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2 15:35:55

가면라이더 타이가

<colcolor=black,#ddd> 파일:Ryuki_Logo.png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가면라이더
파일:류우키 심볼.jpg
류우키
파일:나이트 심볼.jpg
나이트
파일:졸다 심볼.jpg
졸다
파일:오쟈 심볼.jpg
오쟈
파일:시저스 심볼.jpg
시저스
파일:라이아 심볼.jpg
라이아
파일:가이 심볼.jpg
가이
파일:타이가 심볼.jpg
타이가
파일:임페러 심볼.jpg
임페러
파일:베르데 심볼.jpg
베르데
파일:팜 심볼.jpg
파일:류우가 심볼.jpg
류우가
파일:오딘 심볼.jpg
오딘
파일:어비스 심볼.png
어비스
의사 라이더(유사 라이더)
파일:얼터너티브 심볼.jpg
얼터너티브 / 얼터너티브 제로
← 아기토 라이더 목록555 라이더 목록 →
}}}}}}}}} ||

<colbgcolor=silver><colcolor=blue>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등장 가면라이더
파일:kamen_rider_taiga.png
명칭 <colcolor=black,white><colbgcolor=white,#191919> 가면라이더 타이가
(仮面ライダータイガ)
KAMEN RIDER TIGER
장착자 토죠 사토루
토츠카[1]
대니 조[2]
헌트[3]
{{{#!folding 【 기본 스펙 보기/접기 】<colbgcolor=silver><colcolor=blue> 변신벨트 <colcolor=black,white><colbgcolor=white,#191919> V 버클
197cm
무게 97kg
펀치력 250AP = 12.5t
킥력 400AP = 20t
도약력 40m
질주력 100m / 5초
주요 아이템 어드벤트 카드
데스트 바이저
주무장 데스트 크로
비클 라이드 슈터
슈트 액터 나가세 나오키
}}} ||

1. 소개2. 타이가3.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4. 계약 몬스터 : 데스트 와일더5. 각 신체 부위
5.1. 두부

[clearfix]

1. 소개

가면라이더 류우키다크 라이더. 토죠 사토루가 변신한다. 한국판 명칭은 가면라이더 타이거. 북미판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의 명칭은 가면라이더 "액스(Axe)".

이후 가면라이더 브레이브 ~Survive하라! 부활의 비스트 라이더 스쿼드~에서도 등장. 예고편에서 카가미 히이로랑 같이 다니던 간호사 미즈키를 습격한다.[4] 이후 가면라이더 브레이브에게 소멸한다.

류우키 후반부 전개의 주요 라이더로, 다른 단역 라이더들에 비하면 출연 횟수도 많다. 류우키, 나이트, 졸다, 오쟈, 류우가와 더불어 바이저가 발매된 라이더이며, 류우키, 나이트, 졸다, 오쟈, 오딘, 류우키 서바이브, 나이트 서바이브, 류우가와 함께 R&M 제품이 발매되기도 했다.

정식적인 등장은 35화부터이지만 33회의 마지막 장면과 34회의 첫 장면에서 이미 변신 후 모습이 선행 등장했다.[5]

여담으로 '가면라이더'를 빼면 2019년작인 울트라맨 타이가와 이름이 똑같다.

2. 타이가

파일:tigertaiga.png

"데스트 와일더"와 계약한 형태로, 기본 칼라는 은색+파랑. 모티브는 "기사 + 백호". 한문을 읽으면 타이가가 맞지만 영문표기는 타이거. 어아 구분이 거의없는 일본어의 특성에서 나오는 언어유희다. 기획 당시에는 '용호상박'이라는 말에 걸맞게 가면라이더 류우키라이벌 라이더가 될 예정이었다고 하나[6], 어른의 사정으로 취소되었고 류우키의 라이벌 라이더는 가면라이더 나이트가 되었다.

데스트바이저나 "데스트 클로"(스트라이크벤트)를 이용한 백병전이 주특기이며, 데스트와일더와의 콤비네이션에 의한 기습 전법으로 적을 공격한다... 는 설정이긴 한데 타이거 자체가 후반에 등장하느라 전투 횟수가 적으며, 보통 정정당당한 전투로 적을 죽이기보다는 싸울 생각이 없는 것처럼 접근한 다음 뒷치기(...)로 보내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게 다른 라이더들의 어그로를 끌어 후반부가서는 시종일관 두들겨맞기 일쑤다.

특히 오쟈는 36화에서 타이가에게 기습을 당한 것에 앙심을 품고 그 이후로는 최우선으로 타이가부터 공격한다. 심지어 자신의 숙적인 졸다를 눈앞에서 내버려두고 타이가부터 쫒을 정도. 오쟈가 졸다의 집에 쳐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싸움은 커녕 타이가의 행방만 묻고 온 김에 파스타도 좀 먹고 돌아가거나, 43화에서 졸다와 오쟈가 싸울 때 끼어드는데 졸다는 대충 한 대만 치고 끝냈지만 타이가는 진짜 떡이 되도록 때리거나, 46화에서 졸다와 싸우려고 할 때 타이가가 난입해서 졸다를 제거하려다 실패하자 졸다를 제거하기 딱 좋은 타이밍인데도 타이가부터 족치려고 하는 것이 그 예.

