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 가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50%>
||<color=#fe5d36,#fe5d36>레이디 가가
Lady Gaga ||
]]Lady Gaga ||
- [ 정규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1 [[The Fame|{{{#000,#abcad1 The Fame''}}}]]}}}1집'''
2008. 08. 19.'{{{-1 [[The Fame Monster|{{{#313131,#fff The Fame Monster''}}}]]}}}1집 확장반'''
2009. 11. 18.'{{{-1 [[Born This Way|{{{#000,#f0f0f0 Born This Way''}}}]]}}}3집'''
2011. 05. 23.'{{{-1 [[ARTPOP|{{{#e72798 ARTPOP''}}}]]}}}4집'''
2013. 11. 06.'{{{-1 [[Joanne|{{{#bf939c Joanne''}}}]]}}}5집'''
2016. 10. 21.'{{{-1 [[Chromatica|{{{#bf5969 Chromatica''}}}]]}}}6집'''
2020. 05. 29.'{{{-1 [[MAYHEM(레이디 가가)|{{{#fe5d36 MAYHEM''}}}]]}}}7집'''
2025. 03. 07.{{{#!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참고 사항 ]
The Fame Monster는 1집의 확장판 앨범이기 때문에 정규 앨범으로 취급되지 않으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를 LG2로, Born This Way와 ARTPOP을 각각 3집, 4집으로 표기한 바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기타 음반 ]
- ||<-4><width=1000><bgcolor=#333><color=#fe5d36> EP||
- [ 노래 문서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bgcolor=#fe5d36>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레이디 가가의 노래||앨범 노래 문서
파일:Beautiful, Dirty, Rich.jpg '''[[Just Dance(레이디 가가)|Just Dance1집 싱글]]'''
2008. 04. 08.'''[[Beautiful, Dirty, Rich|Beautiful, Dirty, Rich1집 프로모]]'''
2008. 09. 16.'''[[Poker Face(레이디 가가)|Poker Face1집 싱글]]'''
2008. 09. 23.'''[[Eh, Eh (Nothing Else I Can Say)|Eh, Eh (Nothing Else I Can Say)1집 싱글]]'''
2009. 01. 10.'''[[LoveGame|LoveGame1집 싱글]]'''
2009. 03. 23.'''[[Paparazzi(레이디 가가)|Paparazzi1집 싱글]]'''
2009. 07. 06.'''[[Bad Romance|Bad Romance1집 확장반 싱글]]'''
2009. 10. 19.'''[[Telephone|Telephone1집 확장반 싱글]]'''
2010. 01. 06.'''[[Alejandro|Alejandro1집 확장반 싱글]]'''
2010. 04. 20.'''[[Dance In The Dark|Dance In The Dark1집 확장반 싱글]]'''
2010. 08. 25.'''[[Born This Way(싱글)|Born This Way3집 싱글]]'''
2011. 02. 11.'''[[Judas(레이디 가가)|Judas3집 싱글]]'''
2011. 04. 15.'''[[The Edge of Glory|The Edge of Glory3집 싱글]]'''
2011. 05. 09.'''[[Hair(레이디 가가)|Hair3집 프로모]]'''
2011. 05. 16.'''[[Yoü And I|Yoü And I3집 싱글]]'''
2011. 08. 23.파일:두왓유원가가.jpg '''[[Marry The Night|Marry The Night3집 싱글]]'''
2011. 11. 11.'''[[Applause|Applause4집 싱글]]'''
2013. 08. 12.'''[[Do What U Want|Do What U Want4집 싱글]]'''
2013. 10. 21.'''[[Venus(레이디 가가)|Venus4집 프로모]]'''
2013. 10. 27.'''[[Dope(레이디 가가)|Dope4집 프로모]]'''
2013. 11. 04.'''[[G.U.Y.|G.U.Y.4집 싱글]]'''
2014. 03. 22.'''[[Perfect Illusion|Perfect Illusion5집 싱글]]'''
