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20:33:01

오티스 엘리베이터

OTIS엘리베이터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오티스'''{{{#!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오티스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오티스(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티스(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티스(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예술 대학교}}}에 대한 내용은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오티스의 동음이의어: }}}[[오티스(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티스(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티스(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예술 대학교: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034ea2><colcolor=#fff> 오티스 엘리베이터
Otis elevator
파일:OTIS 로고.svg
Made to move you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다국적 기업)
설립일 1853년 9월 20일
창업주 엘리샤 오티스[1]
본사 미국 코네티컷 주 파밍턴
규모 대기업
업종 승강기 제조업
종업원 수 71,000명(2023년 기준)
매출 142억 달러(2023년 기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SIGMA(시그마) 로고.svg

1. 개요2. 역사3.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4. 모델의 종류
4.1. 중저속 기어드
4.1.1. 오리지널4.1.2. Otis 2000(●)
4.2. 중저속 기어리스 (GEN2, GEN3)4.3. 고속 기어리스
4.3.1. 초기형4.3.2. SKYWAY4.3.3. SKYRISE
4.4. 유압식(◈)4.5. 권동식4.6. 리니어식
5. 행선층예약시스템6. 알림음7. 비판8. 관련 문서

1. 개요

Made to move you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캐치프레이즈.
오티스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제조, 설치,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딩 기업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소개글

엘리베이터를 전문으로 만드는 미국의 기업. 최초의 현대적 엘리베이터를 발명한 엘리샤 오티스에 의해, 1853년 설립되었다. 본사는 미국 코네티컷 주 파밍턴에 있으며, 이 외에도 텍사스오스틴, 캘리포니아샌디에이고에도 사업장이 있다.

2. 역사

창립자 엘리샤 오티스[2]는 1852년 세계 최초로 현대적 엘리베이터를 만들었고 그 이듬해인 1853년 회사를 설립했다. 1854년에는 뉴욕의 세계박람회에서 1888년에는 파리의 에펠탑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수만여명 사람들 앞에서 안전성을 증명했고 엘리베이터를 상용화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 1862년부터 보수 및 유지점검 서비스를 시작했고 1867년에는 엘리샤 오티스의 두 아들에 의하여 기업명을 오티스 브라더스 컴퍼니(OTIS Brother's Company)로 재설립했으나 1889년에 다시 기업명이 오티스로 환원되었다. 오티스 엘리베이터는 1873년까지 미국과 유럽 등지에 누적 2,000대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공급하며 세계적인 엘리베이터 업체로 성장한다. 이후 1976년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UTC)에 인수되어 그 산하에 있었다.[3]

2020년 4월 3일 오티스는 UTC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기업으로서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4] 이는 오티스가 1920년 4월 처음으로 뉴욕증권거래소에 이름을 올렸었고, 2020년 다시 돌아감으로써 오티스가 독립회사로서 처음으로 창조한 승강기 산업을 더욱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게 된 것이다.

엘리베이터 부문에서는 세계 1위, 에스컬레이터 부문에서는 쉰들러에 이은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문서에도 있지만 엘리샤 오티스는 엘리베이터 추락 방지 안전 설비를 최초로 개발후 뉴욕 박람회에서 시연해 대박을 쳤다. 이 설비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붙잡아 주는 레일과 엘리베이터 몸체에 톱니를 장착하고, 엘리베이터 몸체의 톱니는 엘리베이터 줄이 함께 당기고 있는 원리로, 줄이 끊어지면 톱니가 풀리면서 레일의 톱니에 맞물려 엘리베이터를 잡아두는 원리다. 오티스는 실제로 자신이 탄 엘리베이터 줄을 끊었고 안전 장치가 작동해 엘리베이터는 추락하지 않았다.

한국의 첫 엘리베이터도 오티스에서 설치했는데, 1910년 조선은행에 설치한 엘리베이터가 바로 오티스에서 설치한 엘리베이터다. 한국 최초 전동엘리베이터 또한 오티스에서 1914년 조선호텔에 설치했다.

