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8:06:58

Wish You Were Here(노래)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wish_you_were_here.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곡명 재생 시간
Side A
<colbgcolor=#fff><colcolor=#8F9EB3> 1 <rowcolor=#000,#ddd>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I–V) 13:33
2 <rowcolor=#000,#ddd>Welcome to the Machine 7:31
Side B
1 <rowcolor=#000,#ddd>Have a Cigar 5:07
2 <rowcolor=#000,#ddd>Wish You Were Here 5:34
3 <rowcolor=#000,#ddd>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VI–IX) 12:30
}}}}}}}}} ||
Wish You Were Here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ffffff> 2017년 빌보드에서 핑크 플로이드 50주년을 맞아 핑크 플로이드의 50대 명곡을 선정했다. #
<colcolor=#000000,#ffffff><colbgcolor=#ffffff,#191919> 1위 Wish You Were Here
2위 Run Like Hell
3위 Us and Them
4위 Interstellar Overdrive
5위 Comfortably Numb
6위 One of These Days
7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8위 See Emily Play
9위 Time
10위 Set the Controls for the Heart of the Su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 - 5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000,#ffffff><colbgcolor=#ffffff,#191919> 11위 Shine on You Crazy Diamond
12위 Young Lust
13위 Sheep
14위 Learning to Fly
15위 Careful with That Axe, Eugene
16위 Money
17위 Bike
18위 Fearless
19위 Hey You
20위 Have a Cigar
21위 The Great Gig in the Sky
22위 The Nile Song
23위 Dogs
24위 Goodbye Blue Sky
25위 Echoes
26위 Astronomy Domine
27위 Free Four
28위 In the Flesh?
29위 Brain Damage / Eclipse
30위 Arnold Layne
31위 Is There Anybody Out There?
32위 Speak to Me / Breathe (In the Air)
33위 Pigs (Three Different Ones)
34위 High Hopes
35위 Welcome to the Machine
36위 Mother
37위 Cymbaline
38위 Lucifer Sam
39위 Any Colour You Like
40위 A Saucerful of Secrets
41위 Wot's... Uh the Deal?
42위 Paint Box
43위 Not Now John
44위 Nobody Home
45위 Vegetable Man
46위 Take It Back
47위 The Gunner's Dream
48위 Double O Bo
49위 One of My Turns
50위 On the Run
}}}}}}}}} ||
}}}}}}}}} ||
파일:클래식 록 매거진 로고.svg파일:클래식 록 매거진 로고 화이트.svg
클래식 록 선정 핑크 플로이드 50대 명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fff> 영국의 잡지사 클래식 록 매거진이 선정한 핑크 플로이드 명곡 순위이다. 2022년 판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colcolor=#000,#fff><colbgcolor=#fff,#191919> 1위 Comfortably Numb
2위 Shine on You Crazy Diamond
3위 Wish You Were Here
4위 Echoes
5위 Time
6위 Hey You
7위 Dogs
8위 Us and Them
9위 The Great Gig in the Sky
10위 Mone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 - 5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fff><colbgcolor=#fff,#191919> 11위 Pigs (Three Different Ones)
12위 Breathe (In the Air)
13위 Have a Cigar
14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15위 Welcome to the Machine
16위 Brain Damage
17위 High Hopes
18위 Run Like Hell
19위 Mother
20위 Learning to Fly
21위 Sheep
22위 Young Lust
23위 Eclipse
24위 On the Turning Away
25위 Astronomy Domine
26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1)
27위 Goodbye Blue Sky
28위 Set the Controls for the Heart of the Sun
29위 See Emily Play
30위 Coming Back to Life
31위 Interstellar Overdrive
32위 Is There Anybody Out There?
33위 Atom Heart Mother
34위 Sorrow
35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3)
36위 Fearless
37위 Pigs on the Wing
38위 Careful with That Axe, Eugene
39위 The Final Cut
40위 Arnold Layne
41위 Paint Box
42위 Childhood's End
43위 A Saucerful of Secrets
44위 Fat Old Sun
45위 In the Flesh?
46위 The Nile Song
47위 Nobody Home
48위 The Thin Ice
49위 On the Run
50위 Free Four
}}}}}}}}} ||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독자 선정 10대 핑크 플로이드 명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11년 롤링 스톤이 진행한 핑크 플로이드 명곡의 투표 결과이다. #
<colcolor=#ffffff><colbgcolor=#d32531> 1위 Wish You Were Here
2위 Comfortably Numb
3위 Time
4위 Shine on You Crazy Diamond
5위 Echoes
6위 Money
7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8위 Us and Them
9위 Dogs
10위 Hey You
}}}}}}}}} ||
파일:the top tens 로고.png선정 10대 핑크 플로이드 명곡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TopTens가 투표를 통해 선정한 10대 핑크 플로이드 명곡 순위이다. #
<colbgcolor=#e2a029><colcolor=#ffffff> 1위 Comfortably Numb
2위 Time
3위 Wish You Were Here
4위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1-5)
5위 Echoes
6위 Dogs
7위 Money
8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9위 Hey You
10위 Us and Them
}}}}}}}}} ||
파일:Watchmojo thumbnail.png 선정 10대 핑크 플로이드 명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ffffff> 와치모조가 선정한 10대 핑크 플로이드 명곡 리스트이다.#
<colcolor=#ffffff><colbgcolor=#19282e> 1위 Wish You Were Here
2위 Comfortably Numb
3위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4위 Shine on You Crazy Diamond
5위 Time
6위 Brain Damage / Eclipse
7위 Echoes
8위 Dogs
9위 Money
10위 Hey You
}}}}}}}}} ||
Wish You Were Here
<colcolor=#8F9EB3><colbgcolor=#fff> 발매일 1975년 9월 12일
녹음일 1975년 1월 - 7월
녹음실 EMI 스튜디오
수록 앨범
장르 아트 록, 포크 록, 소프트 록
작사 로저 워터스
작곡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프로듀서 핑크 플로이드
러닝 타임 5:34
레이블 파일:harvest records logo.png, 콜럼비아

