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5:17:37

2015년 미국 주지사·주무장관·주법무장관 선거


미국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2024년
2024년 11월 5일
2028년
2028년 11월 7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중간선거 2022년
2022년 11월 8일
2026년
2026년 11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nopad> 상원의원 선거 119대
2024년 11월 5일
120대
2026년 11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nopad> 하원의원 선거 119대
2024년 11월 5일
120대
2026년 11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주지사 선거 2024년
2024년 11월 5일
2025년
2025년 11월 4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nopad> 주무장관 선거 2024년
2024년 11월 5일
2026년
2024년 11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nopad> 주법무장관 선거 2024년
2024년 11월 5일
2026년
2024년 11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1
주지사 주별 선거 결과
{{{#!wiki style="margin: -7px -12px" 2013년 선거 2015년 11월 3일
2015년 선거
2016년 11월 8일
2016년 선거
2014년 11월 4일
2014년 선거
}}}
선거 결과
정당 및



의석
득표
{{{+1
주무장관 주별 선거 결과
{{{#!wiki style="margin: -7px -12px" 2014년 11월 4일
2014년 선거
2015년
2015년 선거
2016년 11월 8일
2016년 선거
}}}
선거 결과
정당 및



의석
득표
{{{+1
주법무장관 주별 선거 결과
{{{#!wiki style="margin: -7px -12px" 2013년 선거 2015년
2015년 선거
2016년 11월 8일
2016년 선거
2014년 11월 4일
2014년 선거
}}}
선거 결과
정당 및



의석
득표
1. 개요2. 선거 전 상황
2.1. 주지사 선거2.2. 주무장관 선거2.3. 주법무장관 선거
3. 선거 결과
3.1. 주지사3.2. 주무장관3.3. 주법무장관
4. 평가

1. 개요

2015년 11월 3일 켄터키와 미시시피 주, 11월 21일 루이지애나 주에서 주지사, 주무장관, 주법무장관 선거가 실시되었다. 켄터키에서는 공화당 맷 베빈이 민주당 잭 콘웨이를 꺾고 40년 만에 주지사직을 탈환했으며, 루이지애나에서는 민주당 존 벨 에드워즈가 56.1%의 득표율로 공화당 데이비드 비터를 물리쳐 민주당이 주지사직을 되찾았다. 미시시피에서는 공화당 필 브라이언트가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2. 선거 전 상황

2.1. 주지사 선거

현역
켄터키

스티브 배셔 (임기 제한으로 출마 불가)
미시시피

필 브라이언트 (재선 도전)
루이지애나

바비 진달 (임기 제한으로 출마 불가)

2.2. 주무장관 선거

현역
켄터키

앨리슨 런더건 그라임스 (재선 도전)
미시시피

델버스 호세만 (재선 도전)
루이지애나

톰 스케이틀러 (재선 도전)

2.3. 주법무장관 선거

현역
켄터키

앤디 베셔 (출마)
미시시피

짐 후드 (재선 도전)
루이지애나

제프 랜드리 (출마)

3. 선거 결과

3.1. 주지사





비고
켄터키 맷 베빈 (52.5%, 당선) 잭 콘웨이 (43.8%) 공화당 획득
미시시피 필 브라이언트 (66.2%, 재선) 로버트 그레이 (32.4%) 공화당 유지
루이지애나 데이비드 비터 (43.9%) 존 벨 에드워즈 (56.1%, 당선) 민주당 획득

3.2. 주무장관





비고
켄터키 - 앨리슨 런더건 그라임스 (재선) 민주당 유지
미시시피 델버스 호세만 (재선) - 공화당 유지
루이지애나 톰 스케이틀러 (재선) - 공화당 유지

3.3. 주법무장관





비고
켄터키 - 앤디 베셔 (당선) 민주당 획득
미시시피 - 짐 후드(재선) 민주당 유지
루이지애나 제프 랜드리 (당선) - 공화당 획득

4. 평가

2015년 주지사 및 주요 주정부 선거는 남부 주를 중심으로 공화당이 대체로 우위를 유지한 가운데, 루이지애나에서 민주당이 주지사직을 탈환하는 이변이 있었다. 켄터키에서는 공화당이 장기간 민주당 우위였던 주지사직을 회복하는 중대 전환점이 되었으며, 미시시피에서 공화당 강세가 재확인되었다. 주무장관과 주법무장관 선거에서는 재선 성공이 많았고, 각각의 지역 정당 세력 구도가 강화되는 양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