한국의 3대 엘리베이터 업체[5] 중에서 유일하게 100층 이상의 마천루(롯데월드타워)에 설치된 적이 있는 업체이다.

2023년부터 러시아 사업장을 죄다 현지 업체인 Meteor 사에게 팔고 완전 철수를 했다.[6]

3. 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티스 엘리베이터/대한민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티스 엘리베이터/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티스 엘리베이터/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모델의 종류

엘리베이터 분류
<rowcolor=#fff> 속도 분류 제어 방식 구동 형식 상태
<bgcolor=#0000ff,#00ffff> AC 교류 GD 유기계실 기어드 한국 신규 설치 가능
~60m/min
<bgcolor=#009900,#adff2f> DC 직류 GL 유기계실 기어리스 단종 및 판매 중단 기종 중, 승강기 안전관리법 만족 가능
60~105m/min
<bgcolor=#ddab01,#ffcd12> VF VVVF MRL 무기계실 운행중인 현장이 감소 중임
105~180m/min
<bgcolor=#ff7f00> H 유압식 한국에서 대부분 교체되었거나, 운행중인 현장이 거의 없음
180~300m/min
<bgcolor=#ff0000> P 권동식(포지티브식) 운행정지 현장만 남음
300m/min~
<bgcolor=#ff69b4> LR 리니어식 한국 설치 이력이 없거나 모두 교체됨
화물용
<bgcolor=#000000,#d3d3d3>
알 수 없음
부분교체된 승강기는 본래의 기종으로 인정하지 않음
?: 제공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 타 회사의 제어반을 사용하거나, 타 회사의 모델을 OEM(또는 ODM) 생산했을 경우
※ 상세한 엘리베이터 분류 설명은 틀:엘리베이터 분류/설명 문서 참고

각 모델은 2021년 6월에 진행된 토론을 통해 라인업을 분류했다. 그러나 해당 토론 내용의 라인업 분류에 관한 내용에 대해 잘못된 내용이 다수 발견되어 2021년 9월 20일 아래와 같이 재정렬한다.

한국 지사 모델은 오티스 엘리베이터/대한민국 문서 참조.

미국 본사가 아닌 해외 지사 생산분의 경우 의외로 다양한 제조업 전문 기업들과의 연결고리가 있다. 상술한 한국 지사는 히타치 - LG산전 시절 생산하던 모델을 LG산전 인수와 함께 편입했고,[7] 독일 지사의 경우 지멘스의 승강기 사업부를 인수해서 사업을 이어나갔으며, 일본 지사의 경우 2000년대에 생산된 일부 모델에 National·OTIS 라고 표기되어있는 점에서 알 수 있듯 파나소닉[8]과 합작했다가 완전히 인수했다.

