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20:53:56

효단문황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cd21, #f9d83e 20%, #f9d83e 80%, #fecd21); color: #00386a;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재위
천명제 숭덕제 순치제
효열무황후
울아나라씨
효단문황후
보르지기트씨
폐황후
보르지기트씨
순치제 강희제
효혜장황후
보르지기트씨
효성인황후
허서리씨
효소인황후
니오후루씨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효의인황후
퉁기야씨
효경헌황후
울아나라씨
효현순황후
푸차씨
건륭제 가경제
계황후
호이파나라씨
효숙예황후
시타라씨
효화예황후
니오후루씨
도광제 함풍제
효신성황후
퉁기야씨
효전성황후
니오후루씨
효정현황후
니오후루씨
동치제 광서제 선통제
효철의황후
알루터씨
효정경황후
예허나라씨
효각민황후
고불로씨
추존 재위
원황제 직황제 익황제
원황후 직황후 익황후
선황제 천명제
선황후 원비
퉁기야씨
계비
푸차씨
천명제 숭덕제 순치제
효자고황후
예허나라씨
효장문황후
보르지기트씨
효강장황후
퉁기야씨
순치제 강희제 옹정제
효헌황후
동고씨
효공인황후
우아씨
효성헌황후
니오후루씨
건륭제 도광제
효의순황후
위가씨
효목성황후
니오후루씨
효정성황후
보르지기트씨
함풍제 선통제
효덕현황후
살극달씨
효흠현황후
예허나라씨
효예민황후
이씨
청 황제 · 청 후궁 }}}}}}}}}
<colbgcolor=#fecd21><colcolor=#00386a> 청 숭덕제의 황후
孝端文皇后 | 효단문황후
청 순치제조 황태후
파일:효단문황후.jpg
시호 효단정경인의철순자희장민보천협성문황후
(孝端正敬仁懿哲純慈僖莊敏輔天協聖文皇后)
통칭 효단문황후 (孝端文皇后)
지위 대복진⇒중궁대복진⇒황후(중청녕궁국군복진)⇒황태후[1]
이름 보르지기트 저저 (博爾濟吉特 哲哲)
출생 1599년
사망 1649년 (향년 49~50세)
재위 청나라의 황후
1636년 ~ 1643년
청나라의 황태후
1643년 ~ 1649년
배우자 홍타이지 (皇太極)
자녀 황2녀, 황3녀, 황8녀
1. 개요2. 생애 및 가계3. 황태후가 되지 못한 황후4. 자녀들5. 미디어

[clearfix]

1. 개요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의 황후. 몽골 코르친부 출신으로 성은 보르지기트(몽골 제국의 황성 보르지긴)씨이다. 이름은 저저라고 알려져 있다. 저저는 만주어 거거와 마찬가지로 손윗누이를 부르는 호칭이자 높은 지위에 있는 여성에 대한 경칭이다.[2] 건륭제가 초창기 만주어 기록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조종의 이름을 사서에 함부로 기재하지 못하게 되어서 원래 이름이 기록되어 있던 부분은 경칭으로 다시 쓰여졌다는 설이 있다. 홍타이지도 같은 이유로 본명이 홍이냐, 홍타이지냐는 논란이 있다.

2. 생애 및 가계

코르친부 버일러 만고사와 코르친 대비(암바 마마)의 딸이다. 만력 42년(1614년) 홍타이지에게 복진으로 출가하였다. 홍타이지의 원비(元妃) 니오후루씨[3]는 이미 죽었고, 1623년 계비 우라나라씨가 누르하치의 명으로 폐출[4]되어 효단문황후가 가장 서열이 높은 복진이 되었다. 홍타이지와의 사이에서는 만 셋을 두었다.

