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06:05:54

Gyeongnam Sparkle Esports

Sparkle Esports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cfbfc> 파일:er 내셔널리그 임시 로고.pngERNL
참가팀
}}}'''
'''{{{#!wiki style="color: #05061a; margin:0 -10px -5px"
{{{#05061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er 경기 이네이트 로고(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화이트.png 파일:FN esports.png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파일:대전 오토암즈.png파일:대전 오토암즈 화이트.png
Gyeonggi Innate FN SEJONG Seongnam ROX DaeJeon AutoArms
파일:GJ Slasher 로고.png파일:GJ Slasher 로고 화이트.png 파일:인천 브랜드슬로건 상하조합형(태그).png 파일:스파클로고.png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화이트.png 파일:2025BusanBeSPA.png
GJ Slasher All ways Incheon Gyeongnam Sparkle Esports Busan BeSPA
¹ 제천 사이버즈 디스코드 담당자에 의하면 연고지를 옮긴 팀은 『신규 팀 자격』으로 한국e스포츠협회에 지역연고팀을 신청해야 한다고 한다.
² 따라서 대전/부산에 들어간 DaeJeon AutoArms과 Busan BeSPA, 8번째 지역으로 합류한 Gyeongnam Sparkle Esports를 추가.
}}}}}}}}}}}}'''
파일:스파클로고.png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화이트.png
<colbgcolor=#947bb8><colcolor=#fff>
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Gyeongnam Sparkle Esports
창단 2021년
연고지 경상남도
소속 리그 ERNL
팀명
[ 과거 시즌 팀명 펼치기 · 접기 ]
FanaKids(2021.12 ~ 2022.01)
Hahyungsungmin(2022.03 ~ 2022.04)
500NP(2023.01 ~ 2023.03)
Family(2023.05 ~ 2023.07)
Family Man(2023.08 ~ 2023.10)
Wild Hunter(2023.11 ~ 2024.01)
500NP(2024.04 ~ 2024.10)
Sparkle Esports(2024.10~2024.11)
Gyeongnam Sparkle Esports (2024.11~)
홈 경기장 경남e스포츠상설경기장
모기업 스파클이스포츠
대표 [[이찬희(이터널 리턴)|이찬희
DonTouchMe
]]
단장
코치 김태민
Yeonha
약칭 GNS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947bb8><colcolor=#fff>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근석|안근석
Scarlett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종원(프로게이머)|이종원
SongHara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효준|최효준
Alto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동훈(이터널 리턴)|한동훈
Peng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주요 경력3. 스폰서4. 플레이 스타일5. 성적
5.1. Gyeongnam Sparkle Esports
6. 구성원
6.1. 로스터 연혁6.2. 스태프 연혁
7. Gyeongnam Sparkle Esports Academy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이터널 리턴 프로 게임단. 팀 약자는 GNS.[1]

2. 주요 경력

준우승 경력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페이즈 3 준우승
MIRAEN SEJONG 500NP Chusitte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1 준우승
Asher Gyeongnam Sparkle Esports 미정

3. 스폰서

LEAD
파일:스이츠.png
스파클이스포츠 (모기업)
PREMIER
파일:attachment/gyoungnam.png 파일:경남문화예술진흥원.png
<rowcolor=#fff> 경상남도연고지 경남문화예술진흥원
PARTNER
파일:OP.GG 로고.svg
<rowcolor=#fff> OP.GG

4. 플레이 스타일

1탱 2원이 대세인 대회판에서 굉장히 이질적이고 극단적인 것 처럼 보이는 3원딜 조합을 주로 기용하는 팀이지만, 개개인의 뛰어난 숙련도와 조합 완성도를 바탕으로 성적을 내고 있는 팀이다.

기본적으로 앞라인이 없는 조합은 대회는 물론 솔랭에서조차 기피되는 조합으로, 후반으로 갔을때 3딜러가 뿜어내는 화력의 고점은 분명 높긴 하지만 상대방의 화력을 받아내줄 실험체가 없다는 점, 3딜러 특성상 모든 딜러에게 아이템이 배분되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안정적으로 성장 해야만 한다는점, 그런 주제에 체급 싸움이 중심이 되는 초반이 약하면서 cc가 부족해서 저지력조차 없기 때문에 고점에 도달하기도 전에 폐사할 위험성이 높은, 굉장히 까다로운 조합이다.

