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4 17:26:47

에서 넘어옴
괴이할 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あや-しい, あや-しむ
-
표준 중국어
gu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

1. 개요

怪는 '괴이할 괴'라는 한자로, '괴이(怪異)하다', '기이하다', '괴상하다'를 뜻한다.

2. 상세

파일:goeihalgoe.gif
怪의 획순
파일:goeihalgoe2.gif
怪의 자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괴이하다
중국어 표준어 guài
광동어 gwaai3
객가어 koai
민북어 guo̿i
민동어 guái
민남어 koài[文] / kòe[白]
오어 kua (T2)
일본어 음독 カイ
훈독 あや-しい, あや-しむ,
け-しからぬ
베트남어 quái

圣은 원래 벽(土) 위로 손(又)을 애써 올리려고 하는 모양에서 '힘쓰다'를 뜻한다. 보통 圣은 의 속자로 쓰이지만[3] 여기서는 예외.[4] 훈을 나타내는 (마음 심)과 음을 나타내는 (힘쓸 골)이 합쳐진 형성자로 해석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체자로는 恠가 있으며, 과거에는 이 형태가 훨씬 더 많이 쓰였다(예: 조선왕조실록). 또 전혀 별개의 글자이긴 하나 간화 형태와 관련된 글자로는 𢙼(⿰忄巠), 𪬮(⿰忄聖) 등이 있다.

유니코드는 U+602A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EG(心水土)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ㄍㄨㄞˋ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文] 문독[白] 백독[3] 중국에서는 (성스러울 성)의 간체자.[4] 실제로 𢀖(한할 형; 忄巠)이라는 한자도 존재하지만 잘 안 쓰인다.[5] 원래 기특하다는 뜻을 갖고 있으나 기이하다는 뜻으로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