4.1. 중저속 기어드

4.1.1. 오리지널

AC-1(●) AC GD
권상식 교류 모델이다.
AC-2(●) AC GD
탑승영상(외국): 일본 나고야 마츠자카야백화점 본관 서쪽 3호기(교체 전)[9]
Elevonic 201(ACVV, AC-VF, SPEC-60, TOEC-60, VF201, HV-301M)(●) (지원속도: 60~105m/min) AC GD / VF GD
탑승영상(외국): 일본 오사카 타카시마야 백화점 서쪽 2번 홀(SPEC-60, 리모델링 전), 일본 나고야 마츠자카야백화점 본점 남관 전망용 구간(SPEC-60, 리모델링 전)
탑승영상(한국): 대구 문앤선빌딩(SPEC-60)
권상식 교류 및 VVVF 모델이다. 미국 본사, 독일 지사 생산분인 Elevonic 201, 일본 지사 생산분인 SPEC-60/VF201, 중국 지사 생산분인 TOEC-60으로 나뉜다. 현재 익산 모 아파트 정도에나 TOEC-60이 운행중지된 채 남아 있었으나, 그마저도 삼일엘텍으로 제어반, 웜기어용 모터가 갈리면서 사실상 전멸했다.[10]
Elevonic 220(MCS-220, VF200, VF220M)(◐) (지원속도: 60~105m/min)[11] VF GD
탑승영상(한국): 대한항공 공사원 아파트(VF200)
미국 본사, 독일 지사 생산분인 Elevonic 220, 일본 지사 생산분인 VF200/VF220M으로 나뉜다. 일본 지사 생산분인 VF200/VF220M은 외부 호출 시 미쓰비시엘리베이터와 같은 차임벨이 표출된다.
Elevonic 311(DC-GD(?), SPEC-90(◈/▼)) (지원속도: 60~150m/min) DC GD / VF GD
탑승영상(외국): 일본 오사카역 앞 제1빌딩 서쪽 승객용(SPEC-90, 리모델링 후), 일본 나고야 타카시마야 백화점(SPEC-90)
탑승영상(한국): 메리츠타워 셔틀 구간(SPEC-90), 흥국생명 셔틀용(SPEC-90, 리모델링 전)
미국 본사, 독일 지사 생산분인 Elevonic 311, 일본 지사 생산분인 SPEC-90으로 나뉜다.
Elevonic 321(MCS-321, VF300)(?) (지원속도: 60~150m/min) VF GD
탑승영상(한국): 한진타운아파트(VF300)
미국 본사, 독일 지사 생산분인 Elevonic 321, 일본 지사 생산분인 VF300으로 나뉜다.
Europa 2000(●) (지원속도: 60~105m/min) AC GD / AC H
2단 교류 겸 유압식 모델. 유럽의 저층 주거 및 상업 건물을 위해 설계되었다. 주로 유럽에서 판매되었지만, 아시아에 설치된 사례도 드물게 존재한다.
Europa 2001(●) AC GD
ELTRON 2000(VVVF) (?) VF GD
탑승영상: 홈플러스 천안신방점[12], 신성빌딩
SPEC-50(TOEC-40) (◐) (지원속도: 60~105m/min) AC GD / VF GD
탑승영상(한국): 구미시 화진금봉타운5차, 익산 모현동 우남아파트
일본 지사 생산분인 SPEC-50, 중국 지사 생산분인 TOEC-40으로 나뉜다.
TOVF-80 (▼) (지원속도: 60~105m/min) VF GD
탑승영상(한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세림빌딩,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가성빌딩
18ATF(●) (지원속도: 150m/min 이하) VF GD
탑승영상(한국): 마트월드관리단
한국에서는 마트월드관리단[13]만 남았지만 이마저도 임시번호판이 붙은 데다가 결국 2024년 말 대성IDS 기종으로 전면 교체되어 전멸했다.
FOVF(●) (지원속도: 15~60m/min) VF GD
아시아 전용 화물용 모델. 한국에서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Otis 3200(●) (지원속도: 60~150m/min) VF GD
중국에서 제조된 모델. 주로 아시아 및 중동에서 판매되었다. 2000년대 후반 또는 2010년대 초반에 단종. 한국 출시여부 불명

4.1.2. Otis 2000(●)

주로 유럽 시장을 위해 설계된 엘리베이터 모델이었지만 아시아 지역에서도 판매되었다. 1993년에 출시되어 2000년대 중반에 단종되었다. 다양한 변형 모델들이 존재한다.

2000E (지원속도: 150m/min 이하) AC GD
저층 및 중층 건물용 교류 기어드 모델이다.
2000VF (지원속도: 150m/min 이하) VF GD
저층 및 중층 건물용 권상식 VVVF 기어드 모델이다.
2000R AC GD
러시아 및 CIS 국가 전용 모델.
2000H (지원속도: 60m/min 이하) AC H
저층 건물용 유압식 모델이다.
2000H Easier (지원속도: 30m/min 이하) AC H
2000H의 MRL 버전.
Cargo 2000 AC GD / AC H
2단 중앙 개폐를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겸 유압식 화물용 모델이다.

4.2. 중저속 기어리스 (GEN2, GEN3)

오티스의 벨트식 기어리스 주력 라인업이다. 2023년에 신규 유지관리 서비스 '오티스 원'이 결합된 GEN3가 출시되었다.