그런데 시즌 6까지 경남 스파클이 주로 기용했던 3원딜 조합이자 경남 클래식 조합으로 불리는 엠마-클로에-셀린 조합은 이 모든 약점들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3딜러 조합 중 하나로 꼽힌다. 우선, 상대방의 화력을 받아낼 앞라인이 없긴 하지만 아티팩트를 고정적으로 채용하고 기동성이 뛰어난 엠마, 궁극기를 활용하여 순간 탱킹 능력이 뛰어난 클로에의 존재로 인해 뛰어난 어그로 핑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 단일 대상 딜링과 어그로 핑퐁에 특화되어 있고, 여기에 타겟팅 cc인 변이까지 가지고 있어서 아이템을 배분받지 않아도 1인분 이상을 해낼 수 있는 엠마를 아이템 분배에 후순위로 두고 나머지 두 딜러인 클로에와 셀린에게 우선적으로 아이템을 배분하면서 성장에 대한 부담도 줄였다. 물론 후반에 도달해 아이템이 남으면 엠마에게도 아이템이 배분되는데, 이렇게 3딜러가 모두 아이템이 구비되면 더욱 강력한 화력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덤.

마지막으로, 3딜러 조합임에도 불구하고 초반 체급이 전혀 약하지 않은 실험체인 클로에를 보유한 것은 물론, 엠마의 변이, 셀린의 블라스트 웨이브, 클로에의 인형극 등 하드 cc기를 모든 실험체가 보유하고 있고, 심지어 변이는 타겟팅이기 때문에 연계조차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초반부터 강하게 나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3딜러 조합의 모든 문제점들을 이론상 충분히 극복해낼수 있는 조합, 그리고 그 이론을 현실로 만들어내고도 남을 수준의 숙련도를 가지고 있는 각 실험체의 장인들이 모인 결과 초반은 초반대로 안정적으로 넘기거나 오히려 초반부터 킬트럭을 몰 수 있는데, 후반을 가면 대치 구도에서는 셀린의 지역 장악 능력으로 대응하고, 그렇다고 어중간하게 이니시를 거는 순간 엠마의 변이에 이어지는 3딜러의 화력과 cc연계 앞에 딜러는 물론 탱커들조차 아무것도 못하고 녹아버리는 답이 없는 조합이 완성된 것이다.

단, 교전을 받아치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반대로 장거리의 적에게 교전을 먼저 걸거나 들어가는 구도의 교전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인데, 셀린은 지역을 장악해놓고 니가와에 강하지 사거리 밖의 적에게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적고, 클로에는 평타 원딜 중에서는 사거리가 짧은 편에 속하다보니 기습적인 블링크 or 퀼트 리퍼 - 인형극 이니시 정도를 제외하면 할 수 있는게 없고, 결국 엠마가 본인도 상대 화력에 노출될 것을 감수하면서 다가가 변이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거리를 주지 않고 있는 상대방에게 먼저 교전을 걸기는 껄그러운 편이다. 그러다보니 경남 조합에 대한 가장 좋은 대처법은 애초에 상대해주지 않는 것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고, 실제로 막금구 싸움에서도 본인들이 먼저 자리를 잡은 경우에는 강하지만 상대가 먼저 자리를 잡았거나 상대방의 사거리가 셀린보다 월등하게 긴 경우에는 고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약점에 대비해 경남에서도 암시야를 이용해 기습적인 교전을 걸거나, 아예 셀린이 블링크-블라스트 웨이브로 시작되는 이니시를 걸어 대응하는 등 변칙적인 플레이로 이를 극복하고 있다.

또, 결국 딜러가 어그로 핑퐁을 통해서 탱커 역할을 수행하는 조합이라는 특성상 어그로 핑퐁에 실수하는 순간 조합이 와르르 무너져내리기 쉽다는 약점도 가지고 있다. 주 희생자는 탱킹을 전적으로 궁극기 하나에 의존하는 클로에.

한편으로, 경남은 조합의 경직성이 가장 심한 팀 중 하나로 꼽힌다. 대회에서 셀린-클로에-엠마의 클래식 조합 외의 다른 조합을 꺼내드는 경우가 손에 꼽힐 정도인데, 그나마 마스터즈에서는 조합 구성원들이 밴 되는 경우가 굉장히 적은 것은 물론 패치 노트에서도 사용 불가 급의 너프를 먹는 경우도 적은 편이어서 큰 문제는 아니지만, 2픽캡룰로 진행되는 내셔널이나 슈퍼컵 같은 대회에서는 큰 문제가 될 수 있고, 실제로 확실한 제 2, 제 3의 조합을 찾지 못하고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극복해야 할 부분. 이를 의식한 것인지 시즌 7로 들어가면서 클래식 조합에서 클로에를 맡던 패나 선수가 이탈한 대신, 상대적으로 다양한 실험체를 기용할 수 있는 알토와 펭 선수를 영입하여 조합의 다양성을 늘리는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펭 선수는 탱커 포지션의 선수인 만큼, 앞으로 경남에서도 정석적인 1탱 2원 조합을 볼 수 있게 될지가 기대되는 부분.

