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Android 기기의 최적화에 대하여 서술한 문서. 램 여유 용량을 확보하고, CPU 및 GPU 점유율을 줄이고, 저장공간을 확보하고, 데이터 사용량을 줄이며,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배터리 및 화면의 수명을 연장하여 궁극적으로 기기의 유효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목표가 된다. UI 최적화도 UI에 소모하는 시간을 줄이므로 간접적으로 최적화 효과가 있다.구형, 저가 스마트폰을 쓰다 보면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앱들이 무거워져서 점점 느려진다. 특히 RAM 용량이 한정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체를 고려하게 된다. 하지만 구형 스마트폰이라도 공기계 상태로 서브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적화를 시간 들여 진행해주고 꼭 사용할 앱만 남긴다면 생각보다 쓸만한 경우가 많다.
최신 스마트폰도 RAM이 무제한이 아니므로, 서브폰만큼 고도의 최적화를 하기는 어렵겠으나 최적화가 도움이 된다. 특히 RAM Plus가 필요할 정도로 램이 모자란다면 최적화가 좋다. 램플러스는 결국 램을 따라가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적혀져 있는 옵션은 무조건 좋다는 식으로 맹신하여 켜지 말 것. 하나하나 켜 보고 테스트하여 맞는 것만 스스로 적용하기 바랍니다.
2. 상세
- 본격적으로 최적화 하기 전에 공장 초기화를 하면 좋다. 없으면 안 되는 파일은 SD카드나 서브폰 등에 백업하자. 공장 초기화는 설정 앱, 리커버리 모드에서 할 수 있는데, 공장 초기화를 하기 전에 구글 계정을 모두 삭제하거나 '설정 > 개발자 옵션'에서 OEM 잠금해제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Factory Reset Protection(FRP) 기능 때문에 공장 초기화 이전에 사용했던 구글 계정 및 비밀번호를 모른다면 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구매한 중고폰이 구글락이 걸렸다면 이전 소유자한테 구글 계정에서 기기 로그아웃을 요청하자.
- 시스템 캐시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wipe cache 기능으로 지울 수 있다. 리커버리 모드 앱은 TWRP를 많이 쓰는데 삼성 갤럭시 등 터치가 지원되지 않아 버튼으로 조작해야 하는 기기가 있으니 주의하자. 운영체제 업데이트 직후에 지우면 좋고, 더 이상 업데이트가 지원되지 않는 구형 기종은 한 번이면 충분하다. 리커버리 모드에 진입하는 방법은 휴대폰 기종마다 다르므로 검색해서 알아보자. 공장초기화 옵션이 바로 위에 붙어 있으므로, 실수로 공장초기화를 하지 않도록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 데이터 저장소는 내용물이 적을수록 빠르다. SD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기종에는 가급적 SD카드를 장착하여 그림, 영상, 음악, 문서 파일 등 본체 내부 저장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는 파일을 보관하자. 또한 캐시, 로그 파일, 임시 데이터, 중복 파일 등을 정기적으로 지우면 좋으며, SD Maid 같은 앱을 활용할 수 있다. 삼성 갤럭시는 디바이스 케어, 기본 파일 앱 등에서 파일 정리 기능을 제공한다. SD카드의 성능이 좋고 내부 저장소의 용량이 모자란다면 일부 앱을 SD카드에 설치해도 좋다. 외장하드, NAS 등의 외부 기억장치나 서브폰의 사용도 고려해보자. 다만 캐시는 자주 불러오는 데이터를 저장해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시간을 절약하는 역할을 하므로, 너무 자주 지워도 좋지 않을 수 있다.
- 인터넷이 느린 환경이라면 데이터 세이버, 광고 차단 기능이 탑재된 웹 브라우저를 설치하자. 웹 브라우저가 아니더라도 광고는 필연적으로 데이터, 램을 소모하므로 최대한 피하는 게 좋다. AdGuard 같은 광고 차단 앱이 존재하며, 인터넷이 빨라지고 가벼워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광고 차단 앱은 그 자체로 램을 차지하므로 사용 여부는 본인의 선택이다. Via Browser, 소울 브라우저 등 광고 필터 및 유저스크립트를 브라우저에 설치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웹 브라우저가 존재하며 Google Chrome 같이 익스텐션을 통해 광고 필터, 유저스크립트를 설치할 수 있는 브라우저가 존재한다. 삼성 인터넷은 유저스크립트 매니저 익스텐션이 없어 유저 스크립트를 설치할 수 없다. 다만 개인이 제작하는 일부 스크립트는 최신화 미비 등의 이슈로 도리어 성능을 잡아먹을 수 있으니 이상하게 느려지거나 버벅인다면 의심해보자. 유용한 필터, 스크립트는 애드가드 마이너 갤러리를 참고하자.
- 매우 드문 일이지만 2024년 삼성 갤럭시 무한 재부팅 사건 같은 상황을 방지하려면 자동 업데이트를 끄고, 업데이트 미비로 인한 문제가 생길 때 수동 업데이트를 하는 게 좋다. 혹은 모드 및 루틴 등의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으로 한 달에 한 번 업데이트를 하는 것도 좋다. 한편 제로 데이 취약점 같은 긴급한 보안은 1분 1초가 아까우므로 본인의 선택이다.
- 삼성 갤럭시의 갤럭시 앱 부스터 및 볼트(Volt) - 앱 최적화 등 내부 데이터를 압축한 상태로 사용하는 JIT를 압축을 풀어둔 채로 사용하는 AOT로 전환하는 방식의 앱은 꼭 사용할 필요는 없다. JIT는 설치, 업데이트가 빠르며 저장용량을 절약하는 대신 CPU, 배터리를 좀 더 소모하고, AOT는 저장용량을 절약하지 못하는 대신 CPU, 배터리를 적게 소모하므로 무엇을 고를지는 본인의 선택이다.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앱은 별도의 최적화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JIT에서 AOT로 전환된다. 다만 내부 저장공간이 지극히 작은 기기는 SD카드를 장착하여 이미지, 동영상, 문서, 음악 등 내부 저장공간에 있을 필요가 없는 자료들을 최대한 옮기자. ADB 등으로 필요 없는 기본 앱 등의 블로트웨어를 삭제 혹은 사용 안 함 처리하면 최적화 시간이 단축된다.
- 텍스트를 장시간 볼 때는 TTS 활용을 고려하자. 눈을 보호하여 황반변성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화면을 꺼도 되므로 전력 절약과 화면, 배터리 수명 연장에도 도움이 된다. Microsoft Edge, 소울 브라우저 등 TTS가 내장된 웹 브라우저 앱이 있고, 밀리의서재나 알라딘 전자책 등 TTS가 내장된 문서 열람 앱이 있다. 안드로이드 내장 스크린 리더 앱인 TalkBack을 쓸 수 있으나 사용법이 상당히 불편하다.
- RAM은 다 쓸 수 있어도 다 쓰지 않고 여유를 남겨둬야 한다. 램 많이 먹는 앱이 갑자기 켜지면 사용량 100% 찍고 종료, 리프레시될 수 있다. 윈도우, 안드로이드는 어지간하면 실행 중인 램 사용량이 80%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다. Memory Guardian 또한 램 점유율이 80%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길 권한다. 윈도우도 램이 60% 이상이면 슬슬 부족할 수 있다. zRAM은 RAM을 압축해서 사용하는 램, 압축 없이 사용하는 램으로 나누는 것이다.