1626년 홍타이지가 제위에 오르면서 대복진이 되고, 천총 6년(1632년) 중궁과 동서궁 복진을 책봉할 때 중궁대복진(두림바이 암바 푸진)으로 봉해진다.[5]

효단문황후의 어머니인 코르친 대비는 만고사의 손자인 소노무와 수계혼을 하여 두 딸과 치타트라는 아들을 두었다. 효단문황후의 이부여동생들은 각각 도르곤과 도도의 적복진이 되었고, 치타트는 효단문황후의 딸 다르저와 결혼했다. 도도는 코르친 대비의 딸 다르저와 자청해서 결혼했는데, 다르저는 친정이 고귀하고 대복진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이다. 비록 형제와 자매 간의 교차 결혼은 좋지 않다는 다이샨의 반대가 있었으나 홍타이지는 이 혼사를 승인했다. 하지만 홍타이지에게 골치가 아픈 문제가 있었으니, 다르저는 소문난 추녀였다.[6] 홍타이지는 도도가 혼인할 때 신부 얼굴을 보고 파토내는 불상사를 피하고자 코르친 대비에게 딸을 데리고 와서 도도와 은밀하게 만나게 하고, 만약 도도가 혼사를 취소하고 싶다고 하면 은밀히 파혼시키려고 했는데, 도도는 다르저의 얼굴을 보고도 혼사를 취소하려 하지 않았다.
효단문황후의 동생들이 도르곤과 도도의 적복진이 되면서 홍타이지가 죽기 전까지 도르곤과 도도는 홍타이지의 신뢰와 지지를 받으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숭덕 원년(1636년) 중궁국군복진(중궁황후)에 책봉되었다. 홍타이지에게 사랑받은 해란주(민혜공화원비)와[7] 순치제의 생모인 붐부타이(효장문황후)는 저저의 조카이며, 저저는 혈연상으로 순치제의 대고모에 해당한다. 꼬인 족보.

3. 황태후가 되지 못한 황후

而取考癸未年謄錄, 則進賀方物, 只封於御前·中宮兩處。所謂御前, 則乃新皇帝, 所謂中宮, 則乃前皇帝之中宮也。前皇帝之中宮, 新皇帝登極之後, 當爲皇太后, 而其時未有尊崇之號, 故仍以中宮稱之。
계미년(순치 즉위년) 등록을 취고해보니, 어전과 중궁에게만 방물을 보냈습니다. 소위 어전은 새 황제(순치제)요, 중궁은 전황제의 중궁을 말합니다. 전황제의 중궁은 새황제 등극 후 응당 황태후가 되나, 그때까지 존숭의 호가 없던 고로 중궁으로 칭해졌습니다. -승정원일기 현종 2년 12일 기사

순치제 푸린이 즉위한 후 원칙적으로는 적모로서 모후황태후가 되어야 하나 이를 뚜렷하게 증명하는 기록이 없다. 모후황태후든 성모황태후든, 정식으로 황태후가 됐다면 존호가 있어야 하는데 효단문황후는 황태후로서 존호가 없다. 청조실록에는 효단문황후를 황태후라고 기술하고 당대 조선의 승정원일기에도 효단문황후를 황태후로 기재하고 있으니 황태후 대우를 받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8]

이때는 도르곤이 섭정왕으로서 군림했던 상황이다. 비록 도르곤과 정백기가 황실 최측근 세력(양황기와 정황기)를 명백하게 압도하지 못하는 형국이었으나 [9] 엄연히 우위에 있었다. 그리고 청초기엔 아직 후비제도가 완비되지 못했다. 그탓에 효단문황후가 홍타이지의 황후이자 순치제의 적모인데도 황태후의 존호가 없는 것이다. 살아서 황태후에 책립되지 못했기 때문에 후대 황제들도 효단문황후를 청태종의 황후로 존숭했지만 황태후의 존호를 바치지 못했다.

1649년(순치 6년) 자금성에서 서거하였다.

4. 자녀들

  • 황2녀: 고륜온장공주
  • 황3녀: 고륜정단공주
  • 황8녀: 고륜단정공주(固倫端貞公主) 1634년 ~ 1692년
    박이제길특 파아사호랑(博爾濟吉特 巴雅思祜朗, ? - 1673)과 혼인하였다.