GL1(ED MOR, GEN2 ED)[14](◈) (지원속도: 60~105m/min) VF MRL
탑승영상(한국(기존)): 순천 SC아울렛 옥외구간(교체 전)[15], 대구 수성클리닉[A][17], 송파삼성래미안상가[A]
탑승영상(한국(SIGMA)): 리트모, SPG드림센타
미국 본사 생산분 GEN2 모델이자 MRL(무기계실) 모델이다. 2001년 출시.[19] GL1, GR1기종은 카내 OPB에 'GEN2'라는 브랜드가 장착되있는게 특징.(이 브랜드가 장착되있으면 다 벨트식 MRL기종(GR1/GL1)이라 보면 된다.) 티케이엘리베이터에도 같은 모델의 이름이 있지만 그쪽은 유기계실 중저속 기어리스 모델이다. 후기 한국 지사 버전은 시그마 제어반을 사용해서 GR1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GC1(◈/▼) (지원속도: 60~105m/min) VF MRL
탑승영상: 기장교리근생빌딩
독일 지사 생산분 GEN2 모델이다.
GU1(ACD4MRLGU1, ACD5MRLGU1)(★) (지원속도: 30~60m/min) VF MRL
탑승영상: 아린프라자(젠투라이프 노바 플러스)[20], 씨사이드테라스(젠투라이프 노바 플러스), 플로렌스(젠투라이프 노바 플러스)
2020년 6월 출시. 소규모 신규설치 현장을 위한 하부 벨트 통과형 모델로, 2020년대 해당 라인업에서 최하위 티어를 담당한다. 한국 지사 버전의 경우 국승정에서 모델명이 'ACD*MRLGU1'로 표기된다.

4.3. 고속 기어리스

4.3.1. 초기형

VIP-260(Autotronic)(●) (지원속도: 240m/min 이하) DC GL
1940년대 후반에 출시되어 50여년 동안 수많은 리뉴얼을 거쳐 판매되어 2000년대 초반에 단종되었다. 한국에서는 서울시민회관, 문화방송 2대 사옥(현 경향신문 본사), 정부과천청사, 남산서울타워 등에 설치되었으나 지금은 전멸했다. 출시 초기에는 Autotronic[21] 브랜드의 플래그십 모델로 판매되었으나 1980년대 부터[22] 단종 시까지는 미국 내수용이나 일부 개도국, 저개발국 수출용으로 전락했다. 이후 사실상 해당국가들의 동급 포지션은 시그마 엘리베이터의 DS-4를 거쳐 OH7000/NV3가 계보를 잇고 있는 상태.
Elevonic 101(Lexan)(●) (지원속도: 105~360m/min) DC GL
탑승영상: 미국 웨스트포트 스트리트
1977~1978년경 출시. VIP-260의 후속, Elevonic 401의 전신격 되는 모델이다. 한국에서는 대한전선 옛 안양공장[23]에 설치되었다는 말이 있다. 시판 중이던 시절의 한국에서는 안 그래도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외산승강기 수입 제한 조치 여파[24][25][26]로 훗날 이 회사한테 인수된 구 금성 계열이나 동양에레베이터 등의 동급 일본제 면허생산품에 밀려 설치현장이 상기 대한전선 안양공장 등 이외에는 거의 없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때문에 씨가 말랐다. 1981년까지 4~5년만 생산된 채로 단명한 모델이라 전세계적으로도 E401보다 설치현장이 더 적다고 봐야 한다.
Elevonic 401(●) (지원속도: 105~420m/min) DC GL
탑승영상: 캐나다 토론토 스탠다드 라이프 센터
1981년 출시. Elevonic 101의 후속, Elevonic 411의 전신격 되는 모델이다. 한국에서는 상술한 외산승강기 수입제한조치 여파로 당시 오티스가 한국 영업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서 설치현장이 완전히 전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더군다나 1981년부터 1989년까지 생산되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도 설치 및 잔존현장이 그리 많지 않다.

