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B7F 10%, #FFFFFF 10%, #FFFFFF 15%, #CE1126 15%, #CE1126 85%, #FFFFFF 85%, #FFFFFF 90%, #002B7F 90%, #002B7F)"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 국가 · 갈색목세발가락나무늘보 ·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 · 흰꼬리사슴 · 서인도제도매너티 |
| 역사 | 역사 전반 · 마야 문명 ·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 |
| 정치 | 정치 전반 · 입법 회의의 원내 구성 · 민족해방당 · 사회기독통합당 · 시민행동당 · 코스타리카 대통령 · TIAR | |
| 외교 | 외교 전반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
| 교통 | 후안 산타마리아 국제공항 | |
| 경제 | 경제 전반 · 코스타리카 콜론 | |
| 국방 | 코스타리카군 | |
| 문화 | 문화 전반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스페인어 | |
| 지리 | 산후안강 |
|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 Hoffmann's two toed sloth | |||
| | |||
| 학명 | Choloepus hoffmanni (Peters, 1858) |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 강 | 포유강(Mammalia) | ||
| 목 | 유모목(Pilosa) | ||
| 상과 | 밀로돈상과(Mylodontoidea) | ||
| 과 | 두발가락나무늘보과(Choloepodidae) | ||
| 속 | 두발가락나무늘보속(Choloepus) | ||
| 종 |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C. hoffmanni) | ||
| 멸종위기등급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 |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 | |
| 영어 | Hoffmann's two-toed sloth | ||
| 중국어 | 霍氏樹懶 | ||
| 일본어 | ホフマンナマケモノ | ||
| |
1. 개요
유모목 두발가락나무늘보과에 속하는 나무늘보의 한 종류. 코스타리카의 국수 중 하나다.2. 특징
남북으로는 니카라과에서 페루까지, 동서로는 페루에서 브라질까지 분포하며 낙엽활엽수림, 상록활엽수림, 반낙엽활엽수림에 서식한다.야행성이며 암컷은 무리지어 살지만, 수컷은 대개 혼자서 산다. 주로 나뭇잎과 과일, 나무 수액을 먹지만 가끔은 새알과 도마뱀, 곤충을 먹기도 한다. 앞니가 없어 보통 입술로 나뭇잎을 뜯어 에나멜질이 없는 송곳 같은 이빨로 씹어 먹는다. 이빨은 사는 동안 닳아 없어질 때마다 새로 자란다. 주식으로 삼는 나뭇잎으로는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고, 소화도 잘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 느리게 움직이는 특수화된 위가 있으며, 이 위 속에 섬유질의 소화를 돕는 박테리아가 산다.
몸길이 58~70cm, 몸무게 4~8kg이다. 암수의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다. 주둥이는 뭉툭하고 털이 없다. 귀는 둥글고 두껍지만 털 속에 묻혀 있어 눈에 띄지 않는다. 털빛은 금색이 섞인 황갈색에서 밝은 갈색이다. 머리와 등 쪽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색이 짙다. 린네두발가락나무늘보보다 어깨와 팔뚝에 검은 털이 상대적으로 적다. 털은 최대 15cm 정도까지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