5. 미디어

  • 《청나라 13대 황조(满清十三皇朝)》 배우: 멍리핑(孟丽萍)

    • 파일:13대철철.png
  • 《일대황후대옥아(一代皇后大玉儿)》 배우: 우쉬에펀(吴雪芬)
    파일:일대철철.jpg
  • 《효장비사(孝庄秘史))》 배우: 우첸첸(邬倩倩)
    파일:효장철철.png
  • 산하련(美人无泪)》 배우: 채소분(蔡少芬)[10]
    파일:산하련철철.png
    해란주와 대옥아의 고모이자 홍타이지의 정궁황후. 홍타이지에게는 수 많은 비빈이 있으나 신분이 가장 높아 대복진이 된다. 뛰어난 계략으로 홍타이지의 신임을 얻고, 다른 비빈들의 아이들을 살해하면서까지 홍타이지의 사랑을 독차지하려 노력하지만 끝내 그의 사랑을 얻지는 못한다. 대옥아을 신뢰하면서도 이용하려고 하고, 해란주는 애초에 멸시의 대상이었다. 황후자리에만 집착하며 훗날 해란주가 황후가 될 수 있지 모른다는 생각에 그동안의 모든 비밀들을 사고로 인해 기억상실인 해란주에게 알리며 그녀가 스스로 자살하게 만드는 원흉이 되어버렸다.
  • 《대옥아전기(大玉儿传奇)》 배우: 장린징(蒋林静)
    파일:대옥아철철.jpg
    홍타이지와 혼인하여 현모양처의 표본을 보여주며 그가 황제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옥아를 가장 많이 아끼며 늘 무슨 일이 생기면 늘 든든한 아군이 되어준다. 반면, 해란주에게는 그나마 다른 작품들과 다리 따뜻하게 대해주는 편으로 나오지만 어찌되었건 대옥아와 차별을 두긴 했다. 홍타이지가 대옥아에게 상처를 입을 상황에서 자신은 황후로 봉해지고, 해란주에게 동궁을 주려고하자 "그동안 대옥아가 폐하께 애를 써왔다는 것을 아시잖아요."하며 해란주보다는 대옥아가 높은 자리에 앉아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옥아가 누명이 씌여 냉궁에 보내졌을 때도 고모로써 해줄 수 있는 걸을 다 해주었다. 하지만 해란주가 늘 대옥아를 풀어달라고 사정했다는 사실을 모르고 오해를 하며 대옥아의 엄마가 대옥아를 풀어달라고 청해달라고 말하자 철철은 "제 입김보다 해란주의 입김이 강해서.. 저는 소용이 없다."라고 말했다. 홍타이지가 대옥아에게 적대적인 상황에서 대옥아를 두둔하기도 하고, 냉궁에 있는 대옥아의 아이를 대신 맡아 키우는데 아이가 계속 운다고 홍타이지가 울음을 그치게 할 수 없냐고 하자 "그렇게 좋으면 관저궁에 가세요. 그 아이의 소변도 좋아하실테니까요."하며 대옥아의 사정을 봐지않아 대들기도 했다. 홍타이지는 철철이 너무 대옥아편을 들어주자 황후를 폐위시키고 그 자리에 해란주를 앉히려고 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게 된다. 해란주와 그녀의 아이가 사망하게 되자 홍타이지와의 관계도 어긋나버리긴 하나 그래도 조강지처인 그녀를 그대로 두었다. 대옥아와 도르곤 관계를 알며 매번 위기때마다 도와주었고, 홍타이지가 사망 후 둘이 재혼하게 해줄 생각이었다. 순치제가 즉위하고나서 그와 대옥아 모자관계의 갈등을 중재하기도 하며 끝까지 대옥아의 든든한 아군이 되다 세상을 떠난다.
  • 독보천하(独步天下)》배우: 왕위안후이(王渊慧)
    파일:독보철철.jpg