4.3.2. SKYWAY

1990년대에 나온 고속 라인업으로 SKYRISE 출시 이후 외국에서는 단종되었다.

Elevonic 411(Elevonic 411M, Elevonic 411MMS, MCS-411) (지원속도: 150~600m/min[27]) DC GL(●) / VF GL(▼)
탑승영상(외국): 미국 라스베이거스 브다라 호텔, 홍콩 쉐라톤 호텔 & 타워
탑승영상(한국): 롯데월드타워 스카이셔틀,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고층용(리모델링 전)[28], 신도림 테크노마트 사무동 고층용, 남산서울타워(교체 전)[29], 포스코타워 송도 파노라믹65 셔틀[30], 강남 미진프라자(교체 전)
Elevonic 401의 후속 모델로 1989년 출시되었다. 1999년 이후 설치분은 VVVF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SKYWAY라는 브랜드명으로 출고가 되었다. 초기형은 Elevonic 401에도 적용되던 Series 1 계열의 운전반을 탑재했고 이후로는 Luxury 계열 버튼을 사용하다가 나중엔 한국 지사 버전 한정으로 시그마 계열 버튼을 사용했다. 가장 먼저 LCD 층표시기를 탑재했다. 한국 지사 버전 중 ACD 제어반 탑재분(포스코타워-송도 호텔 저층 구간 등)은 SKYRISE 브랜드로 분류된다. 오티스에서 고속 라인업으로 중국 상하이 생산분 SKYRISE 계열을 출시함과 동시에 중국 외 지역 생산 감축으로 인해 외국에서는 2014년에 단종되었고, 한국에서는 2016년 롯데월드타워 설치분(10대[31])을 마지막으로 단종되었다. 한국에서는 승안법 개정으로 직류[32] 한정 전멸하였다.
Elevonic 413(MCS-413, MCS-412) (지원속도: 120~360m/min)(▼) VF GL
탑승영상(한국): 동대문 굿모닝시티 전망용 구간, 이마트 성수점 매장입구 구간(철거 전), 비스타 워커힐 서울 객실용
1995년에 출시된 Elevonic 411의 확장형 겸 하위 모델이다. 한국 지사 버전 중 ACD 제어반 탑재분(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룸서비스 구간)은 SKYRISE 브랜드로 분류된다.

4.3.3. SKYRISE

2011년에 출시된 고속 라인업으로 중국 상하이의 HIGH RISE CLC 공장에서 생산 및 출고된다. 한국 지사 버전의 경우 국승정에서 모델명이 'ACD*MREXTGMH' 또는 'E2 GMH*' 로 표기된다.

GMH1(★) (지원속도: 180~300m/min) VF GL
탑승영상(외국): 미국 할리우드 하드락 호텔
탑승영상(한국): 루원지웰시티푸르지오, 대구용산자이
E413의 후속 모델이자 현행 하이엔드 모델이며 2011년에 출시되었다. 이름은 Global Model Highrise의 약자다. 원래 GMH2와 함께 'GMH'로 묶여서 권상기 및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판매되었으나 연도 미상 이후로 라인업이 나뉜 것이다. SkyMotion 80, 110, 150 권상기가 적용 가능하다.
GMH2(★) (지원속도: 180~750m/min) VF GL
탑승영상: 더라움펜트하우스, 아산탕정지웰시티푸르지오, JTBC빌딩, DB금융센터 고층용(교체 후), GS타워 고층용(교체 후), GS타워 비상용(교체 후)
E411의 후속 모델이자 현행 플래그십 모델이다. SkyMotion 150X, 260X, 400, 800 권상기가 적용 가능하며 더블데크 옵션 또한 지원한다.
GMH3(★) (지원속도: 180m/min 이상) VF GL
탑승영상: 여의도 TP타워 피난용[33]
GMH2의 대용량 버전 겸 상위 모델. 2024년 2월 1일 출시. 한국에서는 여의도 TP타워(피난용 구간)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E2 제어반[34]이 최초로 탑재된 승강기를 설치했다고 나왔는데 해당 모델명이 E2 'GMH3'로 등록되었다. 뉴스에 따르면 SKYRISE 3 라인업에 편입이 되었다고 한다.