2016. 09. 09.'''[[A-YO|A-YO5집 프로모]]'''
2016. 10. 18.'''[[Million Reasons|Million Reasons5집 싱글]]'''
2016. 10. 29.'''[[Joanne(싱글)|Joanne5집 싱글]]'''
2017. 12. 22.'''[[Stupid Love|Stupid Love6집 싱글]]'''
2020. 02. 28.'''[[Rain On Me|Rain On Me6집 싱글]]'''
2020. 05. 22.'''[[Sour Candy|Sour Candy6집 프로모]]'''
2020. 05. 28.'''[[911(레이디 가가)|9116집 싱글]]'''
2020. 09. 18.'''[[Free Woman|Free Woman6집 싱글]]'''
2021. 04. 13.'''[[Bloody Mary(레이디 가가)|Bloody Mary3집 싱글]]'''
2022. 12. 02.'''[[Disease|Disease7집 싱글]]'''
2024. 10. 25.'''[[Abracadabra(레이디 가가)|Abracadabra7집 싱글]]'''
2025. 02. 02.'''[[How Bad Do U Want Me|How Bad Do U Want Me7집 수록곡]]'''
2025. 03. 07.'''[[The Dead Dance|The Dead Dance7집 싱글]]'''
2025. 09. 03.기타 노래 문서'''[[Til It Happens To You|Til It Happens To You싱글]]'''
2015. 09. 18.'''[[The Cure(레이디 가가)|The Cure싱글]]'''
2017. 04. 16.'''[[Shallow|Shallow사운드트랙]]'''
2018. 09. 27.'''[[Always Remember Us This Way|Always Remember Us This Way사운드트랙]]'''
2019. 01. 04.'''[[I'll Never Love Again|I'll Never Love Again사운드트랙]]'''
2019. 05. 27.'''[[Hold My Hand(레이디 가가)|Hold My Hand사운드트랙]]'''
2022. 05. 03.'''[[Die With A Smile|Die With A Smile콜라보]]'''
2024. 08. 16.
- [ 출연 작품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bgcolor=#333><color=#fe5d36> 영화||
마세티 킬즈
라 카말리온
(2013)씬 시티: 다크히어로의 부활
버사
(2014)스타 이즈 본
앨리 캄파나
(2018)하우스 오브 구찌
파트리치아 레지아니
(2021)조커: 폴리 아 되
리 퀸젤
(2024)드라마{{{#!wiki style="margin: -16px -11px" <nopad>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 5
엘리자베스 존슨
(2015)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 6
스카하자
(2016)웬즈데이 시즌 2
로잘린 로트우드
(2025)}}}
- [ 관련 문서 ]
- ||<-2><tablebgcolor=#fff,#1c1d1f><bgcolor=#fe5d36,#fe5d36><color=#333,#333><width=1000>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음반 기타논란 및 사건 사고 }}}
토니 베넷의 음반 | ||
← | <keepall> 합작 앨범 Cheek To Cheek (2014) | → |
정규 앨범 Viva Duets (2012) | 합작 앨범 The Silver Lining: The Songs of Jerome Kern (2015) | |
레이디 가가의 음반 | ||
← | <keepall> 합작 앨범 Cheek To Cheek (2014) | → |
4집 ARTPOP (2013) | 5집 Joanne (2016) |
<colbgcolor=#ebebed,#ebebed><colcolor=#3e4140,#3e4140> A Studio Album by Tony Bennett and Lady Gaga Cheek To Cheek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디럭스 커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아티스트 | 토니 베넷, 레이디 가가 | ||
발매일 | 2014년 9월 19일 | ||
장르 | 재즈 | ||
길이 | 34:43 | ||
레이블 | 스트림라인, 컬럼비아 레코드, 인터스코프 레코드 | ||
프로듀서 | 대 베넷[1] |
1. 개요
토니 베넷과 레이디 가가가 함께한 첫 번째 콜라보 앨범.[2]Cheek to Cheek을 비롯해, 이 앨범의 수록곡들은 주로 1930년대~1950년대에 발표된 재즈 스탠다드 넘버들이다.
