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22:55:20

ASUS ROG 시리즈/그래픽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SUS ROG 시리즈
1. 개요2. 제품 목록
2.1. ROG STRIX2.2. ROG MATRIX2.3. 액세서리
3. 단종

1. 개요


파일:ASUS ROG 로고.svg파일:1px 투명.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립형 제품군 ▾
파일:asusAC_device_laptop.svg
노트북
파일:asusAC_device_phone.svg
스마트폰
파일:asusAC_device_desktop.svg
데스크톱
파일:asusAC_device_handheld.svg
게이밍 핸드헬드
파일:asusAC_device_xrmobile.svg
외장 그래픽 독
하드웨어 제품군 ▾
파일:asusAC_device_motherboard.svg
메인보드
파일:asusAC_device_gpu.svg
그래픽카드
파일:asusAC_device_display.svg
모니터
파일:asusAC_device_aio1.svg
쿨링
파일:asusAC_device_psu.svg
파워 서플라이
파일:asusAC_device_keyboard.svg
키보드
파일:asusAC_device_mice.svg 파일:asusAC_device_pads.svg
마우스 & 패드
파일:asusAC_device_headphones.svg 파일:asusAC_device_audioAcc.svg
헤드셋 & 오디오
파일:asusAC_device_network.svg
네트워크
파일:asusAC_device_chassis.svg
케이스
파일:asusAC_device_streamer.svg
스트리밍 키트
파일:asusAC_device_controler.svg
컨트롤러
파일:asusAC_device_storage.svg
스토리지
그 외 제품군 ▾
어패럴
액세서리
소프트웨어 & 서비스
///// FOR THOSE WHO DARE ///// }}}}}}}}}


ROG 시리즈의 그래픽카드인 만큼 기본적인 팩토리 오버클럭 자체는 상당히 높게 세팅되어서 왠만한 비레퍼런스 모델 중 인기 순위 1~3위를 다투고 있으며 컴덕들 사이에서 '검빨 종결자' 그래픽카드로 불리운다. 국내 에이수스 ROG VGA 그래픽카드는 상징적인 의미가 많으며, 가격 또한 TITAN 후려칠 만큼 비싸다. 해외에서는 제법 인정 받았을지언정, 우리나라에서는 에이수스 특유의 Direct CU II 와 STRIX 제품군이 주요 타겟일뿐이다.

http://www.playwares.com/xe/index.php?_filter=search&mid=all_p&search_keyword=%EC%9D%B4%EC%97%A0%ED%85%8D&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46309734

1080 Ti가 출시되면서 다시한번 검빨 종결자로 기대를 모은다. STRIX는 준수한 온도와 저소음 팬, 거의 최상급의 성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판매되는 제품들중 일부 제품들이 고주파음과 장난감 같은 저렴한 품질로 많은 ROG 팬들을 실망시키기도 했다.

http://cooln.kr/bbs/28/3077363

2080 Ti 출시 후 그 어느 제조사들도 따라오지 못하는 준수한 온도로 최상위 그래픽카드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지만, 여전히 너무 비싼가격과 적은 물량으로 실망하는 분위기다. 이는 최근 에이수스의 시대착오적인 판단의 결과로 보는 의견이 많다.

고주파음 이슈가 있는데 고주파음의 경우 반드시 제품의 문제로만 보기는 어렵지만 에이수스가 외주생산을 하면서 그래픽카드의 품질이 상당히 떨어졌을 것이라 추측해볼 수 있다. 해외에서도 품질과 마감의 평가가 좋지 않으며 최근에는 다른 TOP3 기가바이트, MSI의 고급형 그래픽 카드에 밀리는 상황이다. 원래 그래픽카드를 생산하던 공장도 에이수스 노트북을 만들고 나서는 품질이 떨어졌다고 한다.