4.4. 유압식(◈)

EV-100(?) AC H
GMV(▼) AC H
탑승영상: 시화유통상가
이탈리아 GMV社와의 합작으로 발매한 것으로 추정. 한국에서는 위의 시화유통상가에만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IALA(●) VF H
유압식 VVVF 모델. 한국에서는 강남358타워(구. 삼성생명(주)역삼동빌딩)에 1대 남아 있었으나, 그마저도 운행정지를 2번 먹고, 2018년에 새한엘리베이터의 XX-VPM으로 교체되어 전멸했다.
Elevonic 120(MCS-120, SPEC-45)(▼) AC H / VF H
미국 본사, 독일 지사 생산분인 Elevonic 120, 일본 지사 생산분인 SPEC-45로 나뉜다.
Elevonic 301(●) AC H / VF H
교류 및 VVVF 유압식 모델. 한국에서는 유압식 수요가 조악하여 미발매한 것으로 추정.
HYTRON 2000(▼) AC H
Hydrofit(●) VF H
MRL 유압식 모델이다. 한국에서는 유압식 수요가 조악하여 미발매한 것으로 추정.

4.5. 권동식

JO2A-30(◐) VF P
초저인승 포지티브식 엘리베이터 모델로 추정. 한국에서는 워커힐에 1대 설치되어 있었으나 그마저도 7년간 운행을 하지 않다가 재개 후 현재는 휴지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omnihome(▼) VF P
일본 지사에서 개발한 주택용 모델.

4.6. 리니어식

SKY-LINEAR(●) VF LR
탑승영상: 인천 인하대병원 주차장용
오티스 일본법인에서 개발한 리니어 모터 구동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설치되어 있던 인하대병원 주차장용 엘리베이터가 동사의 GR1으로 교체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5. 행선층예약시스템

COMPASS와 COMPASS PLUS란 브랜드가 있다. 한국에는 트윈트리타워, 강남파이낸스센터 메인 구간, 서초 마제스타시티, 수표동 시그니처 타워, 미래에셋센터원 사무 구간, 포스코타워-송도 오피스 구간에 있다.

6. 알림음



일부 알림음은 한국 오티스 미국, 일본, 독일, 중국 생산분에서 들을 수 있다.

7. 비판

  • 먹튀 및 중국제 부속 남용 논란
    미국에서는 상술하듯 중국 외 공장 축소 절차로 이후 미국 내 납품분이 중국(상하이, 다롄), 일본(가나가와), 한국(송도) 직수입분이나 미국 현지 OEM 생산분으로 대체하는지라 물귀신으로 취급받는다.[35] 한국에서는 1999년 LG산전엘리베이터 인수 이후 2000년대 초반부터 창원공장 생산라인 감축에 들어갔으며, 기어이 2013년을 맞이하자마자 창원공장 자체까지 철수했다.[36] 2010년대 악명을 떨친 대표적 중국산 제품으로 NV 계열이 있으며, 창원공장 폐쇄와 동시에 한동안 신규 설치분 MR 타입 모델은 NV 계열만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기 시작한다. NV 계열을 제외하면 평균 품질이 이 회사보다 좋지 않은 제조사들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NV 계열 주력판매 여파 하나만으로 한국에서 크게 신임을 잃어 2010년대 중반부터 신축건물에서 이 회사의 MR 타입 모델은 고속 제품을 제외하면 메이저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크게 밀려버리면서 NV 계열 내수판매가 중단된 2019년 이후에도 교체공사에 전적으로 의존하다시피 하는 신세이다. MRL도 2013년 중반부터 중국산 및 엔트리 모델인 GPR을 밀어줌과 동시에 2015년 다시 정책을 바꾸기 전까지 기존 GR1은 소수의 특수용도, 대규모/고층 현장 중심으로 투입됨에 따라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다. 젠투 프리미어 또한 2016년부터는 표준 제품들과 같은 전장품을 사용하고 품질 개선, 중속 대응이 이루어졌으나 결국 모두 2010년대를 넘기지 못한 채 드랍되어[37] 경쟁사들과 달리 2020년대부터 일반 상부구동형 MRL은 다시 GR 계열로 일원화됐다.
  • 2023년 하청 노동자 사망 및 대응 논란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중시한다고 평가받았던 이 회사마저 동년 6월 서대문구 모 아파트 엘리베이터 점검 중 청년 노동자 추락사 발생에 이어 9월에도 작업자의 로프 충돌로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말았다. 전자의 경우 점검 시 2인 1조 의무화를 회사에 수차례 요구했지만 제대로 수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결국 이미 10년 전부터 고용산재 보험 가입 의무를 설치 협력사에 전가했다는 것까지 밝혀졌다.
  • (타사 대비) 지속적인 반 배리어 프리 상품 출시
    타사에서는 터치형을 제외하면 2010년대 이후 새로 출시하는 버튼은 모두 점자를 탑재하나, 오티스의 흰색 플라스틱 직사각형 버튼은 2010년에 출시했음에도 점자가 내장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2020년대 초반 출시한 젠투라이프 노바 플러스도 비장애인용과 장애인용에 사용되는 버튼을 각각 다르게 판매중이며, 비장애인 버전은 점자가 제공되지 않는다.[38]

