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22:51:47

신더시티

LLL(게임)에서 넘어옴

파일:엔씨소프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요 서비스 목록
<colbgcolor=#003368> MMORPG 리니지 | 리니지 2 | 아이온 | 길드워 2 | 리니지M | 리니지2M
블레이드 & 소울 2 | 리니지W | 쓰론 앤 리버티
신규 IP(다양한 장르·플랫폼) 아이온2 | 호연 | Blade & Soul NEO | 신더시티 | 저니 오브 모나크
제작/유통 러브비트 | 퍼즈업 아미토이(싱글 플레이 가능)
엔터테인먼트 부문 버프툰 | 스푼즈 | 투턱곰 | 도구리(IP사업 유지)
}}}}}}}}} ||
신더시티
CINDER CITY
<nopad> 파일:llllogo.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빅파이어게임즈
유통 엔씨소프트
플랫폼 PlayStation 5[1] | Xbox Series X|S | Windows
ESD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장르 SF, 오픈 월드, TPS, RPG
출시 2026년
엔진 언리얼 엔진 5
심의 등급
관련 사이트

1. 개요2. 트레일러3. 발매 전 정보4. 기타

1. 개요

엔씨소프트의 자회사인 빅파이어게임즈에서 개발 중인 3인칭 오픈월드 MMO 슈팅 게임.

2. 트레일러

▲ LLL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2]
▲ LLL 개발자 인터뷰
▲ LLL 개발자 코멘터리
▲ 게임스컴 2025 공개 트레일러

3. 발매 전 정보

2022년 엔씨소프트가 NCing으로 공개한 게임 중 LLL이라는 명칭으로 공개되었다.

동로마 제국과 파괴된 서울, 23세기 미래가 뒤섞여있는 대체역사 SF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디비전, 데스티니와 같은 루터 슈터배틀그라운드 같은 배틀로얄과는 전혀 다른 장르의 게임이며, 온라인 지원이 예정돼 있다.#

개발 총괄인 배재현[3] 부사장은, "SF 세계관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디스토피아적인 스토리텔링, 슈팅을 좋아하신다면 근미래 슈팅 게임을, 온라인 게임을 선호하신다면 PvE와 PvP가 있는 MMO로 생각해주시면 된다"고 전했다.

2025년 2월, 엔씨소프트 2024년 실적발표에서 박병무 엔씨 공동대표가 2분기 FGTCBT를 진행할 계획이며, 25년 하반기에 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2025년 8월 18일, 정식 게임명을 신더시티(CINDER CITY)로 확정하였고 2026년 출시를 목표로 했음을 알렸다.

8월 20일, 게임스컴 2025에서 공개되었다. 자국인 한국에서야 그 엔씨소프트의 게임이라는 점 때문에 기대하는 의견은 거의 없고, 북미를 비롯한 해외 평가도 그저 그런 편이다. PC Gamer는 트레일러를 보고 그래픽 좋은 15년 전 게임같다고 평하기도 했다.# 톰 클랜시의 디비전 또는 워프레임 등 지난 20년간 나온 게임들을 섞어 놓은 것 같아 그리 기대는 안되지만 이런 게임에 향수를 가진 게이머들이라면 좋아할 것 같다는 의견. 같이 공개된 엔씨가 퍼블리싱하는 게임 타임 테이커즈의 경우 난잡한 비주얼 때문에 콘코드 2냐는 조롱을 받은 것에 비하면 그나마 나은 편.

4. 기타

  •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에서 등장한, 플레이어 캐릭터에게 상황 보고를 비롯한 오퍼레이팅을 하는 음성의 성우는 여민정이다.[4]
  • 블레이드 앤 소울팀을 맨 처음 구성했던 배재현과 CBT 이전 같이 했던 황성진[5]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완전하진 않지만 배재현을 필두로 한 블레이드 앤 소울 개발자들이 다시 모인 것으로 보인다.
  • 엔씨소프트의 신작 둘 중 프로젝트 M과 더불어 그나마 기대받던 작품이었으나 프로젝트 M이 개발취소되면서 유일한 기대작이 되어버렸다. 2022년부터 주가가 반토막 나며 다급해진 엔씨가 이른바 NCing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여러 신작들을 발표했으나, 전부 실패 내지 개발 취소로 망해버려서[6] 본작이 NCing 중 최후의 희망이 되었다.

[1] PlayStation 5 Pro 대응.[2] 영상의 마지막 신을 제외하면 인위적인 카메라 점프나 화면 편집 등 아무런 조작 없는 게임 플레이 화면이라고 한다.[3] 리니지 2, 블레이드 앤 소울 초대 프로듀서/디렉터.[4] 비슷한 연기 톤의 배역으로는 하프라이프 2콤바인 감시인이 있다.[5] 2000년대 초반 e 스포츠 초창기 시절 피파의 게임해설가로도 활동했었다. 이후 인디21에 입사, 기획팀장으로서 구룡쟁패 개발에 참여했다. 이후 블레이드 앤 소울의 기획 팀장으로 참여.[6] 프로젝트 R, 프로젝트 BSS, TL은 흥행에서 철저히 실패했고, 프로젝트 E, 프로젝트 M, 프로젝트 G는 개발 취소로 나오지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