GeForce 30 시리즈가 출시되며 그동안 문제로 인식되던 높은 가격에 비해 미묘한 성능이 30번대로 오며 다소 개선되었다. ASUS의 가격정책 부분은 이전과 전혀 차이가 없지만[1] 다른 벤더들의 매트릭스급 라인에서나 보이던 8+8+8 전원구성과 기가바이트 어로스 익스트림[2], MSI 슈프림마냥 칩의 핸드피킹을 철저히 했는지 성능에 대해서는 대체로 호평을 받는 편이다. 특히 STRIX 제품은 이전까지의 STRIX 슈라우드 디자인 우려먹기에서 벗어나 새롭게 세련된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측면의 아름다운 무지개색 LED 바가 화룡점정. 다만 채굴로 인한 물량난 이전부터 20번대 시절 죽을 쑨 탓에 엔비디아의 칩 배정에서 후순위로 밀려나 인기만큼 시장에서 많이 보기 어려웠다. 런칭 당시부터 동급의 모델을 판매하던 기가바이트와 뒤늦게 ASUS와 동급의 라인(SUPRIM X)을 내놓은 MSI는 잊을만하면 물량을 풀어댔기에 그들과 비교되었지만, MSI는 국내 그래픽카드 점유율 1위이고 기가바이트 역시 20번대 당시 에이수스보다 잘 팔았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3000번대부터 TUF와 함께 ROG 그래픽카드 패키지에는 기념품으로 유희왕이나 포켓몬스터 TCG 카드처럼 해당 제품이 그려진 카드[3]가 들어가 있다. 반응은 재밌다며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특이한 점은 3070부터 3090까지 전부 별이 4개짜리의 같은 스탯으로 나와 있다. 그리고 3070 KO는 카드 설명까지 전부 한글로 찍혀 있다. ROG 시리즈 그래픽카드에는 소형 자 모양의 스트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RX 6800 XT와 RX 6900 XT의 STRIX LC 수랭 버전이 별 5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마 두 카드가 3080과 3090 대비 게임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3DMARK 파이어스트라이크 점수 기준일 수도 있다.

RX 6900 XT와 RX 6800 XT는 STRIX LC 일체형 수랭 버전으로도 출시되었는데, ROG 특유의 사선 디자인과 적절한 LED 배치가 매우 아름다워서 외관상으로 호평이 많았고, 성능 역시 수랭답게 부스트클럭을 잘 뽑아내서 파스용 벤치머신으로 마니아층에서 선호도가 높다. 2021년에는 RTX 3080 Ti 및 RTX 3070 Ti에 대해서도 STRIX LC 라인업을 발표했다.

유튜버 신성조의 말에 따르면, 대표가 한국에 올 때 간담회를 여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피드백이 있었고, 이를 적극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유튜버 신성조의 의견
퀘이사존의 ASUS 간담회 후기

2. 제품 목록

2.1. ROG STRIX

처음부터 ROG 브랜드가 아닌 메인스트림 게이밍 브랜드였으나, ROG STRIX로 브랜드가 재편성되면서 신설되었고 2010년대 이후로는 사실상 ROG의 메인 그래픽카드가 된 시리즈.

파일:ROG 2080ti strix.jpg
ASUS ROG 2080 Ti STRIX

파일:h525.png
ASUS ROG STRIX RTX 3090
  • STRIX GTX 700 시리즈
  • STRIX GTX 900 시리즈
  • ROG STRIX GTX 10 시리즈
  • ROG STRIX RTX 20 시리즈
  • ROG STRIX RTX 30 시리즈
  • ROG STRIX RTX 40 시리즈

2.2. ROG MATRIX

2008년에 처음으로 등장한 시리즈. 출시 초기에는 플래그십 GPU가 아니어도 발매되었고 사실상 ROG 브랜드 전용 그래픽카드 시리즈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최상급 제품으로만 발매하게 되었다. 기존까진 공랭 제품으로 출시하다가 RTX 2080 Ti를 내놓으면서 공랭+수랭 하이브리드 쿨링[4]으로 출시, RTX 4090에 와서는 아예 일체형 수랭 모델로 출시했다.

파일:ROG 2080ti matrix.jpg
ASUS ROG 2080 Ti MATRIX
EVGA의 K|NGP|N이나 자사의 STRIX LC 제품처럼 공랭 쿨러와 AIO 쿨러가 조합되어 있다. 그런데 매우 특이하게도 펌프와 라디에이터와 부속 쿨링팬이 호스에 연결되어 외부로 나와 있는 게 아니라, 3열 쿨러 아래에 완전하게 들어간 컴팩트한 구성이라 외부 라디에이터 장착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
  • GeForce
    • 9600 GT
    • 9800 GT
    • GTX 260
    • GTX 285
    • GTX 580
    • GTX 780 Ti
    • GTX 980, GOLD 20TH GTX 980
    • GTX 980 Ti, GOLD 20TH GTX 980 Ti
    • RTX 2080 Ti
    • RTX 4090
  • Radeon
    • HD 4850
    • HD 4870
    • HD 5870
    • HD 7970
    • R9 290X

2.3. 액세서리

  • ROG WINGWALL - 교체용 아크릴판과 스티커가 포함된 PCIe 슬롯에 장착하는 가로형 그래픽카드 지지대. 위치조절 가능.
  • ROG HERCULX - 높이 조절, 수평계 기능이 포함된 스탠드형 그래픽카드 지지대
    • ROG HERCULX EVA-02 EDITION
  • ROG Strix Graphics Card Holder - Wingwall과 같지만 꾸미기 기능은 빠졌다. 위치조절 가능.

