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5ea152><colcolor=#fff> 하천 지형 ||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샘(옹달샘) · 폭포 · 계곡(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
해안 지형 곶 · 만 · 사빈 · 석호 · 갯벌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해양 지형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해산(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 해저 염수호 건조 지형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빙하 지형 혼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카르스트 지형 석회동굴(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화산 지형 분화구 ·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구조 지형 분지{침식분지(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기타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운석공
1. 개요
해저 염수호(Brine Pool)는 해저에 형성된 염분 농도가 매우 높은 물웅덩이이다. 주변 바닷물보다 염도가 훨씬 높고 밀도가 커서 마치 바닷속에 있는 호수처럼 보인다.2. 특징
해저 염수호는 높은 염도와 밀도를 가진다. 주변 바닷물보다 염분이 3배에서 8배 이상 높아 밀도가 매우 커서 일반 바닷물과 섞이지 않고 독립된 층을 이룬다. 이 때문에 일반 해양 생물이 들어가면 삼투압으로 세포가 파괴되어 죽을 수 있다. 또한, 해저 염수호는 산소가 거의 없는 무산소 환경인데, 이는 높은 염분으로 인해 산소 용해도가 낮고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염수호에는 황화수소나 메탄이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일부 생명체들에게 중요한 에너지원이 된다.3. 형성
해저 염수호는 주로 세 가지 메커니즘으로 형성된다. 첫번째로는, 해저 염분 퇴적물이 용해되면서 만들어진다. 과거 육지였던 곳의 소금층이 바닷물에 잠겨 녹아내리면서 움푹 파인 해저에 고여 염수호가 되는 경우다. 멕시코만과 지중해 동부의 염수호가 대표적인 예다. 두번째는, 열수 활동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해저 열수 분출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물질이 풍부한 뜨거운 유체가 해저의 구덩이에 고이면서 염수호가 만들어지는데, 홍해의 일부 염수호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 균열을 통해서도 생성된다. 지각판의 움직임으로 생긴 균열을 통해 지구 내부의 소금 퇴적물이나 다른 광물질이 해저로 흘러나와 염수호를 형성하기도 한다.4. 생태
해저 염수호는 높은 염도와 산소 부족으로 인해 일반적인 생명체에게는 치명적인 환경이지만, 몇몇 화학 합성 생물 서식하며 독자적인 생태계를 이룬다. 이들은 염수호에 풍부한 황화수소나 메탄을 에너지원으로 삼는 박테리아와 고세균으로, 먹이사슬의 가장 낮은 단계를 구성하며 햇빛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 또한, 염수호 주변이나 가장자리에는 이러한 화학 합성 생물을 먹이로 하는 관벌레, 조개류, 새우 등의 극호성 생물들이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