    코르친부 공주로 등장하며 울아나라 갈대와 같이 홍타이지와 혼인을 하였다. 먼저 회임을 한 갈대가 대복이 되면서 측복진으로 밀려나지만 갈대가 사망하면서 대복진으로 올라가게 된다. 측복진이었을 때는 붐부타이와 함께 지내며 속내를 꽁꽁 숨겨지내왔지만 대복진이 되면서 점점 숨겨왔던 속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부유란이 서복진으로 들어왔을 때도 붐부타이처럼 질투하거나 하지 않고 측복진인 자신의 신분에 맞게 그냥 지나갔다. 여기서도 붐부타이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도 같이 벌을 받는다거나 용서를 받는 쪽을 선택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의 고향인 코르친과의 입지를 누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다. 부유란이 죽고 아부로 환생한 동가가 해란주가 되었을 때도 붐부타이가 지 언니가 아니라고 했을 때도 "한께서 그러다면 그러신거야."라고 말하며 부유란이 죽고 궁에서 지내면서 갖은 일들을 겪은 후였는지 그저 코르친만 생각하기로 마음을 먹는다. 유력하게 해란주가 황후가 될 수 있었지만 자신에게 양보하는 것을 보며 의아해하지만 속으로는 질투를 느끼긴 한듯 책봉식 때 홍타이지가 해란주만을 꿇어 앉히지 않고, 법도에 대한 예법에 벗어나게 하는 것을 보면 그녀의 심정은 대략 짐작할 수 있다.
  • 《소말아전기(苏茉儿传奇)》 배우: 마단이(岳丽娜)
    파일:소말철철.png
    홍타이지와 혼인한 후에 아들을 낳은 기미가 없자 울면서 대옥아를 자신의 남편에게 시집을 보냈다. 코르친과 자신의 지위를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서슴치 않고 하는 여인이다. 대옥아를 측복진으로 들인 후 그녀를 장밀로 이용할 생각이었다. 겉으로는 온화한척 하지만 속으로는 검은 야망이 불타오르고 있었다. 대옥아도 자신과 같이 아들을 낳지 못하자 이번에 궁에 놀러온 해란주를 이용할 생각을 한다. 대옥아와 소말아의 해란주 궁에 내보내기 계획이 실패하게 되고, 우연히 홍타이지가 해란주를 마음에 두고 있으니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긴 했으나 그뒤로 총애는 늘 해란주의 차지가 되었다. 모든 사실이 밝혀지고 홍타이지에게 용서를 빌며 자숙을 하겠다고 했으나 홍타이지는 "황후는 처음부터 그대의 자리."라고 하면서 불경을 외우며 지내는 것으로 끝난다. 자신의 욕심 때문에 여러사람이 희생시킨 장본인지만 역사대로 황후가 된 인물이니 참으로 아이러니한 사람이 되어버렸다.


[1] 황태후 존호는 없다. 이유는 아래에 후술.[2] 누르하치의 복진 중 아민저저, 홍타이지의 어머니 몽고저저가 그 예다.[3] 어이두의 딸이다.[4] 우라나라씨는 1623년에 시아버지 누르하치와 시동생인 아지거를 보고도 가마에서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누르하치의 노여움을 사 쫓겨났다.[5] 하지만 이후에도 대복진이라고 불린다.[6] 사서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홍타이지가 대놓고 못생겼고 얼굴에 살이 쪘다고 말한다.[7] 홍타이지가 해란주한테 너무 빠져서, 사실상 본인이 데려온 조카임에도 견제했다는 설이 있다.[8] 그러나 순치제의 생모인 효장문황후는 그마저도 없고 도르곤 사후부터 성모황태후로서 존호를 받았다.[9] 세간의 인식과 달리 도르곤은 절대권력을 휘두르지 못했다. 도르곤과 대립했던 황기 대신들 오보이, 색니 등은 도르곤 섭정 하에서도 무사했다. 도르곤의 정백기가 확고한 권력을 다졌다면 도르곤이 죽은 직후 한순간에 무너질 수가 없다.[10] 옹정황제의 여인의 황후 역으로 알려진 배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