3. 단종

3.1. ROG MARS, ARES

엔비디아 GPU기판 하나에 2개나 탑재한 시리즈. 일반사용자용 제품군에서 SLI가 점점 인기를 잃어가는 2010년대 이후로는 더 이상 제품을 내지 않고 있다.
  • ROG MARS - 지포스 GTX 285 기반, 8+8핀 전원, 블로워팬, 지포스 200 시리즈가 HD 5870 시리즈에 밀려 고전하고 있을 때 출시된 제품, ROG 브랜드에 걸맞지 않게 소음이나 온도가 상당하고 디자인도 평범한 ASUS 제품으로 보이는 수준, 전세계 1000대 한정
  • ROG MARS II - 지포스 GTX 590 기반, 8+8+8핀 전원, 듀얼팬, 3슬롯 두께의 제품이며 120mm 팬 2개가 들어가고 무게는 2.39kg 달하는 2020년대 기준으로도 흔하지 않은 수준의 덩치를 자랑하는 제품, 전세계 1000대 한정
  • ROG MARS 760 - 지포스 GTX 760 기반, 8+8핀 전원, 듀얼팬, 플래그십 GPU가 아닌 퍼포먼스급 GPU인 GTX 760이 두개 들어간 제품
  • ROG MARS III - 지포스 GTX 680 기반, 8+8+8핀 전원, 트리플팬

3.2. ROG ARES

라데온 GPU기판 하나에 2개나 탑재한 시리즈. 그나마 공랭식을 유지했던 마르스와 다르게 아레스는 시간이 지날 수록 일체형 수랭이나 워터블럭 제품으로 방향을 틀었다.
  • ROG ARES - 라데온 HD 5970 기반, 8+8+6핀 전원, 싱글팬, 3슬롯 두께이며 알루미늄 슈라우드와 백플레이트에 방열판 대부분이 구리인 구성
  • ROG ARES II - 라데온 HD 7970, 8+8+8핀 전원, 싱글팬+120 일체형 수랭, 2슬롯 두께이며 늘어나는 발열을 감당하기 위해 코어는 일체형 수랭으로 메모리와 전원부는 공랭으로 쿨링하는 구성
  • ROG ARES III - 라데온 R9 295X, 8+8+8핀 전원, 수랭 블록 자켓, 당연히 1슬롯 두께이며 아예 대놓고 커스텀 수랭 제품으로 출시, 전세계 500대 한정

3.2.1. AREZ STRIX

라데온 시리즈에 ROG 이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잠깐동안 출범시켰던 브랜드. ROG STRIX 시리즈와 이름만 다르지 사실상 같은 제품으로 라데온이 ROG 브랜드로도 출시되는 지금은 없어졌다.

3.3. ROG POSEIDON

공랭과 수랭 쿨링이 동시에 적용된 시리즈. GTX 10 시리즈까지 명맥을 유지하다가 사실상 단종되었다. 매트릭스와 겹치는 포지션은 덤.
  • ROG POSEIDON GTX 780
  • ROG POSEIDON GTX 770 - 싱글팬으로 바뀌고 수랭 호스 위치가 약간 바뀌었다.
  • ROG POSEIDON GTX 980
  • ROG POSEIDON GTX 980 Ti
  • ROG POSEIDON GTX 1080 Ti - 검빨 디자인에서 검정 위주에 은백색 포인트가 들어간 디자인으로 변경

3.4. ROG STRIKER

메인스트림급 메인보드와 같은 포지션의 시리즈.
  • ROG STRIKER PLATINUM GTX 760


[1] 당장 3080 STRIX의 가격은 출시당시 기준으로 파스칼 1080Ti STRIX와 MSRP가 같다. 물론 2021년 2월 현재는 벤더들의 MSRP 자체가 상승해 논할 가치도 없는 것이 됐다.[2] 일부에서 8+8+8 전원구성의 리비전 이후의 마스터 모델을 거론하곤 하는데, 익스트림과 마스터의 수율편차는 부스트클럭에서 볼 수 있듯이 분명히 존재한다.[3] 신용카드와 비슷한 플라스틱 카드인데 좀 더 얇다.[4] 기존 포세이돈이 이 방식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