8. 관련 문서


[1] 세계 최초로 현대식 엘리베이터를 발명한 인물이며, 1861년 4월 8일에 사망하였다. 그의 묘지에는 오티스 로고가 달린 승강기 모습의 묘비가 있다.[2] 정확한 이름은 엘리샤 그레이브스 오티스(Elisha Graves Otis)이다.[3] 이 그룹 산하에 있는 또 다른 유명한 기업으로는 항공기 엔진 제조사 프랫 앤 휘트니와 에어컨 제조사 캐리어가 있었다.[4] 동시기 캐리어 에어컨도 UTC에서 분리되었으며, 두 회사가 나간 이후 UTC는 방위산업체인 레이시온에 합병되었다.[5] 현대, 티케이, 오티스[6] 이후 Meteor는 오티스가 이전에 철거한 공장을 철수 이후 다시 지었다.[7] 금성기전미쓰비시 제휴 모델은 오티스의 LG산전 인수 이후 인력이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로 독립하며 오티스에 편입되지 않았다.[8] 현재는 국내외 안 가리고 파나소닉 브랜드만 쓰지만 과거에 일본 내수 브랜드로 National(나쇼날)을 내세우기도 했다. 미쓰비시 제품과 동일한 홀랜턴 차임벨 부품을 사용했는데, 한국에도 이런 제품을 몇 대 팔았다. 오티스 로고를 달고있으면서 미쓰비시와 비슷한 차임벨을 내보내는 제품이 있다면 그것이 파나소닉과 함께 개발한 제어반을 쓰고 있는 모델이다.[9] 나고야 마츠자카야백화점 본관 4호기는 2009년 중반경에 직원용으로 전환되었다.[10] 그나마 특성상 일부 내장재로 흔적은 남아있다.[11] VF200은 분속 60m/min만 지원된다.[12] 현재 삼일엘텍 제어반으로 부분교체 되었으며, 폐점 후 철거될 전망이다.[13] 둘 다 화물용이다.[14] 국승정에서는 일부 현장에 브랜드명인 GEN2로 표기되었다.[15] 2023년 11월 초에 나라엘리베이터로 교체되었다. 대성IDS 제어반 적용. 그러나 직수입 전망용 사양에 20인승이였던 승강기가 13인승으로 크게 줄어들면서 쓸모없는 공간이 생긴 건 물론이요, 전망창 삭제, 옵션 부실(2020년대 중소업체 버튼이 아닌, 2010년대 초반 중소 승강기에 보이던 버튼 및 운전반 또한 중소 중에서도 제일 무명의 제품을 가져왔다. 화이트 도트조차 적용되지 않은 건 덤이다.) 아주 처참하게 다운그레이드 됐다.[A] 국승정에서는 브랜드명인 GEN2로 되어있다.[17] 유럽식 내장재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유럽에선 영국에서 자주 볼 수 있다.[A] [19] 정확히 말하면 2001년에 GR1과 GL1이 동시에 출시하였으나, GL1은 2001~2007년 쯔음까지 주로 많이 설치되었고, 2007년 쯔음부터 GL1이 아닌 GR1으로 거의 다 설치했다 보면 된다.[20] 26인승 노바플러스다.[21] 기계식 자동제어[22] 이 때부터 플로어 셀렉터를 점차 부분적으로 전자제어 마이크로컴퓨터로 바꿔 Elevonic 브랜드의 원가 절감 모델로 판매했다.[23] 정황상 해당 공장이 아닌 OF케이블공장 준공시점(1978)일 가능성이 높고 최고속도의 사양이 설치되었다.