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0:57:15

코스타리카/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코스타리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B7F 10%, #FFFFFF 10%, #FFFFFF 15%, #CE1126 15%, #CE1126 85%, #FFFFFF 85%, #FFFFFF 90%, #002B7F 90%, #002B7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마야 문명 ·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입법 회의의 원내 구성 · 민족해방당 · 사회기독통합당 · 시민행동당 · 코스타리카 대통령 · TIAR
외교 외교 전반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외교 후안 산타마리아 국제공항
경제 경제 전반 · 코스타리카 콜론
국방 코스타리카군
문화 문화 전반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스페인어
지리 산후안강
}}}}}}}}} ||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경제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경제|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니카라과/경제|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엘살바도르/경제|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온두라스/경제|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벨리즈/경제|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코스타리카/경제|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나마/경제|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카리브해
[[바하마/경제|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도미니카 공화국/경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경제|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자메이카/경제|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쿠바/경제|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그레나다/경제|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도미니카 연방/경제|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바베이도스/경제|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앤티가 바부다/경제|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루시아/경제|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경제|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경제|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트리니다드 토바고/경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코스타리카의 경제 정보
인구 521만 2,173명 2023년[1]
경제 규모(명목 GDP) 865억 달러 2023년[2]
경제 규모(PPP) 1,456.9억 달러 2023년[3]
1인당 명목 GDP 16,595.4달러 2023년[4]
1인당 PPP 27,952.5달러 2023년[5]
경제성장률 5.1% 2023년[6]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 0.5% 2023년[7]
고용률 53% 2023년[8]
실업률 8.3% 2023년[9]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 71.1% 2022년[10]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Ba3 2024년 11월[11]
1. 개요2. 산업3. 무역 구조
3.1. 무역수지3.2. 서비스 수지

1. 개요

중앙아메리카의 국가 코스타리카는 2023년 1인당 명목 GDP 16,594.5달러, PPP 27,952.5달러로 중앙아메리카에 파나마와 함께 최상위권의 국민소득을 자랑하는 나라다. 이것은 코스타리카가 역내 다른 국가와 달리 정치와 사회가 안정되고 군대를 보유하지 않아 예산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2. 산업

과거엔 농업이 주산업이었지만 오늘날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주산업이다. 2023년 기준으로 농업, 임업, 축산업, 어업은 GDP의 3.8%, 제조업, 건설, 광업 및 전기·가스·수도는 20.5%(제조업 13.6%), 서비스업은 68%였다.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유일하게 산업 다각화에 성공한 나라이지만, 농산물과 그 관련품이 수출의 1/3을 기여하는 등 농업에 의존하는 바는 여전히 크다. 경제력이 견고하여 2020년 닥친 코로나에서도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전체를 통틀어 과테말라, 니카라과와 함께 가장 작은 타격을 입었다.

1990년대 말부터 반도체와 IT 같은 하이테크 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 "라틴아메리카의 실리콘밸리"를 지향하고 있다. 코스타리카 정부는 1990년 기업에 투자 및 세금 인센티브를 주는 자유무역지역(FTZ)을 설립하여 미국의 델 테크놀로지스, HP Inc., IBM, 독일의 보쉬DHL을 비롯한 해외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냈다. 2015년 FTZ는 82,000개의 직접고용과 43,000개의 간접고용을 창출했다. 비교적 높은 구매력과 고령화로 인한 수요 증가 전망에도 불구하고 인구 규모가 작아서 현지의 내수시장이 협소하므로 현지 진출 기업들은 대부분 내수 시장 진출보다는 해외 수출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코스타리카의 주요 수출품은 의료기기, 기계류 부품, 화학품, 식료품, 바나나, 파인애플, 커피이다. 그 중에서도 의료기기는 2023년 수출액의 3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며 주력 산업으로 발전했다. 경영난을 이유로 한 2014년 인텔 철수 이전에는 반도체도 주요 수출품이었다. 인텔 철수 후 코스타리카는 미중 간의 무역전쟁에 따른 미국 측의 오프쇼어링(offshoring)을 적극적으로 활용, 미국의 지원 하에 기업을 유치하여 국제사회의 반도체 산업 가치사슬에 편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인텔도 2021년 코스타리카에 재진출, 2023년 8월 향후 12억 달러 투자계획을 밝혔다.

중앙아메리카에서 비교적 부유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교통 인프라는 낙후된 편이다. 도로가 별로 없고 있는 도로도 비포장도로이거나 보수하지 않아 상태가 안 좋다. 수도 산호세와 남부 평야지대를 잇는 구간은 그래도 상태가 좋다.

