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0 04:36:24

함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ff671f> 문화유산
1983년

아잔타 석굴
अजंता गुफाएँ
1983년

엘로라 석굴
एलोरा गुफाएं
1983년

아그라 요새
आगरा का किला
1983년

타지마할
ताज महल
1984년

코나라크의 태양신 사원
कोणार्क सूर्य मंदिर
1984년

마히발리푸람 기념물군
महाबलिपुरम के स्मारक समुह
1986년

고아의 성당과 수도원
गोवा के गिरजाघर एवं कॉन्वेंट
1986년

카주라호 기념물군
खजुराहो स्मारक समूह
1986년

함피 기념물군
हम्पी
1986년

파테푸르 시크리
फतेहपुर सीकरी
1987년

파타다칼 기념물군
पत्तदकल
1987년

엘레판타 동굴
एलिफेंटा की गुफाएँ
1987년

대 촐라 사원
महान चोल मंदिर
1989년

산치의 불교 기념물군
साँची के बौद्ध स्तूप
1993년

델리의 후마윤 묘지
हुमायूँ का मकबरा
1993년

델리의 쿠트브 미나르 유적지
कुतुब मीनार एवं अन्य स्मारक
1999년

인도 산악 철도
भारतीय पर्वतीय रेल, दार्जिलिंग
2002년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 단지
बोधगया का महाबोधि विहार
2003년

빔베트카의 바위 은신처
भीमबेटका शैलाश्रय
2003년

차트라파티 시바지 역
(옛 빅토리아 역)
छत्रपति शिवाजी टर्मिनस
2003년

참피네르 - 파바가드 고고 공원
चंपानेर-पावागढ़ पुरातत्व उद्यान
2007년

붉은 요새 복합단지
दिल्ली का लाल किला
2010년

자이푸르의 잔타르 만타르
जंतर मंतर, जयपुर
2013년

라자스탄 구릉 요새
(암베르 궁전, 자이살메르 요새, 치토르 요새, 쿰발가르 요새, 람탐보르 요새, 가그론 요새)
राजस्थान के पहाड़ी दुर्ग
2014년

구자라트주 파탄의 라니키바브
(왕비의 계단 우물)
रानी की वाव
2016년

비하르 날란다의 날란다 대승원
(날란다 대학교)
नालन्दा महाविहार (नालंदा विश्वविद्यालय)
2016년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작품
: 모더니즘 운동에 관한 탁월한 기여

ली कोर्बुज़िए के वास्तुशिल्प
2017년

아마다바드 역사 도시
अहमदाबाद का ऐतिहासिक शहर
2018년

뭄바이의 빅토리아와 아르데코 양식의 건축군
मुंबई का विक्टोरियन और आर्ट डेको एनसेंबल
2019년

라자스탄의 자이푸르
राजस्थान जयपुर
2021년

라마파 사원
रामप्पा मंदिर
2021년

돌라비라
: 하라판 도시

धोलावीरा
2023년

산티니케탄
शान्तिनिकेतन
2023년

호이살라 왕조의 종교 건축군
होयसल मंदिर समूह
2025년

인도의 마라타 군사 경관
Maratha Military Landscapes of India
자연유산
1985년

카지랑가 국립공원
काज़ीरंगा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5년

마나스 야생동물 보호 구역
मानस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5년

케올라디오 국립공원
केवलादेव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7년

순다르반스 국립공원
सुंदरवन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1988년

난다 데비 국립공원과 꽃의 계곡 국립공원
नन्दा देवी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एवं फूलों की घाटी
2012년

인도의 서고츠산맥
पश्चिमी घाट
2014년

그레이트 히말라야 국립공원 보존 지역
ग्रेट हिमालयन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복합유산
2016년

칸첸중가 국립공원
कंचनजंगा राष्ट्रीय उद्यान
}}} }}}}}} ||

파일:함피.jpg
유적의 최대 건축물인 비루팍샤 사원 일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한국어 함피 기념물군
영어 Group of Monuments at Hampi
프랑스어 Ensemble monumental de Hampi
국가·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르나타카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241
등재연도 1986년
등재기준 (ⅰ)[1], (ⅲ)[2], (iv)[3] }}}

파일:함피 인도.jpg
현행 50 인도 루피 화폐의 도안인 석조 코끼리 수레

1. 개요2. 역사
2.1.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수도2.2. 폐허와 발굴
3. 관광

1. 개요

힌디어: हम्पी / विजयनगर
칸나다어: ಹಂಪೆ / ವಿಜಯನಗರ
우르두어: وجے نگر / ہیمپی
영어: Hampi / Vijayanagara

인도 중남부 카르나타카 주에 위치한 유적. 비자푸르에서 남동쪽으로 170km 떨어진 크리슈나강의 지류 퉁가바드라 강 남안의 바위 언덕에 위치한다. 지명은 퉁가바드라 강의 옛 이름이자 힌두교의 여신 파르바티의 다른 이름인 팜파 (함파)에서 유래되었고, 칸나다어로 함페로 불리게 된 것이 영어를 거쳐 함피가 되었다. 도시 자체는 최소한 10세기부터는 존재했고, 호이살라 왕조 시기부터 중시되었다. 그러다 14-16세기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수도인 비자야나가라가 되어 번영했고, 1500년 무렵 명나라북경에 이은 세계에서 2번째로 큰 도시였다. 1565년 데칸 술탄국 연합군이 탈리코타 전투 후 도시를 함락하고 약탈하며 폐허가 되었고, 19세기 들어 재발견 되어 1986년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중세 힌두교 제국의 마지막 수도로써 인도 역사에 있어 큰 상징성을 지닌다.