- 자주 쓰지 않으며 알림, 자동 업데이트 등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필요 없으나 삭제하기엔 아쉬운 앱은 절전, 초절전하자. '설정 > 배터리 > 백그라운드 사용 제한'에서 절전, 초절전, 자동 절전, 자동 절전 예외 등을 설정할 수 있는데, 자동 절전 기능을 켤 경우 메신저 앱 등 알림이 필요한 앱은 자동 절전 예외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 안드로이드를 장기간 켜두면 오류가 누적될 수 있다. 주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자동 재시작하는 옵션을 활용하자.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거나 자기 전에 핸드폰을 끄는 습관을 들여도 좋다.
2.1. ADB 혹은 루팅이 필요한 방식
- ADB로 루팅 없이 사용하지 않는 기본 앱, 통신사 앱 등의 블로트웨어를 지울 수 있으며 명령어를 다시 입력하거나 공장 초기화를 할 경우 되살릴 수 있다. 지워지지 않는 기본 사용자 앱은 ADB로 마음껏 지우고, 그래도 램이 모자란다면 선발대 글을 참고해 시스템 앱도 지우자.[1] 또한 메모장, Google Docs 등의 문서 파일에 삭제한 기본 앱과 패키지명을 기록하면 만에 하나 삭제하면 안 되는 앱을 삭제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다.
- 루팅을 하면 ADB로 오버클럭도 가능한데, 진정한 의미의 오버클럭은 안드로이드 AP 설계상 불가능하나 전력 효율성 및 발열 측면을 고려한 성능 제한을 완전히 해제할 수 있다. 최대 클럭을 내내 돌리면 배터리가 녹기 때문에 최저 클럭을 올려주면 빨라진 것을 체감할 수 있다. ADB를 통한 오버클럭을 대신 해주는 앱도 존재한다.
- 루팅을 해서 가벼운 커스텀 펌웨어를 설치하면 스마트폰을 좀 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운영체제 또한 업데이트를 할수록 무거워져 퍼포먼스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설치 도중 실수하면 벽돌폰이 될 수 있지만, 다른 기종의 펌웨어를 설치하지 않는 이상 순정 펌웨어로 되돌리면 정상화 가능하다. 삼성 갤럭시 등 일부 기종은 워런티가 삭제되어 삼성 페이, Knox 등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2]
- 다만 안드로이드는 업데이트가 될수록 점점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램 점유율이 늘어난다. 기기 스펙이, 특히 램이 적은 기기는 최신 안드로이드를 수용하기 어려우므로 공식 지원 버전에서 지나치게 업그레이드하면 실사용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후기를 참고하자.
3. OS 설정
OS의 설정 앱을 통해 변경할 수 있는 설정들. 안드로이드의 버전 혹은 제조사에 따라 경로 및 명칭이 다를 수 있다. 설정 앱에는 검색 기능이 있으므로 원하는 설정을 검색해도 무방하다. 설정 검색으로 찾기 어려운 일부 세부 설정은 '액티비티 런처'를 설치해 검색하면 나올 수도 있다.- 인터넷 등 데이터를 사용하는 서비스가 느리다면 연결 - 데이터 사용에서 데이터 제한, 데이터 세이버 등을 통해 특정 앱이 불필요하게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 백그라운드 제한 옵션을 최대한 활용하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배터리 > 제한', '모바일 데이터 >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 허용 끄기' 등의 방법이 있는데 안드로이드 버전마다 방식이 조금씩 다르므로 알아보자.
- 배터리는 완전방전, 완전충전이 반복될수록 수명이 빠르게 줄어들기 때문에 대략 15%~85% 범위를 맞추는 게 좋다. 특정 수치 이상 혹은 이하일 때 알람이 울리는 앱을 활용하자. Battery Charge Notifier 등의 앱이 있다. 2015년 이후에 출시된 안드로이드 기종은 15% 이하일 때 알람이 울리는 옵션이 있다.
- 충전 제한 기능을 활용하자. 안드로이드 15부터 도입되었으며, '설정 > 배터리 > 배터리 보호'에 배터리를 80%~95% 이상 충전하지 않도록 시스템적으로 막는 기능이 존재한다. 구형 기기가 아닌 이상 80~ 95%까지 조절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이 중요하다면 80%, 배터리 사용 시간이 중요하다면 95%, 적당히 타협하려면 85나 90%로 세팅하자. 방전 깊이가 적을수록 배터리 수명이 연장된다. 즉 10 ~ 90보다 15~80이 효과가 좋다는 뜻이다. 그런 기능이 없다면 'MacroDroid + IFTTT + 스마트 플러그' 등의 조합으로 충전 제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24시간 충전하며 붙박이로 쓸 기기는 배터리 스웰링에 따른 화재 위험을 막기 위해서라도 충전 제한이 필수다.
- 충전 바이패스 기능을 활용하자. 바이패스 배터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배터리 보호를 최대로 세팅하면 목표치까지 완충된 시점부터 배터리를 거치지 않고 충전기에서 기기로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기기는 일단 완충한 다음 충전기에 연결하고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삼성 갤럭시는 S22부터 충전 바이패스 기능을 지원한다. 다만 바이패스 설정이 상당히 불편하다. 우선 '설정 > 기타 배터리 설정 > 충전 설정 > 고속 충전'을 켜야 한다. 또한 15W PD 충전기를 연결해야 하는데, 충전기에 따라 바이패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전부 했다면 게임 부스터 설정에서 'USB Power Delivery 충전 일시정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켜주자. 상단의 충전 알림이 '충전 중 (XX분 후 충전완료)' 형식이 아니라 '충전중' 형식이면 바이패스가 작동 중이다.# 한편 배터리 보호가 켜져 있으면 배터리 온도가 40도가 넘을 때 게임 부스터의 바이패스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모드 및 루틴 등의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으로 게임 실행 시 배터리 보호를 끄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권장된다고 한다.#
- '설정 > 접근성 > 시각 보조 > 색상과 선명도 - 애니메이션 줄이기, 투명도 및 블러 줄이기': 켜자.
- 로밍 시계: 해당 기기를 들고 해외에 나갈 일이 없다면 끄자. 삼성 갤럭시는 '설정 > 잠금화면 및 AOD > 로밍 시계'에서 설정할 수 있다. 로밍은 현지 통신사와 연결하는 기능이며, 로밍 시계는 현지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다.
- '설정 > 잠금화면 및 AOD > 지문': 손가락을 돌려가며 지문을 최대한 넓게 등록했는데도 지문 인식률이 높지 않다면 같은 손가락을 두 번 등록하자. 인식률이 대폭 상승한다.
- '설정 > 잠금화면 및 AOD > 지문 > 꺼진 화면에서 지문 인식': 삼성 갤럭시에 있는 옵션이다. 대기 전력이 높으므로 유용하지 않다면 끄자.#
- AP의 발열이 심한 스마트폰은 최대 성능을 내지 못하도록 절전모드 등을 켜는 게 오히려 성능 유지가 더 잘 된다. 심한 발열을 장기간 방치하면 배터리, OLED 화면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된다.
