜 대우.[42]
1화에서 잠시 거울을 통해 미러월드에 비춰지는 모습이 나왔는데 이 세계의 류우키와는 다른 존재일 듯.
5.1.1. 파이널 폼 라이드: 류우키 드래그레더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파이널 폼 라이드 카드에 의해 변신한 모습.
기존 드래그레더와의 차이점은 몸통에 류우키의 몸통이 달려 있고 뒷발이 머리 쪽이 아닌 꼬리 쪽을 향해 있는 등, 류우키를 그대로 변신시킨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7화에 등장. 발동하면 류우키에게 드래그 세이버, 드래그 클로, 드래그 실드가 전부 자동으로 장착되며, 등짝이 열리지는 않았지만 이 상태에서 가랑이가 찢어지면서 드래그레더와 거의 똑같은 모습이 된다. 류우키 본인의 의지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거나 장착한 무기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
디케이드와의 협공으로 가면라이더 어비스와 어비소돈을 물리친다.
완구의 변신기믹이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의 용성왕과 판박이.#
덕분에 파이널 어택 라이드도 류우키의 파이널벤트인 드래곤 라이더 킥(정식명칭 디케이드 드래곤). 류우키의 파이널 벤트를 디케이드가 사용하는'''것 외엔 연출상의 차이는 없다.[43]
- 변신음
파이널 폼라이드: 류-류-류-류우키!
- 필살기
- 디케이드 드래곤: 류우키의 필살기 『드래곤 라이더 킥』의 디케이드 버전.
5.1.2. 파이널 가면 라이드: 류우키 서바이브
디케이드 컴플리트 폼이 케터치의 류우키 버튼을 터치하면 소환되는 라이더. 21화에서 소환되어 파이널 어택 라이드로 류우가를 쓰러뜨린다. 30화에서는 컴플리트 폼 변신과 동시에 소환되었다.6. 모형화
가면라이더 시리즈 최초로 figma화된 것으로 유명하다. 정확히는 류우키의 북미판인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의 판권을 굿스마일이 구매하여 만들었는데, 반다이는 figma 류우키(드래곤나이트)에 자극을 받아 S.H. 피규어아츠 류우키+드래그레더를 4000엔대로 출시하게 되었다.6.1. Figure-rise
파일:피라스 류우키.jpg | |
<colbgcolor=#cc0000><colcolor=lightgray> 분류 | Figure-rise Standard |
제품명 | 가면라이더 류우키 |
전고 | 약 160mm[44] |
재질 | PVC, ABC |
구성품 | 본체 x 1 좌우 교환용 손목 각각 8종 어드벤트 카드 5장[45] x 1 드래그 클로[46] x 1 무쌍룡 드래그레더 x 1 디스플레이 베이스 x 1 드래그레더 전용 소형 디스플레이 베이스 x 2 |
발매 | 2021년 4월 17일 |
가격 | 4,300엔 |
동봉 된 어드벤트 카드는 5종류로 파이널 벤트, 어드벤트, 소드 벤트, 스트라이크 벤트, 가드 벤트 5종류가 수록된다. 또한 카드를 잡는 손이 함께 부속되며 드래그바이저에 가동 기믹이 탑재되어 내부에 카드를 넣을 수 있다.
은색 외장은 전부 엑스트라 피니시로 사출되었으며 다리에는 c형 관절을 채용했다. 다만 드래그레더의 검은 부분이 전부 스티커로 처리되며 상당량의 스티커가 요구 되지만 가성비가 매우 뛰어나기에 심각한 단점으로 보기는 힘들다.
런너의 배치[48]를 통해 류우키 블랭크체나 가면라이더 류우가의 발매도 함께 점 쳐지고 있었고, 이후 실제로 가면라이더 류우가가 발매함에 따라 함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졌다.
