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00:26:03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FC 디나모 마하치칼라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파일:PFC 소치 로고.svg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아크론 톨리야티 로고.svg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파일:RussianFirstLeagueWhite.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풋볼 리그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조지아 국기.svg 에로브눌리리가파일:몰도바 국기.svg 슈퍼 리가 몰도바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A]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수페르 리가[A]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단결 연합 리그[A]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A] 공식적인 1부 리그로 인정받지 못한 리그[A] [A]
}}}}}}}}} ||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FC Baltika Kaliningrad
<colbgcolor=#04539e><colcolor=#fff> 정식 명칭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Балтика» Калининград
별칭 «балтийцы», «балда» (발트인들)
창단 1954년 8월 23일 ([age(1954-08-23)]주년)[1]
소속 리그 러시아 퍼스트 리그
연고지 칼리닌그라드 (Kaliningrad)
홈구장 로스텍 아레나 (Rostec Arena)
(35,016명 수용)
회장 타주트딘 카추카예프 (Tazhutdin Kachukayev)
후원사 로스텍 (Rostec)
감독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공식 웹사이트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러시아 퍼스트 리그
(2회)
1995, 2024-25
러시아 세컨드 리그
(서부, 3회)
1992, 2002, 2005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키릴 카플렌코 (Kirill Kaplenko)
(2024년, From FC 오렌부르크, 160만 유로)
최고 이적료 방출 다닐라 코즐로프 (Danila Kozlov)
(2024년, To FC 크라스노다르, 125만 유로)
1. 개요2. 선수 명단
2.1. 유명 선수
3. 역대 감독

1. 개요

러시아칼리닌그라드를 연고로 하는 축구 구단이다. 1954년에 피셰비크(Пищевик)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으며 4년 후, 클럽 이름을 발티카(Балтика)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른다.


과거 쾨니히스베르크를 연고로 하던 구단인 VfB 쾨니히스베르크[2]와는 아무 연관이 없다.

2023-24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선 15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지만 러시아 컵에선 결승까지 진출했고 결승에서 리그 우승팀인 제니트와 맞붙어서 1-1로 비기다가 후반 추가시간 5분 제니트의 누랄리 알리프한테 극장골을 먹히면서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만 했다.

24-25시즌에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1위로 시즌을 마치고, 30년만의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재승격에 성공하였다.

2. 선수 명단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25-26 시즌 스쿼드[주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키릴문자 성명 비고
2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바라티노프 Sergey Varatynov Сергей Варатынов
3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칼라초프 Ilya Kalachyov Илья Калачёв
4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나탕 가사마 Nathan Gassama Натан Гассама
5 MF 파일:모로코 국기.svg 아이만 무리드 Aymane Mourid Айман Мурид
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멘델 Andrey Mendel Андрей Мендель
10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페트로프 Ilya Petrov Илья Петров
11 MF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유리 코발료프 Yury Kovalyov Юрий Ковалёв
13 D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디에고 루나 Diego Luna Диего Луна
14 D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스테판 코바치 Stefan Kovac Стефан Ковач
15 FW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텐튼 옌네 Tenton Yenne Тентон Енне
16 D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케빈 안드라데 Kevin Andrade Кевин Андраде
1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슬라프 사우시 Vladislav Saus Владислав Саусь
1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프랴힌 Sergey Pryakhin Сергей Пряхин
22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콜라이 팃코프 Nikolay Titkov Николай Титков
23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민기얀 베베예프 Mingiyan Beveyev Мингиян Бевеев
2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필린 Aleksandr Filin Александр Филин
40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니키틴 Dmitriy Nikitin Дмитрий Никитин
44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고르 류바코프 Yegor Lyubakov Егор Любаков
46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키릴 오보닌 Kirill Obonin Кирилл Обонин
4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니일 우트킨 Daniil Utkin Даниил Уткин [2]
67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보리스코 Maksim Borisko Максим Бориско
6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라클리 마넬로프 Irakliy Manelov Ираклий Манелов
73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페트로프 Maksim Petrov Максим Петров
77 D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엘다르 치비치 Eldar Civic Эльдар Чивич
8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반 쿠쿠시킨 Ivan Kukushkin Иван Кукушкин [3]
90 FW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치논소 오포 Chinonso Offor Чинонсо Оффор
91 FW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브라얀 힐 Brayan Gil Брайан Хил
96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미르 모함마트 Amir Mokhammad Амир Мохаммад
<colbgcolor=#fff> 구단 정보
감독: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 홈 구장: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FC 로스토프에서 임대[3] FC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임대

}}} ||

2.1. 유명 선수

3.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4539E><tablebgcolor=#04539E>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54년 ~ 현재
초대
자하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브라모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카트롭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셰르빈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5대
키르시
파일:소련 국기.svg
6대
호레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7대
키르시
파일:소련 국기.svg
8대
노비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9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모르구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자하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레즈니크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체스노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안티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리프시츠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페레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이바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실라가제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사리체프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체스노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본다레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바세닌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24대
슈펠링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25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26대
데르가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27대
이바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8대
카르만
파일:러시아 국기.svg
29대(대행)
니키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0대
삽첸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1대
젤케비치우스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32대(대행)
모길니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
부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4대(대행)
모길니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36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이그나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대행)
셰르바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9대
사나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
랴흐
파일:러시아 국기.svg
42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3대
고르시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4대
프란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5대(대행)
고르바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6대
페레베르타일로
파일:러시아 국기.svg
47대
유란
파일:러시아 국기.svg
48대
디셰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9대
고르바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0대
자하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51대
체렙첸코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52대
니폼니시
파일:러시아 국기.svg
53대(대행)
클리모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4대
레댜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5대
칼레신
파일:러시아 국기.svg
56대
이그나셰비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57대
그리셴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58대
탈랄라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

[1] #[2] 1900년 창단된 축구 구단으로, 1945년 동프로이센 북부가 소련에 할양되면서 해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