- '설정 > 계정 및 백업 > 계정 관리 > 데이터 자동 동기화'는 선택사항이다. 메인폰은 켜두는 게 좋겠으나 유튜브만 보는 서브폰은 끌 수도 있다. 혹은 모드 및 루틴 등의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으로 충전 시에, 혹은 화면이 꺼져 있을 때 켜고 아닐 때 끄는 루틴을 만들 수 있다.
- '설정 > 디지털 웰빙 및 자녀 보호 기능 > 건강한 디지털 케어 - 음량 모니터': 삼성 갤럭시 전용 기능이다. 음량 모니터로 적정 볼륨을 맞춰서 무선 음향기기의 배터리를 절약하고 청력을 보호하자. 단 삼성 음향기기 혹은 삼성 음향기기와 스펙이 거의 유사한 기기에 적용하는 편이 정확하다.
- '설정 > 유용한 기능'에서 쓰지 않는 설정을 끈다.
- '일반 > 이용 안내 > 진단정보 보내기': 사용하지 않는다면 끄자.
- '잠금화면 및 보안 > 기타 보안 설정 > 보안 업데이트 서비스 - 보안 분석 내용 보내기': 끄자.
- '잠금화면 및 보안 > 보안정책 업데이트 > 자동 업데이트': 보안 업데이트 지원이 종료되었다면, 끄자.
3.1. 연결 설정
'설정 > 연결'로 진입할 수 있다.- Wi-Fi: 사용하지 않을 때는 끄는 게 좋다. 와이파이는 연결된 기기가 없을 때 검색을 하며, 검색은 연결된 기기와의 통신보다 배터리를 더 많이 소모한다.
- Wi-Fi > ︙ > Intelligent Wi-Fi: '모바일 데이터로 전환, 더 빠르고 안정적인 Wi-Fi로 전환, Wi-Fi 자동 켜기/끄기/, 의심스러운 네트워크 감지'를 켜자.
- 블루투스: 사용하지 않을 때는 끄는 게 좋다. 블루투스는 연결된 기기가 없을 때 검색을 하며, 검색은 연결된 기기와의 통신보다 배터리를 더 많이 소모한다.
- NFC 및 비접촉 결제: 사용하지 않는다면 끄는 게 좋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해외판 삼성 갤럭시를 사용중이라면 어차피 NFC 기술을 이용할 수 없으니 끄자.
- 비행기 탑승 모드: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기기는 켜주는 게 좋다. 상단 바에서도 설정할 수 있다.
- '모바일 네트워크 > VoLTE 통화 SIM 1': 켠다. 통화 시 LTE 데이터를 우선으로 사용하는 설정이다.
- '모바일 네트워크 > 2G 서비스 허용': 대한민국에서는 끄자. 2021년 6월에 대한민국에서 2G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국내 버전 삼성 갤럭시에는 없는 옵션이다.
- '모바일 네트워크 > 네트워크 모드': 배터리 절약을 위해서 LTE 우선을 켜자.
- '데이터 사용 > 데이터 절약 모드': 사용하면 데이터 사용량이 줄어든다. 단 알람이 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카카오톡 등 알람을 꼭 받아야 하는 앱은 '데이터를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앱'에 등록하자.
- '데이터 사용 > 앱별 네트워크 설정'에서 '앱마다 Wi-Fi 만 사용, 모바일 데이터만 사용, 둘 다 사용'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 '기타 연결 설정 > 주변 기기 찾기': 해당 기기가 다른 기기를 인식하고, 다른 기기가 해당 기기를 인식하는 기능이다. 끄면 분실 시 위치 추적 기능도 사용할 수 없다. 다른 기기에 연결하지 않고 분실해도 상관 없다면 끄자.
3.2. 디스플레이 설정
'설정 > 디스플레이'로 진입할 수 있다.- '배경화면' 혹은 삼성 갤럭시의 경우 '설정 > 테마'에서 배경화면 및 테마를 변경할 수 있다. OLED 화면은 다크 테마 및 검정 배경화면, LCD 화면은 라이트 테마 및 하양 배경화면을 선택하면 된다.[3] 순수 검정, 순수 하양 배경화면은 검색해서 다운받는다.
- '밝기 최적화'를 켜자. 주변에 비해 디스플레이가 밝으면 시세포의 피로를 유발하며, 주변에 비해 디스플레이가 어두우면 홍채의 피로를 유발한다. 주변의 밝기와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비슷한 게 눈 건강에 좋으며 배터리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성능 여유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끄는 게 좋으며 상단 바에서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 '부드러운 모션 및 화면 전환'을 일반으로 설정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 '편안하게 화면 보기'를 사용한다. 블루 라이트를 줄이면 눈 건강에 도움이 되고 숙면을 취할 때도 좋다. 단 블루 라이트의 밝기를 줄이면 전체 밝기가 낮아지기 때문에 낮 시간 동안에는 끄는 게 좋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성능 여유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끄는 게 좋다.
- '글자 크기와 스타일'에서 굵은 글꼴, 큰 글씨를 사용한다. 얇은 글꼴, 작은 글씨는 홍채의 피로를 유발해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원하는만큼 글자 크기를 키웠을 때 스마트폰 화면의 정보량이 너무 줄어든다면 화면이 큰 스마트폰, 폴더블폰 혹은 태블릿을 구매하자.
- '화면 모드 > 선명한 화면'을 사용하고, 화이트밸런스는 중간에 두며 야외에서 최대 밝기를 확보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 '내비게이션 바'에서 '버튼, 스와이프 제스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스와이프 제스처는 화면을 넓게 쓸 수 있고 내비게이션 바로 인한 번인을 줄일 수 있지만 적응이 되지 않는다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스와이프 제스처'를 써보고 편하다면 스와이프 제스처를, 불편하다면 버튼을 선택한다. '서클 투 서치'는 유용하지 않다면 끄자.
- 'Edge 패널'은 유용하지 않다면 끄자.
- '충전 정보 표시'는 유용하지 않다면 끄자.
3.3. 배터리 설정
'설정 > 배터리'로 진입할 수 있다.- '절전 모드'를 켜자.
- '절전 모드 > 성능 - CPU 속도를 70%로 제한'을 켜면 과도한 발열로 인한 성능 유지력 저하를 방지하고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 '절전 모드 > 디스플레이 > Always On Display 끄기'를 켜자. Always On Display는 안드로이드 OLED 화면 스마트폰일 경우 배터리 소모가 많지 않으나 최적화를 위해서는 끄는 게 낫다.
- '절전 모드 > 화면 밝기 10% 낮추기'는 켜지 말자. 야외 시인성이 낮아질뿐더러 자체 밝기 조절로 충분하다.
- '절전 모드 > 부드러운 모션 및 화면 전환을 일반으로 설정'을 켜자. 120Hz를 비활성화하는 설정이다. 화면은 재생률이 낮을수록 AP 및 배터리 소모가 적다.
- '절전 모드 > 다크 모드 켜기'를 켜자.
- '절전 모드 > 화면 자동 꺼짐 시간을 30초로 설정'은 선택사항이다.
