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5:23:20

The National Anthem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 나라를 대표하는 노래인 '국가'의 영어 표기}}}에 대한 내용은 [[국가(노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국가(노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국가(노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 나라를 대표하는 노래인 '국가'의 영어 표기: }}}[[국가(노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국가(노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국가(노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D0C0B><tablebgcolor=#0D0C0B>
파일:kid a.jpg
Kid A
트랙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러닝타임
<colbgcolor=#FCFAF2><colcolor=#0362A6> 1 <colbgcolor=#fff,#191919>Everything in Its Right Place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4:11
2 Kid A 4:44
3 The National Anthem 5:51
4 How to Disappear Completely 5:56
5 Treefingers 3:42
6 Optimistic 5:15
7 In Limbo 3:31
8 Idioteque 5:09
9 Morning Bell 4:35
10 Motion Picture Soundtrack 7:01
Hidden Track
11 Untitled 0:53
파일:Radiohead White.png
}}}}}}}}} ||
The National Anthem
<colbgcolor=#fcfaf2><colcolor=#0362a6> 앨범 발매일 2000년 10월 2일
녹음일 1999년 1월2000년 4월
장르 아트 록, 포스트 록, 재즈 록, 익스페리멘탈 록
러닝 타임 5:51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수록 앨범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 개요2. 상세3. 라이브 공연4. 가사5. 여담

1. 개요

2000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4집 Kid A의 세 번째 트랙.

2. 상세

바로 전 곡인 Kid A에서 이어지는 트랙으로, 잔잔한 분위기를 전환하는 전자음향과 함께 시작되는 강렬한 곡이다. 조니 그린우드를 비롯한 멤버들의 취향이 반영된 곡으로 재즈, 일렉트로닉, 록 음악이 한데 뒤섞여 포스트 록을 연상시키는 혼란한 연주로 Kid A의 전반부 클라이맥스를 연출한다. 이 때문에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에 불협화음이라고 비판받기도 하였으나 이 음악의 핵심은 불협화음 속 화음으로 현재는 Kid A 최고 명곡으로 자주 꼽힌다.

톰은 이 곡을 녹음할 당시 St. John's Orchestra에서 8명의 호른 재즈연주자를 지휘했다. 요크는 전문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라이브 때 막춤 추는 것마냥 온몸으로 뛰고 수그리는 몸짓으로 조용한 정도와 속도를 조절했다고 한다. 그 결과물은 Trout Mask Replica를 연상시킬 정도로 혼란했지만, 의외로 이 파트는 철저한 계산 하에서 각자 솔로 리프로 연주된 결과물이라고 한다. 프리 재즈 스타일의 브라스 부분은[1] 찰스 밍거스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고, 조니는 올리비에 메시앙이 애용한 악기 옹드 마르트노를 활용하여 곡에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몽환적인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연출했다.

이 곡의 베이스 리프는 톰 요크가 16살 때 만들었던 것이며, 원래 OK Computer의 비사이드 앨범인 Airbag EP에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제작 과정에서 멤버들이 너무 좋은 곡이라며 반대해 다음 앨범인 Kid A에 수록되었다.

3. 라이브 공연

<nopad>
라이브 음원 버전 2000년 SNL 라이브
<nopad> <nopad>
2001년 BBC 스튜디오 라이브 2003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
<nopad> <nopad>
2009년 레딩 페스티벌 라이브 2012년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라이브

4. 가사


{{{#!wiki style="margin: -28px -10px -5px -10px; padding: 30px 17px 20px 1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deg, rgba(39,33,33,1) 0%, rgba(96,103,110,1) 59%, rgba(100,106,108,1) 73%, rgba(96,103,110,1) 85%)"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5px -10px 15px 0px"
[[파일:kid a.jpg|width=70&border-radius=4px]]{{{#!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20px; font-size: 16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middle;"
'''The National Anthem'''
{{{#!wiki style="font-size: 14px; color: rgba(256,256,256,0.6)"
Radiohead}}}}}}}}}
● ● ●

{{{+1 '''Everyone'''}}}
모두가
{{{+1 '''Everyone around here'''}}}
여기 있는 모두가
{{{+1 '''Everyone is so near'''}}}
모두가 너무 가까워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 ● ●

{{{+1 '''Everyone'''}}}
모두가
{{{+1 '''Everyone is so near'''}}}
모두가 너무 가까워
{{{+1 '''Everyone has got the fear'''}}}
모두가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어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 ● ●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1 '''It's holding on'''}}}
버티고 있어

● ● ●

{{{#!wiki style="text-align: right"
{{{+1 '''Smile'''}}}
웃어요}}}

'''Written By:''' [[라디오헤드|{{{#FFF Radiohead}}}]]
}}}}}}

5. 여담

  • 제목의 의미는 '국가(國歌)', 즉 우리나라로 치면 애국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라디오헤드 멤버들의 정치성향을 살펴볼 때 전체주의의 광기를 '국가'라는 상징을 통해서 비유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 일본의 요시다 형제가 2009년도 앨범인 Prism에서 본 악곡을 커버하기도 하였다.#
  • 2집 제작 때부터 있었던 곡이다.
  • 공연 시 라이브로 라디오를 연주하는 조니를 볼 수 있다.(#2#) 이 때문에 한국에서 라이브를 할 때는 당시 라디오 DJ를 맡고 있던 성시경이 얼떨결에 콜라보를 하게 되었다.#
    • 라디오가 아니라 TV를 사용한적도 있다.#
  • 원래 <Everyone>이란 제목이 붙을 예정이었다고 하며, 가사에는 없었지만 영국국가에서 마지막 부분에 이 단어가 나온다고한다.
  • 영화 나폴레옹의 예고편에서 편곡되어 사용되었다.

[1] 평론가가 말하길 "brass 밴드가 벽돌벽에 향해 행진하는 것 같은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