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23:34:50

FC 우파


파일:RussianFirstLeagueWhite.svg파일:RussianFirstLeagueWhite.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00c7b2;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파일:FC 네프테히미크 니즈네캄스크 로고.svg
파일:Rodina_Moscow_FC_logo_2017.png
파일:Rotor_logo.svg.png
파일:Volga_Ulyanovsk.svg
파일:FC_Sokol_Saratov_Logo.svg.png
파일:spartak_kostroma.png
파일:FC SKA 하바롭스크 로고.svg
파일:shinnik.png
파일:FC 아르세날 툴라 로고.svg
파일: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로고(2023~2024).svg
파일: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로고.svg
파일:FC 우파 로고.svg
파일:FC Chayka.png
파일:FC 체르노모레츠 노보로시스크 로고.svg
파일:Chelyabinsk2025New.png
파일:FC KAMAZ 나베레즈니예첼니 로고.svg
파일:FC 토르페도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파일:러시아 세컨드 리그 디비전 A 로고(가로형/화이트).svg
}}}}}}}}}}}} ||
파일:FC 우파 로고.svg
FC 우파
FC Ufa
<colbgcolor=#addec7> 정식 명칭 러시아어: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Уфа (Futbolny club Ufa)
바시키르어: «Өфө» футбол клубы
별칭 Горожане (Gorozhanye, 도시인)
창단 2010년 12월 23일 ([age(2010-12-23)]주년)[1]
소속 리그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연고지 러시아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우파(Ufa)
홈구장 네프탸니크 스타디움(Neftyanik Stadium)
(15,312명 수용)
회장 마라트 마가데예프(Marat Magadeyev)
감독 예브게니 하를라초프(Yevgeniy Kharlachev)
공식 웹사이트 파일:FC 우파 로고.sv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러시아 세컨드 리그 디비전 A
(1회)
2023-24
이적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케힌데 파타이 (Kehinde Fatai)
(2016년, From AC 스파르타 프라하, 13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이반 오블랴코프 (Ivan Oblyakov)
(2018년, To PFC CSKA 모스크바, 400만 €)

1. 개요2. 역사3. 선수4. 유명 선수5. 역대 감독6. 기타

1. 개요

러시아의 축구 구단이다.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을 연고로 하고 있다.

2. 역사

우파 내의 두 개의 축구 클럽의 합병을 통해 창단되었다. 원래 우파에 있는 축구단은 별 볼일 없는 구단 중 하나였지만 우파에서는 도시를 알리기 위해서 구단을 크게 키운 것. 2009년 창단 당시 원래 구단 명은 바신포름스뱌지-디나모(Башинформсвязь-Динамо)였으나 창단 1년 만에 구단명을 변경 하였다. 창단 당시부터 2009년 3월19일 러시아 축구협회로 부터 회원 자격을 얻었다. 그 후에 러시아 2부리그부터 활약하기 시작했다. 좌파 우파드립으로 우리나라에 알려진 구단

20-21시즌에 2부리그로 강등, 22-23시즌에 3부리그로 강등당하며 구단 해체 위기까지 돌았으나, 젊은 선수들 중심으로 팀을 꾸리며 재정난을 극복해 나가면서 23-24시즌 신설된 3부리그인 세컨드 리그 디비전 A 우승을 기록하며 창단 첫 우승컵을 들어올린다.

3. 선수

파일:FC 우파 로고.svg
FC 우파 2025-26 시즌 1군 스쿼드[주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러시아 키릴문자 성명 비고
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데니스 쿠틴 Denis Kutin Денис Кутин
7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페르체노크 Aleksandr Perchenok Алекасндр Перченок
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샤밀 이사예프 Shamil Isayev Шамиль Исаев [2]
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카르푸크 Ilya Karpuk Илья Карпук
10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라술 기스타로프 Rasul Gistarov Расул Гистаров
11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오스만 미나툴라예프 Osman Minatulayev Осман Минатуаев [3]
15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란 하발로프 Alan Khabalov Алан Хабалов
17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비트 오즈마노프 David Ozmanov Давид Озманов
18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르툠 구렌코 Artyom Gurenko Артём Гуренко
1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에밀 마이오로프 Emil Mayorov Эмиль Майоров
21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키타 마츠하라시빌리 Nikita Matskharashvili Никита Мацхарашвили
22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잘림한 유수포프 Zalimkhan Yusupov Залимхан Юсупов
23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아하토프 Danil Akhatov Данил Ахатов
24 FW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필리프 므르즐랴크 Filip Mrzljak Филип Мрзляк
3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벨레노프 Aleksandr Belenov Александр Беленов
40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체르노프 Aleksey Chernov Алексей Чернов
4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테냐예프 Aleksandr Tenyayev Александр Теняев 주장
4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루키야노프 Aleksandr Lukyanov Александр Лукьянов
50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반 호무하 Ivan Khomukha Иван Хомуха
5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실랴코프 Yevgeniy Shlyakov Евгений Шляков
70 FW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딜란 오르티스 Dilan Ortíz Дилан Ортис
77 M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윌리엄스 치메지 Williams Chimezie Уильямс Чимези [4]
79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콘스탄틴 트로야노프 Konstantin Troyanov Константин Троянов
8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그란 아게얀 Migran Ageyan Тигран Агеян
93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가라예프 Viktor Garayev Виктор Гаряев
96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바라놉스키 Aleksey Baranovskiy Алексей Барановский [5]
<colbgcolor=#addec7> 구단 정보
감독: 오마리 테트라제 / 홈 구장: 네프탸니크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7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FC 디나모 마하치칼라에서 임대[3] FC 오렌부르크-2에서 임대[4] FC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에서 임대[5] FC 오렌부르크에서 임대

}}} ||

4. 유명 선수

5. 역대 감독

파일:FC 우파 로고.svg
FC 우파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002c4e,#b69c6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2009년 ~ 현재
초대
파흐레트디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대
시니친
파일:러시아 국기.svg
3대
칸첼스키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4대(대행)
말라이
파일:러시아 국기.svg
5대
콜리바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대
페레베르타일로
파일:러시아 국기.svg
7대(대행)
토마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8대
곤차렌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9대
세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10대
토마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11대
키리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12대
예브세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13대
라히모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14대(대행)
사프로니디
파일:러시아 국기.svg
15대
스투칼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16대
토마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17대
포포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18대
할림베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19대
구렌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20대
하를라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

6. 기타

  • 이 팀의 서포터들은 여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팀들의 서포터들과 달리 인종차별을 벌이지 않는다. 팀에 흑인선수들이 많아서 그런것도 있겠지만 러시아 축구팀 중에서는 가장 성숙한 팀 중 하나이다.
  • 2018-19 시즌에 경기력 저하로 인해 팬들의 반발과 팀의 입지가 줄어드는 것에 대비해 1부 리그 하반기에 디나모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장담하였다. 패배시 아흐마트 그로즈니와의 경기 티켓을 모두 환불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실제로 3월 3일 디나모 모스크바전에서 패배하였고 티켓을 환불하였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그 정도로 재정적으로 불안 위험이 있는 팀이 아닌데다 공약이 시원스러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 공식 응원가가 러시아어가 아닌 영어이다. 우파의 팬인 한 가수가 2014년 팀의 사상 첫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을 기념하면서 곡을 헌정하였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