- '절전 모드 > 초절전 모드 - 앱 및 홈 화면 제한'은 선택사항이다. 구형 기기의 경우 절전 모드와 별개의 초절전 모드로 존재하는 대상이었으며, 안드로이드 10 이후 절전 모드로 편입되는 대신 대기 전력이 다소 늘어나 구형 기기처럼 대기 상태로 충존 없이 한 달 가까이 버티던 시절은 지났다.
- '배터리 보호 모드'를 켜자. 다만 배터리 보호 모드는 배터리 온도가 40도가 넘어가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
- '백그라운드 앱 사용 제한'을 켜자. 단, 카카오톡 등 알람을 실시간으로 받아야 하는 앱이 있을 경우 추가 설정을 해야 하며, 귀찮다면 차라리 끄는 게 낫다.
- '백그라운드 앱 사용 제한 > 사용하지 않는 앱을 절전 상태로 전환'을 켜자.
- '백그라운드 앱 사용 제한 > 자동 절전 예외 앱'은 '사용하지 않는 앱을 절전 상태로 전환'을 켰을 때 수동으로 설정하자. 카카오톡 등 알람을 실시간으로 받아야 하는 앱을 추가한다.
- '백그라운드 앱 사용 제한 > 절전 상태 앱'은 백그라운드 실행이 제한되는 앱의 목록이다. 업데이트, 알림이 바로 오지 않을 수 있다. 원하는 앱을 추가, 제거하자.
- '백그라운드 앱 사용 제한 > 초절전 상태 앱'은 백그라운드 실행이 금지되는 앱의 목록이다. 업데이트, 알림이 원천 금지되며 앱을 열 때만 실행된다. 원하는 앱을 추가, 제거하자.
- '충전 설정'에서 '충전 정보 표시'는 유용하지 않다면 끄자. '고속 충전'은 켜고, '초고속 충전'은 선택, '고속 무선 충전'은 끄자. 일반 충전보다 고속 충전이, 고속 충전보다 초고속 충전이 배터리 수명을 많이 갉아먹지만, 초고속 충전을 켠다고 0%에서 100%까지 초고속 충전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그 정도가 크지는 않다.[4] 무선 충전은 인덕션과 동일 원리라 유선 충전보다 발열이 심하며, 고속 무선 충전은 더더욱 심해서 배터리, OLED 화면 등의 수명에 악영향을 끼친다.
- '화면 밝기 자동 감소'는 켜자. 배터리가 5% 미만일 때 밝기를 줄이는 옵션이다. 배터리는 완전충전, 완전방전이 제일 치명적이다. 완전충전은 충전 제한, 충전 바이패스 옵션으로 막을 수 있지만 완전방전을 막을 수단은 이 옵션 밖에 없다. 배터리가 5% 미만이면 즉시 충전을 시작하거나 사용을 중지하는 습관을 들이자. 사실 15% 알람 등 더 높은 수준에서 충전을 시작하면 배터리에 더 좋다.
3.4. 애플리케이션 설정
'설정 > 애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할 수 있다.*'︙ > 권한 관리자'에서 일괄적으로 권한을 편집할 수 있으며, 앱마다 일일이 설정하는 것보다 편하다. 알림 등의 다양한 권한이 존재한다.
*'삼성 앱 설정': 삼성 갤럭시 한정 설정. 주요 삼성 기본 앱만 모아서 설정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정보'와는 다른 앱 자체 설정이다.
*'앱 목록'의 같은 줄 반대편의 아이콘을 누르면 '필터 및 정렬 - 시스템 앱 표시'를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앱 중에서도 사용 중지가 가능한 앱이 있으며 ADB를 통한 삭제 등의 번거로운 방식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개별 앱 >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공통적인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편집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9 이상은 런처에서 앱을 꾹 누르면 뜨는 말풍선으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진입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 > 알림, 권한'에서 필요 없는 옵션을 꺼주자.
*'사용량 - 모바일 데이터 >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 허용'은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앱에 한해 꺼주자. 단 데이터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 허용'을 일일이 끌 필요가 없다.
*'사용량 - 모바일 데이터 > 데이터 절약 모드 사용 중일 때 데이터 사용 허용'은 필요한 앱에 한해 켜주자.
*'사용량 - 배터리'에서 '제한 없음, 최적화, 제한' 중 사용 패턴에 따라 원하는 옵션을 설정하자. 유튜브 프리미엄 등 장시간 백그라운드 재생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은 '제한 없음'이 좋다.
*특정한 앱에 오류가 생겼거나 배터리 소모가 많다면 '사용량 - 저장공간 > 캐시 삭제'를 해주고,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데이터 삭제'를 고려하자.
*맨 밑에 '열기', '삭제', '강제 중지'가 있으며, 기본 앱은 '사용 안 함'이 있고, 최신 기종은 '보관'이 있다.
*'사용량 - 모바일 데이터 >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 허용'은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앱에 한해 꺼주자. 단 데이터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 허용'을 일일이 끌 필요가 없다.
*'사용량 - 모바일 데이터 > 데이터 절약 모드 사용 중일 때 데이터 사용 허용'은 필요한 앱에 한해 켜주자.
*'사용량 - 배터리'에서 '제한 없음, 최적화, 제한' 중 사용 패턴에 따라 원하는 옵션을 설정하자. 유튜브 프리미엄 등 장시간 백그라운드 재생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은 '제한 없음'이 좋다.
*특정한 앱에 오류가 생겼거나 배터리 소모가 많다면 '사용량 - 저장공간 > 캐시 삭제'를 해주고,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데이터 삭제'를 고려하자.
*맨 밑에 '열기', '삭제', '강제 중지'가 있으며, 기본 앱은 '사용 안 함'이 있고, 최신 기종은 '보관'이 있다.
3.5. 개발자 모드
개발자 모드는 개발자들을 위한 설정을 조절하는 구역이다. 구형 기기는 개발자 옵션이라고 한다. 개발자 모드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있으며, 일반적으로 빌드 번호를 11 번 터치하면 설정 앱에서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빌드 번호'는 보통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에 있으나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대부분의 옵션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필요 없으며, 어떤 옵션의 기능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 함부로 건드리지 않길 권한다.- '실행 중인 서비스'에서 사용 중인 서비스, 캐시된 서비스가 램을 얼마나 점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DB를 통한 기본 앱 제거에 도움이 된다. 삼성 갤럭시는 디바이스 케어, 굿 가디언즈의 메모리 가디언에서도 볼 수 있다.
- '그리기 항목 - 창 애니메이션 배율, 전환 효과 애니메이션 배율, Animator 길이 배율': 전부 끄거나 0.5x로 설정하자. 불필요한 애니메이션 효과는 끄는 게 좋다. 특히 One UI 6.1 미만의 삼성 갤럭시에서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 '디버깅 - 로거 버퍼 크기': 사용 안함, 혹은 안드로이드 7.0 이전의 구형 기기의 경우 최소 옵션으로 설정하자. 로거 버퍼는 큰 영향은 없으나 최적화를 위해선 최소화하거나 꺼야 한다. 로거 버퍼는 휴대폰에 오류가 생겼을 때 참고하기 위해, 휴대폰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기록하는 로그 크기의 상한선을 결정한다. 로거 버퍼를 최대한으로 늘려야 휴대폰이 빨라진다는 헛소문에 속지 말자.