3. 무역 구조

3.1. 무역수지

코스타리카의 2013~2022년 상품 수출입 통계(단위: 천 달러)[12]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수출 11,472,064 11,242,661 9,578,338 9,907,874 11,296,640
수입 18,124,469 17,184,913 15,504,423 15,321,512 16,352,350
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출 11,251,781 11,451,993 11,622,755 14,345,396 15,319,695
수입 16,563,019 16,106,274 14,456,129 18,428,114 21,140,330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2년 코스타리카는 153.20억 달러의 상품(goods)을 수출하고 211.40억 달러의 상품을 수입하여 58.21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같은 해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43.76%), 네덜란드(7.72%), 과테말라(5.32%), 벨기에(5.17%), 니카라과(3.87%)이고,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국(38.78%), 중국(15.07%), 멕시코(6.24%), 과테말라(2.70%), 브라질(2.59%)이다. 같은 해 주요 무역흑자국은 네덜란드(10.58억 달러), 벨기에(6.75억 달러), 니카라과(3.77억 달러), 온두라스(3.58억 달러), 파나마(3.53억 달러)이고, 주요 무역적자국은 중국(-28.42억 달러), 미국(-14.95억 달러), 멕시코(-9.70억 달러), 브라질(-4.88억 달러), 독일(-3.69억 달러)이다.#

무역수지는 매년 적자를 보이고 있다. 의료용 바늘, 인공인체, 각종 진단기기, 파인애플, 바나나 등 의료기기 및 농산물 위주로 수출하고, 정제유, 의료품, 송신기기, 플라스틱, 옥수수 등 공산품, 기계류 및 수송장비, 화학품, 연료, 식품 위주로 수입한다.#

3.2. 서비스 수지

코스타리카의 2013~2022년 서비스 수출입 통계(단위: 천 달러)[13]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수출 6,949,171 7,106,118 7,693,597 8,537,127 8,597,672
수입 2,385,564 2,566,784 3,084,948 3,427,284 3,837,297
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출 9,750,808 10,906,242 7,928,718 9,163,704 11,790,379
수입 4,211,935 4,614,023 3,433,521 4,269,172 5,499,013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2년 코스타리카는 117.90억 달러의 서비스(services)를 수출하고 54.99억 달러의 서비스를 수입하여 62.91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서비스 수지는 무역수지와 달리 매년 흑자를 보이고 있다.[14][15] 같은 해 민간 서비스 수출(Commercial service exports)[16]이 서비스 수출의 99.65%를 기여했다. 민간 서비스 수출은 컴퓨터, 통신, 기타 서비스업(Computer, communications and other services)이 68.23%를, 여행 관련 서비스업(Travel services)이 26.61%를, 교통 관련 서비스업(Transport services)이 4.25%를, 보험 및 금융 서비스업(Insurance and financial services)이 0.82%를 기여했다.


[1]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2]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3]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PP.CD?locations=CR[4]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5]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PP.CD?locations=CR[6]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7]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8]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L.EMP.TOTL.SP.ZS?locations=CR[9]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10] https://data.worldbank.org/country/costa-rica[11] https://tradingeconomics.com/country-list/rating[12] 출처: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 수출은 FOB, 수입은 CIF 기준이다. 흑자를 기록한 해는 검은 글씨, 적자를 기록한 해는 붉은 글씨로 하였다. 최대 수출과 최대 수입은 각각 볼드체로 하였다.[13] 출처: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 흑자를 기록한 해는 검은 글씨, 적자를 기록한 해는 붉은 글씨로 하였다. 최대 수출과 최대 수입은 각각 볼드체로 하였다. 원문은 달러 단위로 제시했으나 여기서는 표의 가독성을 위해 백의 자리에서 반올림했다.[14]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를 참고할 때, 같은 항목의 값도 At a Glance 자료와 연도별 Trade Indicators 자료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것은 전자는 MRV(Most Recent Value), 즉 가장 최근에 갱신된 자료를 참고하지만, 후자는 각 연도에 작성된 국가별 보고서(Country Profile, CP)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항목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무역수지는 At a Glance를 참고했으나 서비스 수지는 연도별 Trade Indicators를 참고했다.[15] 최근 세계화와 서비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무역수지에 서비스 수지를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여기서는 무역수지와 서비스 수지를 구분하였다.[16] 총 서비스 수출에서 정부 서비스 수출을 제외한 값.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