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요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대통령 선거 | 2024년 2024년 11월 5일 | 2028년 2028년 11월 7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중간선거 | 2022년 2022년 11월 8일 | 2026년 2026년 11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nopad> 상원의원 선거 | 119대 2024년 11월 5일 | 120대 2026년 11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nopad> 하원의원 선거 | 119대 2024년 11월 5일 | 120대 2026년 11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주지사 선거 | 2024년 2024년 11월 5일 | 2025년 2025년 11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nopad> 주무장관 선거 | 2024년 2024년 11월 5일 | 2026년 2024년 11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nopad> 주법무장관 선거 | 2024년 2024년 11월 5일 | 2026년 2024년 11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
2019년 미국 주지사 선거 2019 United States gubernatorial elections | ||||||||||
주지사 주별 선거 결과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17년 선거 | → | 2019년 11월 5일 2019년 선거 | → | 2020년 11월 5일 2020년 선거 | |||||
2022년 11월 8일 2018년 선거 | }}} | |||||||||
선거 결과 | ||||||||||
정당 및 | | | ||||||||
의석 | ||||||||||
주지사 24석 ▲1석 | 주지사 26석 ▼1석 | |||||||||
득표 | ||||||||||
1,898,756표 (49.48%) | 1,898,436표 (49.49%) | |||||||||
▼ | ||||||||||
2019년 미국 주무장관 선거 2019 United States Secretary of State elections | ||||||||||
주무장관 주별 선거 결과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18년 11월 6일 2018년 선거 | → | 2019년 11월 21일 2019년 선거 | → | 2020년 11월 8일 2020년 선거 | }}} | ||||
선거 결과 | ||||||||||
정당 및 | | | ||||||||
의석 | ||||||||||
주무장관 14석 ▼1석 | 주무장관 21석 ▲1석 | |||||||||
득표 | ||||||||||
▼ | ||||||||||
2019년 미국 주법무장관 선거 2019 United States State attorney general elections | ||||||||||
주법무장관 주별 선거 결과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17년 선거 | → | 2019년 11월 7일 2019년 선거 | → | 2020년 11월 5일 2020년 선거 | |||||
2022년 11월 8일 2018년 선거 | }}} | |||||||||
선거 대상 | 주지사(3): KY, LA, MS 주무장관(3): KY, LA, MS 주법무장관(3): KY, LA, MS | |||||||||
선거 결과 | ||||||||||
정당 및 | | | ||||||||
의석 | ||||||||||
주무장관 21석 ▼2석 | 주무장관 22석 ▲2석 | |||||||||
득표 | ||||||||||
1,390,786표 (39.09%) | 2,167,410표 (60.91%)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fff> 민주당 21석 (48%) | (51%) 22석 공화당 | }}} | |||||||
1. 개요
2019년 11월 5일에 미국 켄터키와 미시시피 주에서 실시된 주지사, 주무장관, 주법무장관 선거, 그리고 2019년 11월 16일에 루이지애나주에 실시된 주지사, 주무장관, 주법무장관 선거를 다루는 문서이다.2. 주지사
2.1. 켄터키 주
민주당 후보가 불과 1%p 격차로 탈환하는 데 성공하였다.2.2. 미시시피 주
공화당 후보가 5%p 격차로 수성하는 데 성공하였다.2.3. 루이지애나 주
민주당 후보가 약 3%p 격차로 수성하는 데 성공했다.3. 주무장관
3.1. 켄터키 주
2011년부터 2연임에 성공한 앨리슨 런더건 그라임스 주무장관이 민주당 소속이었던 것에 반해 주지사는 민주당이 가져가는 대신 주무장관에는 공화당 표가 몰렸다. 몰아주기 투표가 이닌 분산 투표인 셈.3.2. 미시시피 주
공화당 후보가 17%p 격차로 수성하는 데 성공했다.3.3. 루이지애나 주
공화당 후보가 18%p 격차로 수성하는 데 성공했다.4. 주법무장관
4.1. 켄터키 주
여기도 역시 공화당이 15% 차이로 이겼다.4.2. 미시시피 주
공화당 후보가 2배의 격차로 수성하는 데 성공했다.4.3. 루이지애나 주
공화당 후보가 15%p 격차로 수성하는 데 성공했다.5. 선거 결과
5.1. 세부 결과
5.1.1. 주지사
주 | | | 비고 |
켄터키 | 맷 베빈 704,754표 (48.83%) | 앤디 배쉬어 709,890표 (49.20%) | 민주당 획득 |
루이지애나 | 에디 리스폰 734,268표 (48.7%) | 존 벨 에드워즈 774,498표 (51.3%) | 민주당 유지 |
미시시피 | 테이트 리브스 459,396표 (51.91%) | 짐 후드 414,368표 (46.5%) | 공화당 유지 |
5.1.2. 주무장관
주 | | | 비고 |
켄터키 | 마이클 애덤스 746,629표 (52.3%) | 헤더 프렌치 헨리 682,096표 (47.7%) | 공화당 획득 |
루이지애나 | 카일 아르도인 867,607표 (59.1%) | 그웬 콜린스-그린업 601,126표 (40.9%) | 공화당 유지 |
미시시피 | 마이클 D. 왓슨 주니어 511,249표 (58.8%) | 쟈니 듀프리 357,806표 (41.2%) | 공화당 유지 |
5.1.3. 주법무장관
주 | | | 비고 |
켄터키 | 앨리슨 런더건 그라임스 823,343표 (57.8%) | 그렉 스톰보 602,218표 (42.2%) | 민주당 유지 |
루이지애나 | 제프 랜드리 855,338표 (66.4%) | 아이크 잭슨 436,531표 (33.6%) | 공화당 유지 |
미시시피 | 린 피치 507,468표 (57.83%) | 그레타 마틴 370,068표 (42.17%) | 공화당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