1. 개요2. 상세3. 가사4. 기타

1. 개요

영국프로그레시브 록밴드 핑크 플로이드가 발매한 Wish You Were Here 앨범의 4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2. 상세

초창기 핑크 플로이드의 리더였지만, 1968년 정신 문제로 인해 밴드를 떠나버린 시드 배럿을 기리며 만들어진 노래이다.

1975년의 어느날, EMI 스튜디오에서 왠 뚱뚱한 대머리 남자가 핑크 플로이드가 곡을 녹음하는 것을 가만히 지켜보고 있었다고 한다. 핑크 플로이드의 멤버들은 그냥 새로 고용된 음향 기술자인줄로 알고 있었는데, 45분쯤 지나자 그의 이목구비를 본 로저 워터스가 음향 기술자가 아니라 몰라보게 변한 시드 배럿임을 알아차렸다. 멤버들은 몇 년만에야 재회한 시드 배럿을 보며 기쁘면서도 안타까운 마음으로 몇 분간 대화를 나눴고, 이날의 경험은 핑크 플로이드 멤버들에게 특별한 기억으로 남았다. 그중에서도 케임브리지 고등학교 시절 때부터 노래를 부르며 기타를 연습했던 시드의 소꿉친구 로저 워터스데이비드 길모어의 감정은 더욱 애잔했고, 이에 공동으로 시드를 기리는 노래를 만들기로 했다.

로저 워터스의 소외와 음악 산업에 대한 불신이 반영된 곡이기도 하다. 아이러니하게도 핑크 플로이드 노래 중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와 함께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곡이다.

데이비드 길모어의 자동차 라디오를 녹음한 라디오 소리에서 시작된다.[1] 곡은 라디오를 돌리는 듯한 선율에서 12현 기타 인트로로 이어진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324위에 랭크되었고, 어클레임드 선정 올타임 명곡에서는 265위에 랭크되어 핑크 플로이드의 곡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아름다운 가사와 멜로디로 인하여 수많은 팬들과 청자들이 핑크 플로이드 최고의 명곡으로 자주 꼽는 곡이다.

