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09:24:14

F.R. 데이비드

<colbgcolor=#000><colcolor=#fff> F.R. 데이비드
F.R. David
파일:FRDAIVD.jpg
본명 Elli Robert Fitoussi[1]
(엘리 로버트 피투시)
출생 1947년 1월 1일 ([age(1947-01-01)]세)
프랑스령 튀니지 페리빌
(現 튀니지 비제르트주 멘젤부르기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싱어송라이터
장르 유로팝, 신스팝, 팝 록
데뷔 1982년 1월 1일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D3BCA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데뷔일로부터 [dday(1982-01-01)]일, [age(1982-01-01)]주년)
레이블 카레레 레코드
RGE 레코드
에픽 레코드
컬럼비아 레코드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3.2. 컴필레이션
4. 여담

1. 개요

프랑스의 싱어송라이터. 대표곡으로는 Words와 Pick Up the phone 등이 있다.

2. 생애

1947년 당시 프랑스의 보호령이였던 튀니지 최북단에 위치한 페리빌(現 멘젤부르기바)에서 튀니지계 유대인 가정 사이에 테어나 10살때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다.

활동 초기에는 여러 밴드에서 활동했었고 1980년대 부터는 솔로 활동을 하면서 Words 라는 곡을 통해 일약 스타덤에 거둔다.

90년대엔 활동을 잠시 중지하고 프로듀싱 작업에도 전념하며 후배 양성과 여러 아티스트들과 협업도하고 하였다. 한편으로는 반젤리스의 문하생으로 활동했었던 적도 있다고 한다.

2003년 12월, 50대 중반의 나이에 내한하여 서울 올림픽홀과 울산 현대예술관에서도 공연을 가졌다. 이후 10년만인 2013년에 다시 조인트 콘서트 차 내한하려다가 프로모터 사정으로 불발되었다.

데이비드는 특유의 여리디 여린 미성이 돋보이는 뮤직이라는 유명 서정 발라드 곡이나 유로댄스와 록 장르를 성공적으로 결합한 명곡 픽 업 더 폰 이외에도 걸 - 유 어 마이 송, 사하라 나이트, , 돈 고 등 여러 노래를 히트시켰다가 1990년대 들어서 잊혀진 이름이 되었지만, 결국 1990년대 말에 음악계에 본격적으로 컴백하여 얼마 전 2013년에도 새 앨범 미드나잇 드라이브를 내며 왕성하게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대 후반에도 싱글 두 장을 출시하고 2022년 1월 새로운 싱글 타임 이즈 낫 마인을 출시하는 등 꾸준히 음악을 발표하는 중이다.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3.2. 컴필레이션

4. 여담

  • 유튜브 복고맨 채널에서 그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 여담으로 내한 인터뷰에서 만약 음악을 안 했으면, 무슨 직업을 선택했을까 라는 질문에 신부라고 대답했다.

[1] 혹은 Robert Fitoussi 나 Robert Fitoussie 로 불리기도 한다.[2] 아르헨티나에서만 발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