[1] 가면라이더 류우키 스페셜 13 RIDERS[2]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류우키의 세계[3]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4]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5] 구두전사 가면라이더즈[6] 이쪽은 류우키의 모든 라이더 공용으로 실질적으로 타 시리즈 라이더들의 '전용 바이클' 포지션에 해당하는 것은 계약 몬스터인 드래그레더라고 봐야한다. sic 라인업으로도 비클이 아닌 드래그레더가 동봉되었고 서바이브시 아예 류우키의 전용 바이크로 변신하기 때문.[7] 서바이브 폼 한정.[8] RIDER TIME 가면라이더 류우키 한정.[9] 류우키시란 발음에서 시만 땐거같다.[10] 디케이드에서는 그대로 류우키였다가 가면라이더 위저드 스페셜과 지오에서는 정발명칭에 따라 드래건이었다가 정발명칭이 매번 바뀐다.[11] 예를 들어 시저스는 분명 나이트보다 스펙에서 밀리지만, 장착자인 스도 마사시가 경찰이라 그저 일반인인 아키야마 렌보다 신체능력이나 전투센스가 훨씬 뛰어났기에 낮은 스펙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나이트를 시종일관 압도하기만 했다.[12] 여담으로 이 복안이 파리의 얼굴(...)이 연상된다는 이유로 디자인적으로 혹평받을 때가 있다. 또한 나이트가 기본 폼과 서바이브 폼 모두 디자인적으로 호평을 받은 반면 류우키는 서바이브 폼이 기본 폼보다 못생겼다는 혹평을 받았다. 다만 미러 버전인 가면라이더 류우가는 기본 폼 및 서바이브 폼 전부 호평을 받았다.[13] 이들의 공통점은 일단 류우가를 제외한 줄 또는 검정색으로 표현되는 류우키의 라이더의 눈 중에서 개별의 눈(류우키는 말할것도 없고, 나이트는 잘보면 눈이 있고, 졸다는 모노아이 비슷한 카메라), 대부분 슈트의 색이 검은색이고 갑옷이 전용칼라인 반면 대부분의 라이더들과 달리 갑옷은 검은색+회색 조합에 슈트가 각자의 전용칼라로 칠해져 있다.[14] 가면라이더 카부토도 중간 폼이 없지만 카부토는 마스크드 폼이라는 폼 체인지가 있다. 그 때문에 헤이세이 20주년 기념작인 가면라이더 지오의 디케이드 워치에 류우키 워치를 장착하면 최종 폼인 서바이브 폼이 나온다.(마찬가지로 중간 폼이 없는 카부토를 제외한 다른 라이더의 워치를 장착하면 해당 라이더의 중간 폼이 나온다.)[15] 마친가지로, 가면라이더 디케이드도 중간 폼이 없다. 그 대신 모든 헤이세이 라이더로 가면라이드를 할수 있다.[16] 이후 14년 후 어떤 엄근진 굴렁쇠 후배가 비슷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a] 완구 오리지널 기술이다.[a] 완구 오리지널 기술이다.[a] 완구 오리지널 기술이다.[20] 극중 등장하는 라이더들중 류우가&오쟈와 함께 소드 벤트와 스트라이크 벤트를 모두 갖고 있는 라이더. 다만 오쟈는 가이의 미러몬스터와 재계약한 덕분에 원래 가이의 것이었던 스트라이크 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두 개를 갖고 있는 것이고 류우가는 애시당초 류우키와 카드 구성이 똑같다는걸 생각해보면 사실상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비스도 있지만 이쪽은 작품이 다른데지라....[21] 설정상 서바이브와 오딘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AP를 자랑하면서도 작중 단 한 명도 죽이지 못했다.[22] 나중에 신지가 이에 대해 렌에게 "이전번의 전투말이야, 내가 압도하고 있었다고. 진심으로 싸웠던 거야?"라고 묻자 렌은 "긍정해도, 부정해도 나한테는 손해만 된다" 라며 대답하지 않았다.[23] 나이트가 중간에 난입해서 류우키를 공격하지 않았으면 류우키가 오쟈를 이겼을지도 모르는 상황도 있었다.[24] 타이가가 중간에 난입해서 밀렸다. 