- '디버깅 - USB 디버깅': 커스텀 펌웨어, 루팅이나 ADB를 통한 기본 앱 삭제 및 교체 등 일반 소비자는 접근하기 힘든 기능을 원한다면 USB 디버깅을 켜자. 쓰지 않을 때는 끄는 게 보안상 좋다.
- '네트워크 - Wi-Fi 검색 제한': 켜면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된다.
- '네트워크 - 네트워크 다운로드 속도 제한': 앱 업데이트, 설치 등 대용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로 다운로드받을 때 네트워크가 포화되어 인터넷, 유튜브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다른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매우 빠르게 다운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다운로드 속도가 제한되므로 선택사항이다.
3.6. 개인정보 수집, 광고 차단
개인정보 수집은 그 자체로 리소스를 차지하기 때문에 끄는 것이 좋다. 스마트폰을 처음 켤 때 귀찮다고 대충 넘기지 말고 마음에 들지 않는 옵션을 끄면 나중에 귀찮을 일이 없다.- 삼성 계정: '설정 > 최상단 삼성 계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복구 이메일 추가 > 사용자 동의 - 광고 및 마케팅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특별한 제안과 뉴스레터 받기, 마케팅 목적으로 제3자에게 개인정보 제공, 제3자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를 전부 끄자. 광고가 줄어든다.#
- Google 계정: '설정 > Google > Google 계정 관리 > 데이터 및 개인정보 보호 > 웹 및 앱 활동, 타임라인 일시중지, 내 광고 센터 사용 안함'을 선택한다. Google 검색 맞춤설정은 선택이다. 구글 계정을 여러 개 사용한다면 계정마다 설정해야 한다.
-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보안 > 퍼스널 데이터 인텔리전스': 사용 패턴을 학습해서 앱 추천 등을 하는 앱이다. S24, S25 등의 기기에서 퍼스널 데이터 인텔리전스의 배터리 드레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퍼스널 데이터 인텔리전스 앱의 데이터, 캐시를 삭제하거나 ADB 등으로 앱을 삭제, 비활성화하면 해결된다. 퍼스널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지우고 싶지 않다면 쓰지 않는 기능만 지워도 나아진다.
-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개인정보 설정 > 삼성 - 진단 데이터 보내기'를 끄자. 안드로이드 개선을 위해 진단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이다. 부하가 크지 않지만 개별 기기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끄는 게 낫다.
-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개인정보 설정 > Google - Android 맞춤형 서비스'를 끄자. 개인의 앱 사용 패턴을 수집해 맞춤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어떤 앱에서 입력한 텍스트가 다른 앱 쓸 때 검색 제안으로 나타난다. 해당 데이터는 휴대전화에만 저장되며 부하가 크지 않지만 최적화를 위해 끄는 게 낫다.
-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개인정보 설정 > Google - 광고 > 광고 개인 정보 보호 > 광고 측정 > 광고 측정 허용'을 끄자.
-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개인정보 설정 > Google - 사용 및 진단'을 끄자.
-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개인정보 설정 > Android 시스템 인텔리전스 > 키보드 > 스마트 텍스트 추천을 키보드 추천란에 표시합니다': 삼성 키보드 등 무거운 키보드를 지우고 커키 키보드 등 가벼운 키보드 앱을 사용할 예정이라면 끄자.
4. 앱별 최적화
- 애플리케이션 설정에서 불필요한 알림, 데이터 사용 등을 끄고 캐시를 삭제하는 등 공통 앱 최적화를 할 수 있다.
4.1. 기본 앱
필요 없는 사전 탑재 기본 앱, 통신사 앱 등의 블로트웨어는 ADB로 삭제, 비활성화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램을 차지하지 못하게 사용 해제, 절전, 초절전 혹은 동결하자.- ADB로 앱을 삭제할 수 있다. adb shell pm uninstall -k --user 0 (패키지 이름) 명령어로 삭제하고, adb shell pm install-existing --user 0 (패키지 이름)[5] 명령어로 복구할 수 있다. 다만 Android 8.0 미만은 삭제는 되지만 install-existing 복구 명령어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복구 시 apk 설치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Google Docs, 메모장 등에 기종별로 삭제한 앱과 패키지명을 메모해야 유사시 쉽게 복구할 수 있다. Package Name Viewer처럼 패키지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기왕이면 일반 앱과 시스템 앱을 구별해주는 앱을 설치하자.
- OS 설정에서 절전, 초절전, 사용 해제 등을 설정할 수 있으나 안 되는 사전탑재 앱이 대부분이다.
- ADB로 앱을 삭제하지 않아도 앱 동결 앱을 사용하면 원하지 않는 앱의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hibernate 검색하자. 이 방법은 동결 앱 자체는 램을 점유할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하진 않으나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다. 램을 적게 차지하는 앱 동결 앱은 Greenify, Brevent 등이 있다. 특히 AliExpress처럼 백그라운드 실행을 제한해도 대놓고 실행 중인 앱을 강제로 비활성화할 때 유용하다. 비활성화 옵션이 있는 기본 앱도 일부 있으나, 간혹 비활성화했는데도 램을 차지하는 앱은 ADB로 삭제하자. 다만 적어도 Android 15 이상의 최신 기기는 앱별 배터리 제한, 초절전 기능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게 낫다.
- Package Disabler Pro 등 설정 앱으로 비활성화할 수 없는 시스템 앱도 비활성화할 수 있는 패키지 매니저 앱이 있다. 다만 본래 루팅하지 않는 이상 ADB를 통하지 않으면 건드릴 수 없어야 하는 기능을 활용하는 앱이므로 플레이 스토어 등의 앱 스토어로 다운받기 힘들며, 개발자의 홈페이지에서 구매해야 하는 등 장벽이 있으므로 ADB로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상술한 문제점을 이길 정도로 귀찮지 않다면 ADB를 통한 삭제를 추천한다.
- 개발자 옵션에서 백그라운드 제한을 설정하면 포어그라운드로 튀어나오는 앱만 제한하면 되어서 기본 앱 삭제 등 작업을 덜 해도 되지만 멀티태스킹 및 알람 등이 제한되므로 서브폰에서만 설정하길 권한다. '활동 유지 안함'도 켜면 당장 사용 중인 앱을 제외하고 전부 종료된다.
기본 앱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안전: 일반적인 사용자가 필요할 일이 드물거나 없어서 삭제해도 거의 영향이 없는 앱
- 선택: 지워도 OS에 영향이 없지만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수요가 있어서 지울지 말지 선택할 앱
- 교체: 지워도 OS에 영향이 없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함. 삭제 전 대체 앱 설치 필수.
- 준필수: 지워도 OS에 영향이 없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함. 특수한 경우에만 삭제.
- 필수: 지우면 OS에 치명적인 영향이 있음. 삭제 금지.
- 모름: 정보가 부족하여 삭제해도 될지 판단하기 곤란한 앱. 실험 필요.
