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2:46:46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파일:러시아 퍼스트 리그 로고.svg
2024-25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color: #ffb7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555,#AAA
키릴
노비코프

파일:FC 네프테히미크 니즈네캄스크 로고.svg
알렉세이
베스차스트니흐
[형식상]
파일:Rodina_Moscow_FC_logo_2017.png
데니스
보야린체프

파일:Rotor_logo.svg.png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로베르트
모레노

파일:PFC 소치 로고.svg
알렉세이
스투칼로프

파일:FC_Sokol_Saratov_Logo.svg.png
알렉세이
포둡스키

파일:FC SKA 하바롭스크 로고.svg
알렉산드르
포베갈로프

파일:shinnik.png
알렉산드르
스토로주크

파일:FC 아르세날 툴라 로고.svg
스파르타크
고그니예프

파일:FC_Alania_Vladikavkaz_logo.png
안드레이
티호노프

파일:YeniseyKrasnoyarsk.png
올레크
샤토프
(대행)
파일: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로고.svg
오마리
테트라제

파일:FC 우파 로고.svg
예브게니
칼레신

파일:FC Chayka.png
올레크
바실렌코

파일:FC 체르노모레츠 노보로시스크 로고.svg
일다르
아흐메트쟈노프

파일:FC_KAMAZ_Logo.svg.png
올레크
코노노프

파일:FC 토르페도 모스크바 로고.svg
이고리
멘시코프

파일:FC 튜멘 로고.svg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감독 러시아 세컨드 리그 디비전 A 감독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챔피언십파일:이탈리아 국기.svg세리에 B파일:독일 국기.svg 2. 분데스리가파일:러시아 국기.svg 퍼스트 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형식상] 형식상 감독. 실제로는 필리프 소콜린스키가 감독직을 맡고 있으나, 라이센스 자격 미달로 인해 공식 감독 자리에 등록될 수 없다.
}}}}}}}}}}}} ||
안드레이 탈랄라예프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32대
파일:FC 힘키 로고.svg

38대, 48대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40대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52대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58대
}}} ||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Балтика» Калининград
파일:Andrei_Talalayev_2020.jpg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Andrei Talalayev
<colbgcolor=#04539E> 본명 <colbgcolor=#ffffff,#191919> 안드레이 빅토로비치 탈랄라예프
Андрей Викторович Талалаев
출생 1972년 10월 5일 ([age(1972-10-05)]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2cm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04539E> 선수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1991~1994)
FC KAMAZ 나베레즈니예첼니 (1994)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1995)
FC 튜멘 (1996~1997)
FC 톰 톰스크 (1997)
ACD 트레비소 (1997~1998)
FC 로코모티프 니즈니 노브고로드 (1999)
FC 톰 톰스크 (1999)
감독 FC 토르페도-질 모스크바 (1999~2004 / 유스)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004 / 수석 코치)
러시아 U-20 대표팀 (2006~2010)
FC 로스토프 (2011 / 리저브)
FC 로스토프 (2011 / 감독 대행)
FC 쿠반 크라스노다르 (2012 / 수석 코치)
FC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2014~2016)
FC 탐보프 (2016~2018)
FC 퓨니크 (2018~2019)
FC 힘키 (2019~2020)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20)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2020~2022)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2022~2023)
FC 힘키 (2023~2024)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24~ )
국가대표 10경기 1골 (러시아 U-21 / 1992~1994)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감독 스타일5. 수상 경력
5.1. 선수 시절5.2. 감독 시절

[clearfix]

1. 개요

러시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소련 최고 리그의 마지막 시즌인 1991시즌, 토르페도 모스크바 소속으로 데뷔하였다. 1부리그에서는 69경기에 출장해 8골을 기록하였다.

3. 감독 경력

2018년 6월, 아르메니아 리그의 FC 퓨니크와 2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8년 12월, 탈랄라예프는 퓨니크에서 대기심을 모욕하였다는 이유로 시즌 종료까지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

2019년 4월에, FC 힘키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러시아 무대로 복귀하였다. 2020년 1월 23일, 힘키 보드진이 팀의 순위가 3위로 떨어진 것에 대해 지원을 줄이겠다고 그에게 전달하자, 이후 사임하였다.

2020년 6월 28일,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와 2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당시 최하위였던 팀을 잔류시켜야한다는 목표를 받았고, 열심히 고군분투하였으나, 결국 최종순위는 15위로 강등이 확정되었고, 탈랄라예프는 7월 25일에 사임하였다.

2020년 7월 26일, FC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자신의 통산 2번째로 이고르 샬리모프의 후계자로 선임되었다.[1]

2020-21시즌 초반에는 블라디미르 일린의 각성으로 잘하면서 유럽대항전까지 노리다가, 시즌 중반부터 거품이 빠지면서 중하위권으로 내려갔고, 이후 잠시 베르나르드 베리샤의 활약으로 복병이 되었다가, 시즌 후반부터 구단이 대러제제를 받으면서 팀의 상황이 안좋아지자 성적이 들쑥날쑥해졌다. 최종성적은 11위로 마감하였다. 2022년 9월 11일,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감독직에서 경질되었다.

이후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감독으로 선임되나, 이미 사실상 강등 확정이었던 팀의 분위기를 돌리기엔 역부족이었고, 겨울에 사임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힘키의 감독으로 부임한다.

힘키에서 첫 시즌 2부 리그 우승을 하며 1부 리그로 승격하나, 구단 보드진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프리시즌에 경질되었다.

2024년 9월 6일, 발티카 칼리닌그라드의 감독으로 취임한다.

4. 감독 스타일

아흐마트에서는 간결한 역습과 압박 축구를 잘 보여주었다.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키려고 하고, 능력치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려고 할때는 경기 분석에서 장점보다는 단점을 더 많이 보여주면서 선수를 자극시키는 효과와 함께 단점을 보완하려고 한다. 다만 이런 성향으로 인해 몇몇 선수들과는 갈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5. 수상 경력

5.1. 선수 시절

5.2. 감독 시절

FC 힘키 소속

[1] 이전에 FC 힘키에서도 같은 일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