다만 이건 오쟈처럼 화가 난 상태도 아니었다.[25] 심지어 서바이브도 있었는데 서바이브도 안 쓰고 이겼다.[26] 다만 이때의 신지는 다른 인격으로 인해 거의 이겼지만, 오쟈가 서바이브 상태이며 졸다에 의해 빈사 상태까지 이르렀다는 것을 감안하면 선방한거다.[27] 카페에 온 키타오카를 벽쪽으로 밀어붙힌뒤 팔을 뒤로 꺾어서 움직임을 봉쇄하기도 했으며, 키타오카가 악덕 기업의 부하들한테 맞고있을때 비록 신지도 2대 정도 맞았지만 바로 일어나서 오로지 힘으로 부하 둘을 밀어붙히기도 했다.[28] 작중의 설정에 따르면 류우키가 스펙부터 강하긴 하지만 서바이브 카드를 받기도 전부터 강해질수 있는 떡밥이 존재했다. 맨 처음 류우키가 정식으로 계약하고 나서 처음으로 미러 몬스터를 없앴을때, 렌이 '몬스터를 쓰려뜨리면 그만큼 강해진다'고 한 대사가 있었다. 류우키는 라이더와의 싸움을 회피하고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라이더가 됐다는 명목하에 계속 미러 몬스터만 없애서 경험치가 쌓여 강해졌다고도 볼 수 있다.[a] 완구 오리지널 기술이다.[30] 류우키의 펀치는 10t밖에 되지 않지만, 드래그클로를 착용하고 펀치를 할 경우 펀치력이 (오른손 한정) 무려 100t으로 열배나 강해지는데, 이는 쿠우가 얼티밋 폼의 펀치력보다 강한 것이다. 드래그세이버와 동급이고 주로 승룡돌파를 쓸 때 쓰여서 의외로 잊혀지는 사실.[31] 작중 가면라이더 임페러와 싸울 때 이런 식으로 써서 제압했다.[a] 완구 오리지널 기술이다.[33] 다만 게임 등에서는 일일이 드래그레더가 공격하는 연출로 만들기 힘들어서인지 그냥 드래그클로에서 화염구를 발사하는 기술로 나온다.[34] 옛날 투니버스에서 드래건으로 방영할 당시 다음 프로그램 예고로 이 장면이 나왔다.[a] 완구 오리지널 기술이다.[36] 덧붙이자면, 하이퍼배틀 비디오에서는 아기토의 라이더 킥을 자기도 따라해서 사용한다. 파이널벤트를 사용한게 아니라 그냥 따라서 사용한 거다. 아기토의 발밑엔 아기토의 문장이 떠올랐다면, 류우키의 발밑엔 카드덱의 용 문장이 떠올랐다.[37] 같이 서바이브를 가지고 있는 나이트도 오딘이나 류우키를 제외하면 밀린 적이 거의 없다.[38] 추가로 나이트 서바이브가 오딘에게 말그대로 쪽도 못쓰고 발린데 반해서 류우키 서바이브의 경우 밀리긴 했지만 어느정도 경합을 벌이기도 하는 등 제법 선전했다.[39] 방어 장면을 보면 막아낸다기 보단 오히려 꼬리로 후려치는 수준이다. 게다가 이 카드를 꺼낼 때 아예 대놓고 오쟈에게 카드를 보여준 다음에 사용한다.[40]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특수카드나 다른 라이더의 전용 특수카드로도 변화 가능. 스트레인지 벤트를 쓴 건 라이더를 상대할 때밖에 없었고 전부 상대 라이더가 가진 특수카드로 변한 것을 보면 완전한 무작위는 아닌 걸로 보인다.(나이트 서바이브 = 트릭 벤트, 오딘 = 스틸 벤트)[41] 40화에선 무려 7마리의 몬스터를 한번에 몰살시켜버렸다.[42] 이것과 똑같은 변형 방식을 가진 전대 로봇이 있으니, 다름아닌 93년작 슈퍼전대 시리즈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에 등장하는 기전수 용성왕.[43] 단, 류우키의 경우 오른팔을 위로 쳐 들면서 뛰어오르는 것에 비해 디케이드는 그냥 뛰어오른다.[44] 류우키 본체 기준[45] PET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파이널 벤트, 어드벤트, 소드 벤트, 스트라이크 벤트, 가드 벤트 5종류가 부속된다.[46] 드래그레더의 머리와는 별개 파츠로 더욱 작다.[47] 마디마디 별로 움직이는건 기본이고 입 개폐가 가능하며 앞 다리와 뒷 다리, 발목까지 싹 가동된다.[48] 얼굴 파츠나 드래그레더와 관련 된 모든 파츠와 카드 덱, 무기 파츠까지 전부 분리가 가능한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