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요괴에 대한 내용은 고블린 문서
, 그 외의 뜻에 대한 내용은 고블린(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colcolor=#000> Tyler, The Creator Discography | ||||
{{{#!wiki style="margin:0 -10px" {{{#000,#fddb00 {{{#!folding [ 정규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1집 | 2집 | 3집 | 4집 |
<rowcolor=#000,#e5e5e5> Goblin (2011) | Wolf (2013) | Cherry Bomb (2015) | Flower Boy (2017) | |
5집 | 6집 | 7집 | ||
IGOR (2019) | CALL ME IF YOU GET LOST (2021) | CHROMAKOPIA (2024) | }}}}}}}}}}}} | |
{{{#!wiki style="margin:0 -10px" {{{#000,#fddb00 {{{#!folding [ 비정규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Mixtape | EP | ||
<rowcolor=#000,#e5e5e5> Bastard (2009) | Music Inspired by Illumination & Dr. Seuss' The Grinch (2018) | }}}}}}}}}}}} |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
→ | 2011년 5월 11일 1집 Goblin | → | 2013년 4월 2일 2집 Wolf | ||||||||||||||||||||||||||||||||||||||||||||||||||||||||||||||||||||||||||
Goblin의 주요 수상 이력 | |||||||||||||||||||||||||||||||||||||||||||||||||||||||||||||||||||||||||||||
|
<colcolor=#fff><colbgcolor=#248B84> The 1st Studio Album Goblin | |
버팔로 빌의 19세 시절 모습이다. | |
{{{#!wiki style="margin:0 -10px" | |
아티스트 | Tyler, The Creator |
발매일 | 2011년 5월 11일 |
장르 | 힙합, 호러코어, 얼터너티브 힙합 |
재생 길이 | 73:49 |
프로듀서 | Left Brain , Tyler, The Creator |
레이블 | XL Recordings |
[clearfix]
1. 개요
2011년 5월 11일 발매된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의 1집 정규 음반.2. 상세
이 음반은 2013년 발매된 Wolf의 스토리라인을 잇는 콘셉트 앨범이며, Wolf trilogy의 첫번째 에피소드, Bastard에도 등장한 바 있는 타일러의 가상 담당 전문의 Dr. TC와의 대화를 주제로 다루고 있다. 같은 오드 퓨처 소속인 Left Brain이 프로듀싱 한 Transylvania를 제외한 모든 트랙을 타일러 본인이 프로듀싱했다. 얼터너티브 힙합, 호러코어 장르의 앨범이다.3. 평가
메타스코어 72 / 100 | 유저 스코어 7.0 / 10 |
상세 내용 |
{{{#!folding [ 상세 리뷰 ] | AllMusic | 4/5 |
The AV Club | B+ | |
Entertainment Weekly | A– | |
HipHopDX | 4/5 | |
피치포크 미디어 | 8.0/10 | |
PopMatters | 8/10 | |
롤링 스톤 | 3.5/5 |
피치포크, AllMusic 등의 주요 매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앨범이나, 전작 Bastard만 못하다는 평도 나오는 등 호불호가 갈리면서 메타크리틱에서 72점의 점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장르와 구성에 얽매이지 않고 타일러 스타일 그대로 풀어나가는 전개를 보여주면서 많은 매니아층의 지지를 받았던 작품이다. 특히 She 같은 트랙은 초창기 타일러의 명곡으로 꼽힌다.
4. 트랙리스트
트랙리스트 | ||
<rowcolor=#fff> # | 제목 | |
1 | Goblin[1] | |
2 | Yonkers[2] | |
3 | Radicals (Feat. Syd Tha Kid, Taco) | |
4 | She (Feat. Frank Ocean) | |
5 | Translyvania (Prod. Left Brain) | |
6 | Nightmare | |
7 | Tron Cat (Feat. Syd Tha Kid)[3] | |
8 | Her | |
9 | Sandwitches (Feat. Hodgy Beats) | |
10 | Fish / Boppin Bitch (Feat. Frank Ocean) | |
11 | Analog (Feat. Hodgy Beats) | |
12 | Bitch Suck Dick (Feat. Jasper Dolphin, Taco) [4] | |
13 | Window (Feat. Domo Genesis, Frank Ocean, Hodgy Beats, Mike G)[5] | |
14 | Au79 | |
15 | Golden | |
<rowcolor=#fff> # | 디럭스 트랙 | |
16 | Burger (Feat. Hodgy Beats)[6] | |
17 | Untitled 63 | |
18 | Steak Sauce |
[1] 언더그라운드의 전설이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토리텔링 랩 트랙 중 하나인 Dance With The Devil을 부른 아티스트인 이모털 테크닉을 빌보드 200에도 들지 못하는 음악이라며 디스했다. 이후 테크닉의 동료 Diabolic은 Yonkers 비트에 프리스타일로 타일러를 디스한다.[2] 타일러의 대표곡 중 하나로,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가 유명해지며 본격적으로 유명한 음악가가 된다.[3] 동성애 혐오 가사가 있다. 그 외에도 가사가 굉장히 빡세다[4] 뮤비가 아주 광기가 넘친다..[5] 노토리어스 B.I.G.의 최고 명반으로 꼽히는 'Ready to Die'의 명곡 중 하나인 'Juicy'의 인트로를 그대로 가져와 사용했다.[6] 인종차별의 소지를 담은 가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