2. 발매 과정
2014년 7월 29일, 스탠더드 팝의 거장 토니 베넷과 세계적인 팝스타 레이디 가가가 듀엣으로 싱글 "Anything Goes"를 발표한다. 두 사람은 이미 2011년 "The Lady Is a Tramp"라는 듀엣곡을 발표한 적이 있으며, 레이디 가가와는 2011년부터 한 행사에서 알게 된 사이라고 한다.보다시피 듣다시피 재즈인데, 팬들 반응은 "나의 가가는 저렇지 않아"와 "재즈도 잘 소화해내는 게 멋지다."라는 의견으로 갈린다. 재즈도 잘 소화해 내지만 나의 가가는 저렇지 않아! 가 중론이다.
8월 29일에 선공개 싱글 "I Can't Give You Anything But Love"를 발표한 후 9월 19일에는 "Cheek to Cheek"이라는 재즈 콜라보 앨범을 발표했다. 총 11곡이 수록되어 있다.
2015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Cheek to Cheek> 앨범으로 <Best Traditional Pop Vocal Album> 상을 수상했다.
콜라보레이션 앨범이다 보니 이 다음 앨범이 정규 4집일 거라고 예상했는데, Joanne의 가제를 'LG5'라고 칭하여 혼동이 있었다. 이 앨범 또한 Studio Album이기 때문에 4집으로 보았다는 설이 있었으나, 또다른 콜라보 앨범인 Love For Sale[3] 이후 2024년 여름에 홍보한 새로운 앨범에는 LG7이라는 가제가 붙어 또다른 혼동이 생기고 있다. 콜라보 앨범과 스타 이즈 본 사운드트랙을 제외하고 EP The Fame Monster를 "LG2"로 보는 듯 #.
3. 평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Mike McLaughlin이 2023년 6월 7일 선정한 리스트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제이 일렉트로니카 & 제이지 | 프레디 깁스 & 매들립 | 칸예 웨스트 & 키드 커디 | 메소드 맨 & 레드맨 | 매들립 & MF 둠 | |||||
A Written Testimony | Piñata | KIDS SEE GHOSTS | Blackout! | Madvillainy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21 새비지 & 오프셋 & 메트로 부민 | 나스 & 데미언 말리 | 거너 & 릴 베이비 | 카터스(제이지 & 비욘세) | 위즈 칼리파 & 커렌시 | |||||
Without Warning | Distant Relatives | Drip Harder | EVERYTHING IS LOVE | How Fly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리치 갱 | 날스 바클리 | 드레이크 & 퓨쳐 | 드레이크 & 21 새비지 | 칸예 웨스트 & 제이지 | |||||
Rich Gang: Tha Tour Pt. 1 | St. Elsewhere | What a Time to Be Alive | Her Loss | Watch The Throne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트래비스 스콧 & 퀘이보 | 릴 베이비 & 릴 더크 | 케이트라나다 & 아미네(Aminé) | 토니 베넷 & 레이디 가가 | 블랙 스타 | |||||
Huncho Jack, Jack Huncho | The Voice of Heroes | Kaytraminé | Cheek To Cheek | Mos Def & Talib Kweli Are Black Star | |||||
21위 | |||||||||
퓨쳐 & 릴 우지 버트 | |||||||||
Pluto X Baby Pluto |
ARTPOP의 실패를 겪은 이후, 달라진 레이디 가가의 커리어의 방향이 달라졌음을 보여준 앨범이다. 이전까지 일렉트로닉 붐을 주도하며 파격적이고 화려한 컨셉을 추구하였으나 그러한 컨셉은 더 이상 통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고, 음악적 지형도 더 이상 기존의 레이디 가가의 컨셉이 먹히지 않게 되었다. 2014년을 즈음해서 미국의 음악은 스트리밍 시장이 점차 커지면서 힙합과 R&B, EDM, 장르 등 기존의 팝 음악과 다른 장르로 주도권이 넘어가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비욘세, 리한나 등 기존의 팝 가수들도 BEYONCÉ, ANTI 등의 작품을 선보이며 스타일과 장르를 전환하였다. 그러나 레이디 가가의 보컬, 음악 스타일 특성상 힙합이나 R&B 장르의 도전은 사실 어려웠다.[4] 따라서 레이디 가가의 가창력을 보여주면서 그간의 이미지를 반전시킬 수 있는 재즈 장르의 활동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았다는 평. 특히 전설적인 아티스트인 토니 베넷과의 협업은 레이디 가가로서도 상당히 영광스러운 기회였다.