그런데 어떤 앱을 이렇게 일괄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일반적인 기기는 지워도 OS에 영향이 없지만 특정 구형 기기에서는 지우면 무한 오류 등 치명적인 OS 결함을 초래하여 공장 초기화를 해야 하는 경우가 간혹 있고, 구형 안드로이드에서는 분리되어 있던 기능이 최신 안드로이드에서는 통합된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기기별로 선발대를 참고해야 하는 것이며, ADB로 앱을 지우기 전에 SD카드 등으로 백업이 권장되는 이유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기기 설정에서 시스템 앱 삭제 및 비활성화가 막혀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 출고 전 공장 테스트 앱은 삭제해도 무방하다.
- 서비스 종료된 사전탑재 앱은 삭제하는 게 좋다.
- 출시된지 오래 지나 안드로이드 버전, 보안 업데이트가 더이상 되지 않는다면 관련 업데이트 옵션을 끄고 관련 업데이트 앱을 삭제하자.
- 메인폰, 예비폰이 아니어서 전화, 메시지, 연락처 관련 앱이 필요 없다면 지우거나 동결하자. 다만 아예 삭제하면 기종에 따라서 스마트폰이 정상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공장 초기화를 해야 햘 수도 있으므로 백업 등 만반의 준비를 하자. 특히 '다이얼러 저장소'[6] 앱은 절대 지워선 안 된다.
4.2. 가벼운 앱으로 교체하기
사용 중이던 앱을 더 가벼운 앱으로 교체해도 도움이 된다. 옵션 > 개발자 모드 > 실행 중인 서비스를 보면 앱들이 얼마나 램을 차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램에 항상 상주하는 앱, 램을 많이 차지하는 앱, 아예 없애면 곤란한 앱일수록 교체할 필요성이 커진다. 기본 앱의 경우 실행하지 않아도 램에 상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활성화가 안 되거나 비활성화를 해도 램을 점유하는 경우 완전히 지우려면 ADB를 활용해야 한다.앱은 업데이트를 거칠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최신 버전이 필요하지 않다면 구형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F-Droid 등의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앱 스토어에서 apk 파일을 다운받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자동 업데이트 예외 처리하자.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면 된다. 또한 앱이 업데이트되다가 나중에는 구형 운영체제는 지원하지 않게 되는데, 구버전 apk를 찾아서 다운받으면 된다. 다만 구버전 apk는 보안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신뢰도 높은 사설 앱 스토어도 100% 믿을 수는 없으니 데이터 등 외부 연결을 하지 않을 기기가 아닌 이상 주의하자.
앱의 램 점유율은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제로 얼마나 램을 차지하는지는 "설정 > 개발자 모드 > 실행 중인 서비스", 삼성 갤럭시는 디바이스 케어, Good Guardians > Memory Guardian 등에서 직접 확인해야 확실하다.
- 삼성 키보드, Gboard, 네이버 스마트보드 등의 흔히 쓰이는 가상 키보드 앱은 램을 200MB 이상 차지하는 은근히 무거운 앱이다. 또한 가상 키보드 앱은 램에 항상 상주하기 때문에 더더욱 부하가 크다. 한편 AOSP 기본 키보드 앱은 한글 미지원이다. 커키 키보드, FlorisBoard 등 한국어를 지원하면서 램을 50mb 이하로 차지하는 가벼운 키보드 앱을 사용하자.
- 삼성 갤럭시 기본 홈 런처 One UI는 버전이 올라갈수록 무거워져가며 홈 런처는 특성상 램에 항상 상주하고 있다. Lawnchair Legacy, Lightning Launcher 등의 가벼운 홈 런처 앱으로 대체해보자. 단, 최신 버전은 최근 앱 기능을 기본 홈 런처에 통합했기 때문에, 최근 앱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구형 홈 런처를 설치하고 기본 홈 런처를 지우면 사용에 막대한 불편함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 구글 어시스턴트, Google Lens 등의 안드로이드 기본 구글 검색 앱을 구글 고로 교체하거나, 브라우저에서 구글 웹사이트에 접속해 검색하는 방식 외에는 구글 검색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예 미설치하자.
- 날씨 앱은 홈 런처의 홈 화면에 네이버 날씨 등의 원하는 지역 날씨 웹페이지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여 대체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에 북마크 저장해도 된다. 뉴스 앱 또한 네이버 뉴스 등 원하는 뉴스 페이지를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하거나 북마크 저장할 수 있다.
- 구글 크롬, 삼성 인터넷 등의 웹 브라우저를 Via Browser, 소울 브라우저, Opera Mini, Firefox Focus 등 가벼우며 종료하면 백그라운드에서 램을 차지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대체하자. 다만 웹 브라우저는 이 이상으로 지나치게 가벼우면 탭 여러 개 열기, 이미지 보기 등 핵심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Kiwi Browser, SmartCookieWeb 등 업데이트가 예전에 멈춘 웹 브라우저도 가벼운 경향이 있지만 보안 미흡, 최신 기능 미지원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민감한 계정은 로그인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유튜브가 램을 많이 점유한다면 NewPipe처럼 가벼운 유튜브 대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자. 유튜브 등 동영상 플레이어로 음악을 장시간 감상하는 경우 Black Me, Blackr, Display Assistant의 '스크린 커튼'처럼 화면에 검은 이미지를 덧씌우는 스크린 세이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7] 유튜브 프리미엄 혹은 유튜브 대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바란다.
- 뮤직 플레이어는 뮤직콜렛처럼 램 점유율이 낮고, 지원하는 확장자가 많으며, 무료인 앱을 사용하자.
- Google Play 스토어는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에 필수적인 앱이지만, 램에 상주하며 램을 많이 차지하여 구형 스마트폰에서는 이조차 짐일 수도 있다. 사용 중지가 가능한 기종에서는 평소에는 사용 중지를 해놓고 필요할 때만 켤 수 있으며, 혹은 별도의 APK 스토어를 활용해 APK를 설치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 Google Play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필수적인 앱이지만, 램에 상주하며 램을 많이 차지하여 구형 스마트폰에서는 이조차 짐일 수도 있다. MicroG 프로젝트의 GmsCore 앱이 구글 플레이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구글 플레이 서비스가 설치된 휴대폰에 GmsCore를 설치할 수 없고 루팅 내지는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 필요하다. 또한 구글 플레이 서비스만큼은 ADB를 통한 삭제 내지는 '사용 안함'이 불가능하게 막아둔 기기가 대부분이다.
- 라이트 앱을 활용하자. 예를 들면 틱톡은 틱톡 라이트, 페이스북은 페이스북 라이트, 인스타그램은 인스타그램 라이트[8]가 있다.
4.3. 구글 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글 앱스#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글 앱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구글 앱스는 삭제 혹은 사용 안함을 하지 않는 이상 백그라운드 활동 차단이 어려운 편이며, 앱별 배터리 사용 제한, 초절전 등으로도 백그라운드 활동이 충분히 줄어들지 않는다. 최신 기종일수록 대기 상태 배터리 소모 증가의 원인이 된다. 백그라운드 활동은 제한하고 싶지만 구글 앱스가 필요하다면 OS 설정 앱의 애플리케이션 설정뿐만 아니라 앱 자체 설정을 꺼야 한다.