후반에 등장하는 라이더인 것도 있어 전체적인 스펙도 우수하고 적에게 치명상을 입힌 횟수도 상당하다. 그러나 특유의 기습 전법 탓에 다른 라이더와 일기토로 결착을 짓는 장면 자체가 적고, 등장 후반부에는 오쟈에게 쫓겨 구타당하거나 본인의 멘탈이 무너져 제대로 된 전투가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대인 전투에서 타이가의 강함이 제대로 드러나는 장면은 적은 편.

3.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어드벤트 카드는 자신의 소환기(바이저)에 삽입해서, 카드를 소비하는 대신 장비를 소환하거나 특수효과, 필살기 등을 발동시킬 수 있다. 단, 라이더로 1회 변신했을 때마다 기본적으로 카드 종류당 1장씩만 사용할 수 있다.
소환기 - 데스트 바이저
Dest Visor
파일:Dest_Visor.png
도끼형 소환기. 물론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 40cm의 철벽도 자르는 무시무시한 위력을 지녔다. 주로 양손에 들고 휘두르는 방식으로 사용하지만, 부메랑처럼 적에게 냅다 던져서 공격할 수도 있다.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할 때는 손잡이 밑을 밀어올려 도끼날 뒤쪽의 호랑이 머리를 슬라이드시키고 그 안에 카드를 장전한다.

<colcolor=black> 파일:Ryuki_Logo.png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드래그 세이버
드래그 클로
류우가 버전
윙 랜서
기가 런처
기가 캐논
기가 혼
베노 사벨 시저스 핀치 에빌 휩
메탈 혼 데스트 클로 가젤 스탭 바이오 와인더
윙 슬래셔 골트 세이버 어비스 세이버
어비스 클로
슬래시 대거
← 아기토 무기 목록 555 무기 목록 → }}}


스트라이크 벤트 - 데스트 클로
Dest Claw
파일:스트라이크 벤트(타이가).jpg
파일:Dest_Claws.png
타이가 전용. 데스트 와일더의 양팔을 본뜬 장갑형 무기로, 타이가의 주무기이다. 날카로운 갈고리손톱을 이용해 적을 갈기갈기 찢어버릴 수 있는 위력을 지녔다. 장갑이 단단하기 때문에 방어구로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작중에선 오쟈의 "헤비프레셔"(파이널벤트)를 막은 적도 있다. 파이널벤트 발동시 자동으로 소환되어 타이가에게 장비된다. 본편에서 제일 돋보였던 때는 데스트 와일더와 연계 공격을 통해서 임페러에게 치명타를 입힌 것.[7]
프리즈 벤트
Freeze Vent
파일:프리즈 벤트.jpg
타이가 전용. 상대방의 어드벤트 카드를 순간 동결시켜 카드 효과를 무효화하는 특수카드. 이 카드를 사용해 상대방의 계약몬스터를 얼려서 어드벤트나 파이널벤트를 무효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다. 작중에선 오쟈의 베노스네이커와 제노사이더, 졸다매그너기가를 얼려버린 전적이 있다. RIDER TIME 류우키에선 류우키의 승룡돌파를 얼려서 상쇄시켰다.
생각보다 굉장히 강력한 카드인데 기본적으로 계약몬스터는 라이더 당 1마리이기 때문에 적 라이더의 몬스터를 얼려서 파이널벤트를 쓸 수 없게 만들고 타이가 자신은 데스트 와일더를 불러내서 2대1로 싸우면 1대1 한정으로는 거의 필승이다.[8]
리턴 벤트
Return Vent
파일:리턴 벤트.jpg
프리카드. "콘파인벤트"에 의해 무효화된 카드 효과를 다시 발동시키는 특수카드. 하지만 타이가가 등장했을 때 "콘파인벤트"를 가지고 있던 당사자인 가이는 이미 세상을 하직인사 한지 오래이기 때문에 작중에서 사용한 적은 없다.
어드벤트 - 데스트 와일더
Destwilder
파일:어드벤트(타이가).jpg
타이가의 계약 몬스터.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파이널 벤트 - 크리스탈 브레이크
Crystal Break
파일:파이널 벤트(타이가).jpg
데스트 와일더가 적을 공격해 쓰러트린 다음 타이가가 있는 곳까지 질질 끌고 오면 타이가가 데스트 클로를 꽂아 넣은 후 냉기를 주입시켜 적을 폭발시키는 기술. 후반부에 등장한 라이더이기 때문에 위력이 높은 편이다. 다만 적을 질질 끌고 가는 도중엔 데스트 와일더가 무방비이기 때문에 시전 중에 데스트 와일더를 공격하면 그대로 깨져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 탓에 오쟈와 졸다는 데스트 와일더를 공격하는 방법으로 깨트렸고, 제대로 기술이 들어간 건 저항할 틈도 없이 기습당한 얼터너티브와 얼터너티브 제로 뿐.[9] 명백한 단점이 있는데도 숨기지 않고 무턱대고 사용한 탓에[10] 자주 사용했는데도 살상률은 상당히 낮았던 기술이다.[11] PS용 게임에서는 데스트 와일더가 적을 질질 끌지 않고 한손으로 타이가에게 집어던지는데, 차라리 이렇게 쓰는 쪽이 훨씬 더 나아보인다란 의견도 있다(...). 그럼 데미지가 적게 들잖아 다만 이후 나온 클라이맥스 히어로즈 시리즈에선 다시 원작대로 질질 끄는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 파이널 벤트(필살기) - 「크리스탈 브레이크(Crystal Break)」 (위력 6000AP = 300톤)

