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5:03:24

Optimistic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D0C0B><tablebgcolor=#0D0C0B>
파일:kid a.jpg
Kid A
트랙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러닝타임
<colbgcolor=#FCFAF2><colcolor=#0362A6> 1 <colbgcolor=#fff,#191919>Everything in Its Right Place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4:11
2 Kid A 4:44
3 The National Anthem 5:51
4 How to Disappear Completely 5:56
5 Treefingers 3:42
6 Optimistic 5:15
7 In Limbo 3:31
8 Idioteque 5:09
9 Morning Bell 4:35
10 Motion Picture Soundtrack 7:01
Hidden Track
11 Untitled 0:53
파일:Radiohead White.png
}}}}}}}}} ||
Optimistic
<colbgcolor=#fcfaf2><colcolor=#0362a6> 앨범 발매일 2000년 10월 2일
녹음일 1999년 1월2000년 4월
장르 얼터너티브 록, 아트 록
러닝 타임 5:15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수록 앨범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 개요2. 상세3. 가사4. 여담

[clearfix]

1. 개요

From the Basement 버전 2016년 리옹 라이브
2000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4집 Kid A의 여섯 번째 트랙.

2. 상세

Kid A에서 유일하게 정치적인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운 곡으로, 나오미 클라인의 저서 노 로고에 영향을 받았다. 제목 그대로 낙천적인 태도로 자본 시장의 질서 파괴[1]를 묵인하는 낙천주의자들, 신자유주의자들을 비판하며 다국적기업을 경계하는 내용이다. 발매 당시 Kid A에서 유일하게 기존 록 스타일이 많이 남아있던 음악이라 사실상의 리드 싱글 역할을 하며 인기를 끌었다.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60666f>
파일:kid a.jpg
}}}}}}
Flies are buzzing 'round my head
파리들이 내 머리 주변에서 앵앵거려
Vultures circling the dead
독수리들은 시체를 맴돌지
Picking up every last crumb
마지막 조각까지 주워 먹으며
The big fish eat the little ones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들을 삼켜도
The big fish eat the little ones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들을 삼켜도
Not my problem, give me some
내 문젠 아니니까, 나도 조금만 달라고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넌 최선을 다하면 돼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최선을 다하면 돼
The best you can is good enough
네 최선이라면 충분하니까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넌 최선을 다하면 돼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최선을 다하면 돼
The best you can is good enough
네 최선이라면 충분하니까

● ● ●

This one's optimistic
이건 낙관적이야
This one went to market
이건 시장으로 갔지
This one just came out of the swamp
이건 늪에서 방금 나왔어
This one drops a payload
이건 큰 돈을 얹어줘
Fodder for the animals
동물들을 위한 사료
Living on animal farm
동물 농장에서 살아가는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넌 최선을 다하면 돼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최선을 다하면 돼
The best you can is good enough
네 최선이라면 충분하니까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넌 최선을 다하면 돼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최선을 다하면 돼
The best you can is good enough
네 최선이라면 충분하니까

● ● ●

I'd really like to help you, man
정말 자넬 돕고 싶네, 친구
I'd really like to help you, man
정말 자넬 돕고 싶어, 친구
Nervous messed up marionette
긴장이 마리오네트를 망가뜨려 놨어
Floating around on a prison ship
교도소 배 주변을 떠다니며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넌 최선을 다하면 돼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최선을 다하면 돼
The best you can is good enough
네 최선이라면 충분하니까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넌 최선을 다하면 돼
You can try the best you can
최선을 다하면 돼
The best you can is good enough
네 최선이라면 충분하니까

Dinosaurs roaming the Earth
지구를 떠도는 공룡들
Dinosaurs roaming the Earth
지구를 떠도는 공룡들
Dinosaurs roaming the Earth
지구를 떠도는 공룡들

Written By: Radiohead

4. 여담

  • 톰 요크는 앨범을 만들 당시 나오미 클라인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았다고 전해진다. 아예 그녀의 저서에서 이름을 따 앨범명을 '노 로고'로 붙이는 것을 잠깐이나마 진지하게 고려했을 정도. 바꿔서 다행이다
  • 프랭크 오션의 믹스테잎 nostalgia,ULTRA.의 'Bitches Talkin''이라는 곡에서 샘플링되었다. 내용은 라디오헤드의 노래를 틀 때마다 주변에서 질색하며 다른 노래를 틀어달라고 징징대는 내용인데 참으로 라디오헤드 팬 스러운 노래이다(...)[2]

[1] 가사 중 'Big fish eats little one'[2] 흑인 사회에 속하여 지내는 만큼 백인 음악으로 분류되는 락에 대한 주변인들의 막연한 편견을 담은 노래라고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