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폭우 | ||
{{{#!wiki style="margin:0 -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7px" | ▶ 한반도의 집중호우 목록 | |
▼ 문서가 존재하는 주요 폭우 사태 목록 | ||
<colbgcolor=#ddd,#000><colcolor=#000,#fff> 1925년 |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 7~9월 한반도 전역 | |
1998년 | 7~8월 구례군, 산청군 | |
2010년 | 9월 서울특별시 | |
2011년 | 7월 중부권 전역 | |
2014년 | 8월 동남권 전역 | |
2016년 | 8~9월 함경북도 | |
2017년 | 7월 중부권 전역 · 9월 동남권 전역 | |
2018년 | 8월 강원 영동권 · 8~9월 한반도 중부 이남 | |
2020년 | 6~9월 한반도 전역 | |
2022년 | 6~8월 중부권 전역(수도권) | |
2023년 | 5월 한반도 전역 · 6~9월 한반도 전역 | |
2024년 | 한반도 전역 (7월 압록강 유역) |
1. 개요
2018년 8월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강릉시, 속초시 등을 포함한 강원 영동지방에 쏟아진 폭우이다. 특히 6일 3시부터 4시 사이 강릉에 시간당 93 mm[1]가 쏟아지는 등 짧은 시간에 걸쳐 엄청난 폭우가 내리면서 피해가 속출하였다.2. 원인
폭염이 몰고 온 고온 건조한 고기압이 서풍으로 인해 서쪽에서 태백산맥으로, 많은 습기를 머금은 바닷가에서 불은 동풍의 저기압 역시 동쪽에서 태백산맥으로 이동했다. 이 두 기류가 백두대간에서 충돌하면서 대기 불안정으로 높이가 무려 11km나 되는 강한 비구름이 만들어졌고, 이 비구름대가 영동지방에 머무르면서 수많은 낙뢰와 기록적인 폭우를 내렸다. # 게다가 이 비구름이 시간이 지나면서 영동지방 전체를 훑고 지나가면서 비를 퍼부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3. 강수량 기록
3.1. 누적 강수량
기준시간 | 8월 5일 18시 ~ 8월 7일 0시 |
<rowcolor=#fff,#373a3c> 지역 | 강수량(mm)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봉포리(속초) | 294.7 |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 | 282.0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 274.5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장산리 | 247.0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 | 232.0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북강릉) | 204.8 |
강원도 속초시 조양동(청호) | 203.5 |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 | 200.0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현내리 | 197.5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파리 | 191.0 |
4. 피해
- 강릉 시내 대부분 지역이 물에 잠겨 해를 입었다. 특히 강릉역 대합실이 물에 잠기면서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 속초 시내 일부 낮은 지대도 물에 잠겨 해를 입었다.
- 이 지역으로 여행을 간 피서객들이 상당한 혼란을 겪었다. 예상치 못한 폭우였기 때문.
5. 여담
한편 서울에서는 이 무렵에 잠시 비가 왔다.[1] 2002년 8월 31일 태풍 '루사' 당시 시간당 100.5 mm에 이은 역대 2위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