이러한 클래식한 레이디 가가의 새로운 모습은 Cheek To Cheek의 앨범 자체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이 시기의 주요 퍼포먼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2015년 오스카 시상식의 사운드 오브 뮤직 메들리 공연이라 할 수 있다. 레이디 가가는 이 무대를 기존의 파격적인 퍼포먼스가 아닌, 안무 하나 없이 하얀색의 드레스를 입고 목소리 하나만으로 채우면서 큰 화제를 모았다. 파격과 화려한 이미지, 컨셉에 가렸던 그녀의 가창력을 잘 드러내면서 그간 지나치게 파격적인 컨셉, 마돈나 카피캣 등의 논란으로 레이디 가가에게 씌어졌던 부정적 이미지를 조금씩 반전시켜 주었던 시기였다.[5] 이는 이후 앨범인 Joanne과 A Star Is Born Soundtrack으로 이어지며, 비록 당시에는 팬들 사이에서 평이 갈렸을지언정 이후에 맞이하게 될 제2의 전성기의 기반을 닦은 초석이라 할 수 있다.
4. 성적
빌보드 200 역대 1위 음반 | ||||
Partners Barbra Streisand | → | Cheek To Cheek Tony Bennett & Lady Gaga | → | Bringing Back The Sunshine Blake Shelton |
Cheek To Cheek (2014) | |
빌보드 200 1위 월드 판매량 : 1,370,000장 메타크리틱 : 64 | |
미국 | 773,000 (Gold) |
영국 | 60,000 (Silver) |
캐나다 | 80,000 (Platinum) |
- 레이디 가가는 2010년대에 3개의 1위 앨범을 보유한 최초의 미국 여성 아티스트가 되었고, 토니 베넷은 미국 차트에서 1위 앨범을 달성한 가장 나이 많은 아티스트라는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제되었다.
5. 수록곡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e4140,#ebebed><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bebed,#ebebed><color=#3e4140,#3e4140> 트랙리스트 ||
<rowcolor=#3e4140,#3e4140> # | 제목 | 송라이터 | 프로듀싱 |
1 |
S | Cole Poter | Dae Bennett |
2 | Cheek To Cheek | Irving Berlin | |
3 | Don't Wait Too Long[Deluxe][T] | Sunny Skylar | |
4 |
S | Dorothhy Fields, Jimmy McHugh | |
5 | Nature Boy | Eden Ahbez | |
6 | Goody Goody[Deluxe] | John Mercer, Matty Malneck | |
7 | Ev'ry Time We Say Goodbye[Deluxe][L] | Cole Poter | |
8 | Firefly | Carolyn Leigh, Cy Coleman | |
9 | I Won't Dance | Dorothhy Fields, Jerome Kern, Jimmy McHugh, Oscar Hammerstein II, Otto Harbach | |
10 | They All Laughed[Deluxe] | George Gershwin, Ira Gershwin | |
11 | Lush Life[L] | Billy Straygorn | |
12 | Sophisticated Lady[T] | Duke Ellington, Irving Mills, Mitchell Parish | |
13 | Let's Face The Music And Dance | Irving Berlin | |
14 | But Beautiful | Jimmy Van Heusen, Johnny Bruke | |
15 | It Don't Mean A Thing (If It Ain't Got That Swing) | Duke Ellington, Irving Mills | |
S
S |
[1] 토니 베넷의 아들이다.[2] 토니 베넷의 58번째, 레이디 가가의 4번째 정규 앨범이기도 하다.[3] 이 앨범의 경우 발매 이전에는 LG8이라고 소개하였다가 발매 이후부턴 아무런 언급도(ex. n 번째 앨범) 하지 않아 약간의 혼동이 있었다.[4] 힙합의 경우는 ARTPOP에서 Jewels N Drugs로 시도해봤으나 결과는 영 아니올씨다였다.[5] ARTPOP의 부진이 가가에게 흑역사인 건 맞지만, 동시에 가가가 화제와 논란의 대상에서 멀어지며 진정성 있는 음악에 집중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Deluxe] 디럭스 에디션에 추가[T] 토니 베넷 솔로[Deluxe] [Deluxe] [L] 레이디 가가 솔로[Deluxe] [L]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