[24] 제4차 경제·사회 개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승강기 수입규제 강화, 국산화 장려, 엘리베이터 기술 합작투자 유도 등을 골자로 하여 1976년 완성되었다. 하필 공교롭게도 그 해가 도시바엘리베이터 일본 본사 출범 딱 10년째 되던 해였다.[25] 후술할 동양에레베이터에 항목에 기술되어 있고 동양엘리베이터가 도시바 기술제휴를 시작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동양에레베이터도 수입제한 전까지 한때 이 회사 총판도 겸하기도 했다.[26] 한편 동양에레베이터가 외산승강기 수입제한 전까지 오티스와 더불어 같이 수입하던 브랜드 중 하우샹의 경우 훗날 수림엘리베이터에서 면허생산했으나 1998년 본사가 쉰들러엘리베이터로 넘어갔고, 웨스팅하우스는 1982년부터 현대엘리베이터를 통해 수입, 면허생산했으나 1988년 본사 사업부가 똑같이 쉰들러에 팔려버렸으며, 피암(FIAM)이나 익스프레스는 전혀 한국에 못 들어온 채 각각 코네엘리베이터와 오티스에 1986년, 1997년 매각되었다.[27] 150~420m/min(1990년대 사양)[28] 1979년식을 일자 미상(2001~2002년 추정)에 E411로 권상기 제외 부분교체했으며 지금은 티케이엘리베이터로 리모델링되었다.[29] 1975년식 VIP-260을 2007년 8월에 E411로 권상기 제외 부분교체했으며 지금은 DS-4 기종으로 교체되었다. 당시 국승정에서는 확인불가로 오기재.[30] 로비 셔틀도 겸하는 420m/min 기종이다. 해당 기종 옆에 있는 로비 전용 엘리베이터 2대는 240m/min[31] 비상용 2대는 국승정에서 Di5로 오기재.[32] 1999년 이전 사양[33] 4500kg 51인승, 240m/min다.[34] ACD-5 제어반의 고속/대용량 대응 버전으로 추정되며, 이 제어반의 경우, 정부용 성우의 안내방송을 그대로 사용한다. 하지만 스크롤 기능은 빠지는 걸로 추정된다.[35] 이 때문에 미국에서 후지테크가 점유율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말았다.[36] 비슷한 시기에 독일공장(지멘스 엘리베이터 사업부 출신이다.)도 폐쇄되었고 이 때문에 유럽에서도 논란이 있긴 하지만 유럽 전역에 걸쳐 여러 제조 계열사를 가지고 있어(ExpressEvans, Magnussons 등.) 미국보다는 사정이 낫다.[37] 특히 DR2는 강남 안다즈하얏트호텔밖에 발견되지 않았다.[38] 미쓰비시엘리베이터의 QTO 모델도 비장애인용은 점자가 제공되지 않으나 이쪽도 노바 플러스처럼 장애인용은 점자가 있기라도 하며, 노바 플러스 버튼 또한 타 모델에 적용한 경우는 없고 2022년형부터는 오히려 승객용 전용에서 장애인용 전용으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