최종 마스터 테이프에는 믹스에서 사용되지 않은 데이비드 길모어의 기타 솔로가 담겨져있었다. 최종 프로듀싱 과정에서 이 기타 솔로는 빠지게 되었다. 또한 녹음 당시 옆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있던 재즈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그라펠리(Stéphane Grappelli)가 녹음에 참여했지만, 멤버들이 마음에 안 들어 했는지 최종 믹싱에서 잘렸다. 이후 이 버전은 2011년 익스피어리언, 박스세트를 통해 공식 공개되었다.

4번째 트랙인 Wish You Were Here는 곡이 끝나고 바람소리와 함께 바로 5번째 트랙인 Shine on You crazy Diamond로 이어진다.

2005년, 핑크 플로이드의 모든 멤버가 모인 Live 8 재결합 공연 당시 불려진 노래였다. 오리지널 버전에서는 데이비드 길모어만이 보컬로 불렀지만, Live 8에서는 밴드의 화합을 보여주듯이 로저 워터스가 절반을 맡았다. 로저 워터스의 라이브 연주에서도 아주 자주 불려지는데, 2005년 동남아시아 지진 해일 자선 콘서트에서는 그 유명한 에릭 클랩튼을 기타로 하여 연주되었다.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a3a3a3>
파일:Wish You Were Here.jpg
}}}}}}
And disciplinary remains mercifully
그리고 다행히 규율적인 것들은
Yes and um, I’m with you, Derek, this star nonsense
그래, 음, 나도 동의해, 데릭, 이 별 얘기는 터무니없지
Yes, yes
그래, 그래
Now which is it?
그래서 뭐라고 생각해?
I am sure of it
확신해[2]


● ● ●

So, so you think you can tell
그래, 그래서 너는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Heaven from Hell?
천국과 지옥을?
Blue skies from pain?
새파란 하늘과 고통을?
Can you tell a green field
푸른 들판과 차가운 철길을
From a cold steel rail?
구별할 수 있겠니?
A smile from a veil?
미소와 가식을
Do you think you can tell?
구별할 수 있을 것 같니?

Did they get you to trade
거래하도록 그들이 강요했니
Your heroes for ghosts
너의 영웅과 망령을?
Hot ashes for trees?
뜨거운 재와 나무를?
Hot air for a cool breeze?
더운 공기와 시원한 산들바람을?
Cold comfort for change?
서늘한 안락함과 변화를?
Did you exchange
맞바꾸고 만 거니
A walk-on part in the war
전쟁터의 사소한 역할과
For a lead role in a cage?
새장 안의 주인공 배역을?

● ● ●

How I wish, how I wish you were here
아, 가 여기에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We're just two lost souls
우리는 그저
Swimming in a fish bowl
끊임없이 어항 속을 떠다니는
Year after year
길잃은 두 영혼일 뿐이야
Running over the same old ground
그때의 그 낡은 땅을 가로지르며
What have we found?
우리가 찾아낸 것은 무엇일까?
The same old fears
낯익은 두려움뿐이지
Wish you were here
네가 여기에 있기를 바라

Written By: Roger Waters, David Gilmour

4. 기타

  • 곡의 주인공 시드 배럿은 이 노래가 나오고 30여년을 더 살다가 2006년 사망했다. 핑크 플로이드의 대중적인 성공 때문에 그가 이 곡을 몰랐을 가능성은 없지만, 그럼에도 철저한 은둔 생활 때문에 배럿이 이 곡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 로저 워터스는 이 노래가 나온 뒤 몇 년 후 런던의 백화점 '해러즈(Harrods)'에서 시드 배럿을 우연히 만났지만, 시드는 로저를 보자마자 밖으로 도망쳐버렸고, 이후 핑크 플로이드의 어떤 멤버도 배럿을 두 번 다시는 만날 수 없었다.


[1]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제4번 교향곡 피날레의 부분이 사용되었다.[2] Have a Cigar의 끝부분에서 인트로가 이어지는데, 라디오 방송국을 옮기는 사운드를 담고 있다. 이 대사 이후 차이콥스키의 4번 교향곡이 잠깐 들리다가 곡의 12현 기타 리프로 이어진다.[3] 참고로 핑크 플로이드는 비틀즈와 더불어 개회식과 폐회식에 모두 음악이 등장한 몇 안되는 아티스트이다. 개회식에서는 Eclipse가 성화 봉송 장면에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