- Play 스토어: 메인 화면 우측 상단의 사용자 아이콘을 터치하면 '설정, Play 프로텍트'에 진입할 수 있다. '설정 > 일반 > 기기 위치 사용, 앱 설치 최적화'를 끄자. '설정 > 일반 > Google Play 스토어 의견 > Play 스토어 관련 설문조사 응답'을 끄자. '설정 > Play 프로텍트 설정 > 유해 앱 감지 기능 개선'을 끄자. 'Play 프로텍트 > 우측 상단 톱니바퀴 아이콘 > 유해 앱 감지 기능 개선'을 끄자. '설정 > 네트워크 환경설정 > 앱 자동 업데이트'를 끄자.
- Google(앱): 메인 화면 우측 상단의 사용자 아이콘을 터치하면 '설정'에 진입할 수 있다. '설정 > 알림'에서 필요 없는 알림을 끄자. '설정 > 기타 설정 > 앱 - 디스커버'는 사용하지 않는다면 끄자.
4.4. 삼성 갤럭시 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삼성전자의 앱#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삼성전자의 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설정 > 애플리케이션 - 삼성 앱 설정'에서 주요 삼성 기본 앱 자체 설정을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와는 다른 앱 자체 설정이다. 단 Good Lock & Good Guardians 및 그 하위 앱들은 삼성 앱은 맞지만 기본 앱은 아니므로 앱마다 따로 설정해야 한다.
- One UI 홈: '애플리케이션 정보 > 저장공간 > 캐시 삭제'하자. Smart Switch로 앱을 옮겼을 때 안드로이드 버전 호환 문제로 특정 앱의 소비 전력이 크게 늘어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One UI 홈도 그 중 하나다. 데이터도 지우면 앱 배치 정보도 날아가므로, 캐시를 지웠는데 해결되지 않을 때 최후의 방법으로 시도하자. '애플리케이션 정보 > 배터리 > 제한' 설정으로 배터리를 절약하자. One UI는 위젯 등 런처 연계 앱 많이 실행될수록 무거워진다.
- 삼성 갤러리: 우선 '갤러리 설정'에 진입하자. 최신 삼성 갤럭시는 혹은 '갤러리 앱 > 메뉴 > 설정' 혹은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진입할 수 있다. 구형은 '갤러리 앱 > 최상단 ︙ > 설정'에서 들어갈 수 있다. '갤러리 설정 > 스토리 - 자동으로 만들기, 알림'은 필요하지 않으면 끄자. 자동으로 스토리를 만들면 곤란해질 수도 있다. '갤러리 설정 > 장소 이름 표시' 혹은 구형은 '갤러리 설정 > 고급 - 위치정보 표시'는 켜는 게 좋다.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사진, 비디오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므로, 인터넷에 함부로 올리면 안 되는 사진, 비디오가 뭔지 파악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사진, 영상에 위치정보가 남는 게 싫다면 사진 앱, 비디오 앱에서 설정할 수 있다.
- 삼성 내 파일: '파일 앱 > 유틸리티 - 저장공간 관리'에서 휴지통, 사용하지 않는 앱, 중복 파일, 용량이 큰 파일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파일 앱 > ︙ > 설정 > 파일 관리 - 모바일 데이터 사용 허용 > 클라우드 저장공간, 네트워크 저장공간'은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끄자.
- Smart Switch: 앱 등의 모든 설정을 다른 휴대폰에 통째로 옮기는 앱이다. 다만 찌꺼기 캐시 등도 같이 옮겨지므로, 스마트 스위치로 이사한 후 캐시 정리를 하자. 바쁘지 않다면 꼭 옮겨야 하는 앱만 옮기고 나머지는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게 좋다.
- 삼성 캡처: '설정 > 유용한 기능 > 화면 캡처 및 화면 녹화'에서 '화면 캡처 - 상태 표시줄 및 내비게이션 바 숨기기'를 켠다. 스크린 캡처 파일의 크기를 줄인다. 상태 표시줄은 캡처 파일을 생성한 기기를 추적할 단서가 될 수 있다.
- 게임 한정으로 Gaming Hub를 이용해 FPS와 해상도를 낮추는 식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 '디바이스 케어: '배터리 > 절전 모드, 백그라운드 앱 사용 제한, 배터리 보호' 등의 옵션을 켜자.
- '디바이스 케어: '성능 - 처리속도'에서 최적화, 높음, 최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적화'가 적합하다. 게임을 즐기며 쿨링할 생각이 있다면 '높음, 최대'를 고려할 수 있다.
- 삼성 갤럭시의 RAM Plus는 결국 RAM을 따라가지 못하므로, 램플러스를 켜기 전에 기본 앱 삭제 및 교체 등의 최적화를 해서 램 여유를 확보하는 게 좋다. 램플러스는 '설정 > 디바이스 케어 > RAM'에서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가급적 램 용량의 절반 이하로 설정하는 편이 좋으며, 램플러스를 압축해제할 때 CPU를 쓰므로 CPU를 험하게 굴리거나 발열이 심하다면 램플러스를 끄는 게 좋다.
- 구형 삼성 갤럭시 기기는 앱별 절전, 초절전, 자동 절전, 자동 절전 예외를 '설정 > 디바이스 케어(디바이스 관리) > 배터리'에서 설정할 수 있다.
- 안드로이드를 장기간 켜두면 오류가 누적될 수 있다. 주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자동 재시작하는 옵션을 활용하자. 삼성 갤럭시는 '설정 >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 자동 최적화 > 자동으로 다시 시작' 옵션을 조절할 수 있다.# 자기 전에 핸드폰을 끄는 습관을 들여도 좋다.
- '디바이스 케어 > 성능 - 처리속도': 절전 모드와 별개로 AP의 처리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다. 최적화, 높음, 최대가 있으며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게임 등의 고사양 요구 작업을 하지 않는 이상 발열 제어를 위해 최적화를 추천한다.
- Good Lock: UI 최적화 앱이다. UI로 인해 소모하는 시간을 줄이면 간접적으로 최적화 효과를 낼 수 있다.
- QuickStar: 상단 바에서 불필요한 아이콘을 줄이면 번인을 줄일 수 있다. '아이콘 표시 > 네트워크 정보', '아이콘 표시 > 시스템 아이콘 - IMS 네트워크 아이콘' 등을 줄이는 것을 추천한다.
- LockStar: AOD 및 잠금화면에서 불필요한 요소를 줄이면 번인을 줄일 수 있다.
- Home Up: 2023년 굿락 홈업 최적화 이슈가 있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나 Battery Tracker에서 해당 앱의 배터리 소모가 많은지 확인하자. 캐시 삭제, 데이터 삭제로도 해결되지 않으면 삭제하자.
- Good Guardians를 활용한다. 특히 Thermal Guardian, Memory Guardian, Galaxy App Booster, Battery Guardian이 좋고 Battery Tracker, Display Assistant 또한 활용하자.
