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몬트리올 2011.10.22~10.24 | 퀘벡 2011.10.29.~10.31 | 창춘 2011.12.03~12.05 | 상하이 2011.12.10~12.12 | 모스크바 2012.02.11~02.13 | 드레스덴 2012.02.18~02.20 |
← 2009-10 | 2011-12 → |
1. 개요
2010-11 시즌에 진행되는 쇼트트랙 월드컵에 관한 문서. 총 6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2. 상세
회차 | 개최지 | 경기장 | 일정 |
1차 | 캐나다 몬트리올 | Maurice Richard Arena | 2010년 10월 22일 ~ 10월 24일 |
2차 | 캐나다 퀘벡 | Pavillon de la Jeunesse | 2010년 10월 29일 ~ 10월 31일 |
3차 | 중국 창춘 | Five Loop Palaestra | 2010년 12월 3일 ~ 12월 5일 |
4차 | 중국 상하이 | Shanghai Railway Station | 2010년 12월 10일 ~ 12월 12일 |
5차 | 러시아 모스크바 | Megasport Arena | 2011년 2월 11일 ~ 2월 13일 |
6차 | 독일 드레스덴 | EnergieVerbund Arena | 2011년 2월 18일 ~ 2월 20일 |
3. 결과
3.1. 1차: 캐나다 몬트리올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 | | | |
1500m(1) | | | |
1500m(2) | | | |
3000m 계주 |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 | | | |
1500m(1) | | | |
1500m(2) | | | |
5000m 계주 | | | |
3.2. 2차: 캐나다 퀘벡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1) | | | |
1000m(2) | | | |
1500m | | | |
3000m 계주 |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1) | | | |
1000m(2) | | | |
1500m | | | |
5000m 계주 | | | |
3.3. 3차: 중국 창춘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1) | | | |
500m(2) | | | |
1000m | | | |
1500m | | | |
3000m 계주 |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1) | | | |
500m(2) | | | |
1000m | | | |
1500m | | | |
5000m 계주 | | | |
3.4. 4차: 중국 상하이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 | | | |
1500m(1) | | | |
1500m(2) | | | |
3000m 계주 |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 | | | |
1500m(1) | | | |
1500m(2) | | | |
5000m 계주 | | | |
3.5. 5차: 러시아 모스크바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1) | | | |
1000m(2) | | | |
1500m | | | |
3000m 계주 |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 | | | |
1000m(1) | | | |
1000m(2) | | | |
1500m | | | |
5000m 계주 | | | |
3.6. 6차: 독일 드레스덴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1) | | | |
500m(2) | | | |
1000m | | | |
1500m | | | |
3000m 계주 |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500m(1) | | | |
500m(2) | | | |
1000m | | | |
1500m | | | |
5000m 계주 | | | |
4. 월드컵 랭킹
4.1. 여자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1 | | 5000 |
2 | | 4250 |
3 | | 3840 |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1 | | 3136 |
2 | | 3000 |
3 | | 2440 |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1 | | 4210 |
2 | | 3490 |
3 | | 2600 |
| ||
순위 | 국가 | 포인트 |
1 | | 4000 |
2 | | 2880 |
3 | | 2850 |
4.2. 남자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1 | | 4178 |
2 | | 2630 |
3 | | 2601 |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1 | | 4220 |
2 | | 3152 |
3 | | 2411 |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1 | | 2405 |
2 | | 2358 |
3 | | 2306 |
| ||
순위 | 국가 | 포인트 |
1 | | 3800 |
2 | | 2850 |
3 | | 2460 |
5. 종합 랭킹
5.1. 여자
| ||||
순위 | 선수 | 500m | 1000m | 1500m |
1 | | 1 | 1 | |
2 | | 1 | 9 | |
3 | | 3 | 2 |
5.2. 남자
| ||||
순위 | 선수 | 500m | 1000m | 1500m |
1 | | 50 | 18 | 1 |
2 | | 1 | 27 | 20 |
3 | | |
- 원래는 티보 포코네가 종합 랭킹 1위여야 했지만, 도핑 적발로 2010-11~2011-12 시즌 기록이 무효화되었다. 2011-12 시즌 기록은 정상적으로 모두 말소가 되었으나, ISU 측에서 공식 홈페이지 랭킹을 제대로 갱신하지 않아 2010-11 시즌 1000m 기록만 그대로 남아있어 위의 표와 같이 종합 3위에 랭크되어 있다. 포코네의 기록을 완전히 제외시키고 제대로 랭킹 포인트를 계산한다면 노진규가 3위에 랭크되는 것이 옳다. 도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티보 포코네 문서 참조.
6.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18 | 11 | 9 | 37 |
2 | | 13 | 11 | 15 | 39 |
3 | | 12 | 13 | 11 | 36 |
4 | | 11 | 11 | 8 | 30 |
5 | | 3 | 6 | 5 | 14 |
6 | | 1 | 1 | 3 | 5 |
7 | | 1 | 0 | 0 | 1 |
| 1 | 0 | 0 | 1 | |
9 | | 0 | 5 | 5 | 10 |
10 | | 0 | 2 | 3 | 5 |
11 | | 0 | 1 | 1 | 2 |
총합 | 60 | 60 | 60 |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