5. 성적

===# Family Man #===
파일:TBD_LOL.png
<rowcolor=#000> 기간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3.08.26 7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1 페이즈 1 와일드카드전
2023.09.09 5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1 페이즈 2 와일드카드전
2023.09.23 5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1 페이즈 3 와일드카드전

===# Wild Hunter #===
파일:TBD_LOL.png
<rowcolor=#000> 기간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3.10.15 2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1 LCQ
2023.10.28 5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1 시즌 파이널 준결승 ₩500,000
2023.12.01 6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페이즈 1 파이널 ₩300,000
2023.12.01 7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페이즈 2 그룹 스테이지
2023.12.01 5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페이즈 3 와일드카드전
2024.01.14 4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LCQ

===# 500NP #===
파일:500NP.png
<rowcolor=#000> 기간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4.04.19 8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3 페이즈 2 그룹 스테이지
2024.05.03 7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3 페이즈 3 그룹 스테이지
2024.07.21 2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페이즈 3 파이널 ₩800,000
2024.08.10 4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시즌 파이널 ₩1,000,000

===# Sparkle Esports #===
파일:sparkle logo.png
<rowcolor=#fff> 기간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4.10.13 6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1 파이널 ₩300,000
2024.10.19 7위 제2회 광주 북구청장배 아마추어 e스포츠 대회 결승전
2024.10.27 6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2 파이널 ₩300,000
2024.11.10 3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3 파이널 ₩600,000

5.1. Gyeongnam Sparkle Esports

파일:스파클로고.png
<rowcolor=#fff> 기간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4.12.06 3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시즌 파이널 ₩2,000,000
2025.01.19 2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1 파이널 ₩1,200,000
2025.02.09 7위 Eternal Return SUPER CUP 시즌 6 ₩500,000
2025.03.01 2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2 넉 아웃 스테이지 5 ₩200,000
2025.03.22 7위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시즌 파이널 ₩1,000,000

6. 구성원

6.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947bb8>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Fana 하형석 원거리 딜러 N/A 2021년 12월 29일 2025년 3월 24일 파일:YangjuWhalesLogo.png YJ Whales
Ing9 전인국 탱커 2023년 8월 25일 2023년 10월 28일 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no text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no text white.png Gyeonggi Innate
Unibell 하유성 스킬 딜러
Wakcul 이정민 올라운더
Alto 최효준 스킬 딜러 2023년 11월 23일 2024년 1월 14일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All ways Incheon
2025년 3월 26일
Yongjun 이용준 탱커 2023년 11월 23일 2024년 1월 14일
Cry 홍동빈 근거리 딜러
Wootae 송우태 2024년 4월 12일 2024년 7월 14일
DonTouchMe 이찬희 탱커 Motivation 2025년 3월 24일 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로고.png Gyeongnam Sparkle Esports 코치
Scarlett 안근석 스킬 딜러 Frozen
SongHarang 이종원 스킬 딜러 Chaser 2024년 7월 14일
Peng 한동훈 탱커 Cartel 2025년 3월 26일

6.2. 스태프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947bb8> ID 이름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Yeonha 김태민 N/A 20??년 ??월 ??일
DonTouchMe 이찬희 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로고.png Gyeongnam Sparkle Esports 2025년 3월 24일

7. Gyeongnam Sparkle Esports Academ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yeongnam Sparkle Esports Academy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yeongnam Sparkle Esports Academy#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yeongnam Sparkle Esports Academy#|]][[Gyeongnam Sparkle Esports Academ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 팀 분위기가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실제로 선수들의 스크림 방송을 시청하면 매우 시끌벅적하고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송출된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f15a3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KBO 리그 K리그2 한국프로농구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경남 FC 로고.svg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
NC 다이노스 경남 FC 창원 LG 세이커스
핸드볼 H리그 남자부 핸드볼 H리그 여자부 e스포츠
파일:두산 로고.svg 파일:경남개발공사 원형 로고.svg 파일:스파클로고.png
두산 경남개발공사 Gyeongnam Sparkle Esports
경상남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보기 | 경상남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 ||

'''
파일:이터널 리턴 로고.png파일:이터널 리턴 로고 블랙.png
게임단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1c1d1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ERNL 지역 연고 실업팀 (미선정된 지자체팀 포함)
파일:강원도 지도.svg
강원도
New Rise Gangwon
파일:수도권 지도.svg
수도권(경기)
All ways IncheonGyeonggi InnateSeongnam ROXYangju Whales
파일:충청도 지도.svg
충청도
DaeJeon AutoArmsFN SEJONGCNJ EsportsJECHEON CYBERS
파일:경상도 지도.svg
경상도
Busan BeSPADaegu GuardiansGyeongnam Sparkle
Esports
파일:전라도 지도.svg
전라도
GJ Slasher
문서가 존재하는 아마추어 팀
Insighter
활동 중단 및 해체
<rowcolor=#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NK FEARX Cartel TAP3 HOSADAN
}}} ||
}}}}}}}}}}}} ||



[1] 500NP 시절에는 NP, Sparkle Esports 시절에는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