- Battery Guardian: ‘데이터 네트워크 절전’으로 5G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을 앱을 선택한다. 5G는 4G보다 전력 소비가 많다. ‘취침 중 절전’으로 자는 동안 대기 전력을 최소화한다. ‘배터리 사용 시간 늘리기’의 설정을 적용한다. 앱 절전, 자동으로 화면 어둡게 하기, 일반 화면 재생률로 사용할 앱(선택), 스크린 커튼, 데이터 네트워크 절전, 취침 중 절전,
- Memory Guardian: '사용 모드'에서 '기본', '앱 전환을 빠르게', '현재 실행중인 앱을 빠르게' 옵션이 존재한다. '기본'이 무난하고, 멀티태스킹이 중요하면 '앱 전환을 빠르게', 게임이 중요하면 '현재 실행중인 앱을 빠르게'를 선택하자. 안 쓰는 기본 앱을 꼼꼼하게 삭제하는 식으로 백그라운드 앱, 실행 중인 앱을 줄이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Samsung Push Service: 삼성 광고 앱이다. 삼성 광고에 관심이 없다면 ADB 따위로 삭제하자.
4.5. 기타 주요 앱
- 카카오톡
- 채팅, 오픈채팅 중 알림이 필요 없는 방은 알림을 끈다.
- '우측 상단 톱니바퀴 아이콘 > 전체 설정'으로 앱 설정에 진입한다.
- '설정 > 실험실'에서 쓰는 기능이 없다면 '실험실 이용하기'를 끄고, 쓰는 기능이 있다면 쓰지 않는 기능을 끄자.
5. Android 최적화 애플리케이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유틸리티/안드로이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유틸리티/안드로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공통 최적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마트 디바이스 최적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마트 디바이스 최적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안드로이드 포함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 방법.
7. 비권장 최적화
- 4x MSAA는 계단 현상을 완화하는 옵션인데 이걸 켜면 더 많은 연산자원을 소모하므로 켜지 말자.
- GPU 렌더링을 지원하지 않는 구형 앱[9]을 사용하거나, GPU는 여유 있는데 CPU의 성능이 지극히 떨어지는 상황이 아닌 이상 GPU 렌더링은 건드리지 말자.
- GPU는 여유 있는데 CPU의 성능이 지극히 떨어지는 상황이 아닌 이상 HW 오버레이 사용안함을 켜지 않는 게 좋다.
- 배경화면 비트맵 크기는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에 맞춰지므로, 매우 작은 배경화면 이미지를 적용한다고 백그라운드 리소스가 절감되지는 않는다.
- 메모리 가디언 등에서 RAM 최적화를 하고 재부팅을 해도 RAM 최적화를 하지 않고 재부팅했을 때와 다를 게 없다. 재부팅을 하면 RAM이 초기화되기 때문이다.
- 개발자 모드에서 '활동 유지 안함'을 켜면 당장 쓰는 앱을 제외한 모든 앱을 종료시키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수 제한'을 켜서 "캐시된 프로세스"로 분류되는 백그라운드 앱을 제한할 수 있지만 멀티태스킹이 제한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걸 다 했는데도 여전히 불편할 때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할 것을 권한다. 활동 유지 안함보다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제한이 멀티태스킹에 끼치는 영향이 덜하지만, 웹브라우저는 화면에 앱이 띄워져 있지 않으면 대부분 캐시로 돌리기 때문에 어느 쪽이던 날아가는 것은 매한가지다. 단, 멀티태스킹 없이 알람 등 지극히 단순한 작업만을 시킬 예정이라면 백그라운드 제한을 적극 권장한다.
- 구형 스마트폰에 루팅 등을 해서 zRAM 설정을 높일 수 있는데, zRAM은 램에 넣을 데이터를 압축해서 넣는 기술이므로 물리 램 용량에 비해 지나치게 높이면 오히려 손해를 보거나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zRAM의 데이터를 쓸 때 CPU를 더 쓰기 때문에 AP 성능이 떨어지는 기기에는 권장하지 않는다. 실제로 테스트해보며 밸런싱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선구자의 글을 참고하자.
- 앱을 자주 강제종료하지 말고 알아서 종료되도록 내버려두거나 백그라운드 실행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10]
- 시스템앱이나 제조사 기본앱은 백그라운드 실행 제한을 걸어둘 필요가 없다. 오히려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1] 추가로 설치한 서드파티 앱이 아니면 "최적화"로 두는게 좋다.
-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기에서 해상도를 최소로 낮춰도 배터리 타임이나 메모리 절약에 효과가 있을지는 몰라도[12] 해상도 변경을 감지하지 못하는 앱은 강제 종료 후 재 실행 해줘야되며 화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좋은 방법은 아니다.
8. 관련 문서
[1] 아무 시스템 앱이나 막 지우면 벽돌폰이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벽돌폰이 되더라도 커널, 하드웨어가 손상되지 않는 한 리커버리 모드로 공장초기화가 가능하지만 내장 메모리의 자료가 증발한다.[2] 초절전모드는 안드로이드 6부터 도입되었으며, 안드로이드 10부터의 초절전모드는 사용할 수 있는 앱이 많아진 대신 전력소모가 다소 늘어났다. 초절전모드 알람시계로 활용할 사람들은 안드 8.1 혹은 9 커펌을 활용하자.[3] 전력 절약보다 시력 보호가 우선이라면 LCD 화면이라도 검정을 선택할 수 있고, 밝기를 좀 더 어둡게 조절해도 된다.[4] 다만 일부 중국 스마트폰은 초고속 충전이 너무 과도하거나, 실리콘 카본 등 실험적인 배터리 기술을 접목하여 불안정하다는 지적이 있으므로 끄는 게 좋을 수도 있다.[5] 안 될 시 adb shell cmd package install-existing --user 0 (패키지 이름)을 사용하자.[6] com.android.providers.telephony[7] 다만 LCD 화면은 화면이 아예 꺼지거나 백그라운드 라이트의 밝기가 달라지지 않는 이상 검은색 이미지를 띄워도 배터리가 거의 절약되지 않는다.[8] 공식적으로는 한국 미지원이라 플레이 스토어에서 설치할 수 없지만 apk를 다운받으면 한국애서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9] 안드로이드 4.4 이전의 앱들이 그럴 가능성이 높다.[10] 비권장 최적화로 분류되어있으나 이는 Google도 "앱을 종료하지 않아도 Android가 자동으로 관리한다"#고 공식적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앱을 강제로 종료하고 실행하면 배터리 사용율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기기에 따라 자동으로 종료되는 횟수가 늘어나거나 제때제때 종료가 되지않을수도 있다. 참고로 Android가 iOS와 달리 메모리 관리를 아직도 제대로 못한다는 평가가 있다.[11] 어째서인지 몰라도 백그라운드 실행이 필요한 앱을 제외하면 제한을 거는 게 가능하다.[12] 물론 기본 해상도에 비해 약간의 절감은 가능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구형 스마트폰|구형 스마트폰]]}}}{{{#!if external != "o"
[[구형 스마트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구형 스마트폰?uuid=676fe12f-bc3f-4281-9062-8f9ac89373d71|r2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구형 스마트폰?uuid=676fe12f-bc3f-4281-9062-8f9ac89373d7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구형 스마트폰?from=29|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구형 스마트폰|구형 스마트폰]]}}}{{{#!if external != "o"
[[구형 스마트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구형 스마트폰?uuid=676fe12f-bc3f-4281-9062-8f9ac89373d71|r2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구형 스마트폰?uuid=676fe12f-bc3f-4281-9062-8f9ac89373d7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구형 스마트폰?from=2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