4. 계약 몬스터 : 데스트 와일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스트 와일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각 신체 부위

  • 01. 실버 체스트: 보디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부분. 그란 메일 + 실버 아머 + 실버 아머의 3중 구조로 모든 공격을 튕겨낸다.
  • 02. 지패트 슬랫: 계약 몬스터인 데스트 와일더를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한 디바이스 포인트. 가면라이더 타이가의 의지가 이 디바이스를 통해서 뇌에서 데스트 와일더에게 직접 전달된다. 팔꿈치, 무릎, 허리, 등, 어깨에 10개 배치되었다.
  • 03. 데스트 너클: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손 장갑으로, 강력 펀치를 날린다.
  • 04. V버클: 카드덱이 장전되어 있으며, 전투시에 이곳에서 어드벤트 카드를 뽑는다. 덱에 떠오른 문장은 데스트 와일더와 계약한 증표.
  • 05. 레그 블랙: 순발적인 파괴력과 그것을 버티는 충격 내성이 뛰어난 강인한 발.
  • 06. 포스 본: 가면라이더로서의 '힘'을 전신에 보내는 제어 기관으로, 보존 에너지를 내포하고 잉여 에너지를 개방한다. 중앙, 사지, 양 옆구리에 배치돼 있다.
  • 07. 그란 메일: 변신자의 몸을 감싼 라이더 공통의 특수 강화 피부. 미러 몬스터의 어떤 공격에도 버텨내고 변신자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 08. 실버 아머: 다이아몬드에 필적하는 경도를 자랑하는 강고한 보호구. 경량으로 동작을 제한시키는 일은 없다.

5.1. 두부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마스크. 모든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주위의 가스 등을 정화, 살균하는 기능도 있다.
  • 02. Y 시그널: 미러 몬스터나 다른 가면라이더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
  • 03. 화이트 아이: 약 20km 너머의 목표물을 인식하는 눈. 적외선에 의해 어둠에 숨어든 가면라이더나 미러 몬스터도 확실히 포착할 수 있다.
  • 04. 위스커 셰이브: 데스트 와일더와 계약한 증표.


[1] RIDER TIME 가면라이더 류우키.[2]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3]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4] 그것도 미즈키가 목욕 중일 때. 영화 사이코의 오마주.[5] 청명원 대학에 위치한 불이 꺼진 연구실에서 여러 개의 거울이 보여지는데 이 중 한 곳에서 타이가의 모습이 비추어졌다.[6] 실제로 스펙도 높은데다 속성도 정반대다.(류우키:화염, 타이가:얼음)[7] 밑에서 언급할 파이널벤트와 비슷한 연출이라 파이널벤트와 착각하는 경우도 많다.[8] 오쟈도 처음에는 제노사이더가 통째로 얼어버려서 한번 당했고, 이후 베노스네이커만 먼저 소환해 프리즈벤트를 소진시킨 후 메탈게라스를 데스트와일더와 싸움을 붙이고, 본인은 에빌다이버의 하이드 베놈을 쓰는 방법으로 격파했다.[9] 임페러 같은 경우 이 기술에 당한 게 아니다. 언뜻 연출은 비슷하긴 한데 싸우던 장소가 다리여서 그런지 데스트 와일더가 임페러를 덮친 후 타이가에게 바로 끌고 가지 않고 지그재그 무빙을 하면서 다리의 난간에 들이받는 식으로 공격한 다음 타이가는 타이가대로 가만히 있지 않고 걸어가서 찔렀기 때문.[10] 졸다는 두 번이나 똑같은 방법으로 피했다. 키타오카가 후반부가 아닌 몸이 비교적 건강했던 초반부였다면 역으로 반격당했을 가능성이 높다.[11] 똑같이 살상률이 낮다는 졸다의 엔드 오브 월드는 복수 공격적이기 때문에 킬 수가 적은거고 한 명에게 집중포화 했을 시에는 거의 성공했다. 물론 많이 쓰진 않았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