2. 역사

파일:함피 1.jpg
7세기에 세워지기 시작해 호이살라 ~ 비자야나가라 시기에 현재와 같이 증축된 비루팍샤 사원
파일:헤마쿠타.jpg
캄필리 왕국 시절 헤마쿠타 언덕에 세워진 시바 신전

힌두 신화에 따르면 파르바티는 요가와 명상에 전념하던 시바의 마음을 얻기 위해 함피의 바위 언덕에서 요가와 명상을 행했다 한다. 이와 함께 라마야나에서 라마, 락슈마나, 하누만, 수그리바가 원숭이 군대와 함께 납치된 시타를 찾기 위해 만나는 곳으로 여겨지며 고대부터 팜팍셰트라로 불리며 힌두교 성지였고 2세기 무렵의 점토 인장이 발견되었다. 중세 초엽 찰루키아 왕조 시기에 일대는 팜파루라로 불렸고, 10-12세기 서찰루키아 왕조 시기에는 비루팍샤 신전이 세워져 종교 및 교육적으로 중시되었다. 서찰루키아 군주들은 신전에 넓은 토지를 하사했고, 함파 데비 여신에 대한 희사도 이루어졌다. 12-14세기 호이살라 왕조의 군주들은 두르가, 함파 데비, 시바에게 헌정하는 신전들을 세웠고 할레비두에 이은 제2의 수도로 여겨졌다. 호이살라 군주 중 한 명의 왕호는 함페야-오데야였는데, '함피의 주인'이란 뜻이다.

호이살라 시기의 지명은 함피 혹은 비루팍샤 신전을 기리는 비자야 비루팍샤푸라였다. 1314년 델리 술탄국알라 웃 딘 할지가 호이살라 왕조를 공격해 수도를 함락하는 등 큰 타격을 주었다. 이로써 약화된 호이살라 왕조가 약화되자 그 장군이던 싱게야 나야카가 왕국의 북부에서 자립해 캄필리 왕국을 세우고, 함피의 서북쪽 20km 지점인 캄마타 두르가를 수도로 삼았다. 싱게야 나야카의 아들 캄필리데바는 함피에는 신전을 더 건설했다. 다만 1327년 델리 술탄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의 원정 당시 캄필리데바는 아들 쿠마라 라마와 함께 전사했고, 왕실 여성들이 자우하르 (대규모 자살)를 행하며 캄필리 왕국은 멸망했다. 일대는 델리 술탄국 (투글루크 왕조)의 영토가 되었으나 캄필리데바의 장녀 마라베 나야키티와 귀족 바바나 상가마 사이에서 태어난 하리하라와 부카 형제는 포로가 되었다.

2.1.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수도

파일:함피 목욕탕.jpg
남쪽 외곽에 무굴 양식으로 세워진 왕비의 목욕탕
파일:파타비라마.jpg
1549년에 세워진 파타비라마 사원

델리로 끌려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던 하리하라와 부카 형제는 술탄의 신임을 얻어 호이살라 왕조 방면 사령관이 되었다. 그러던 1335년 델리 술탄국의 남인도 사령관이던 아산 칸이 자립하여 마두라이 술탄국을 세우자 형제는 진압을 맡아 출정했으나 무슬림 병사들이 개종자라며 제대로 따르지 않자, 힌두 성직자 비다야란야[4]를 찾아가 다시 힌두교로 개종한 후 함피를 '승리의 도시'란 뜻인 비자야나가라로 명명한 후 수도로 삼아 자립했다. 이렇게 세워진 비자야나가라 왕조는 델리 술탄국이 이미 1342년 벵골 술탄국이 벵골, 1347년 바흐마니 술탄국이 중남 인도를 기반으로 자립하는 등 쇠퇴해 있었기에 남인도에서 정복에 치중할 수 있었다. 하리하나는 마두라이 술탄국의 공격으로 약화된 호이살라 왕조를 1343년에 흡수하며 남인도 힌두교 세력을 통합했다.

제국의 수도인 비자야나가라는 이슬람 세력의 남진에 시달리던 힌두교도들이 모여들며 7겹의 시가지를 갖춘 대도시로 성장했다. 다만 비자야나가라는 제국의 북쪽 끝에 있었고, 데칸 고원의 패권을 장악한 바흐마니 술탄국과 접경하게 되어 그 위협에 시달렸다. 1366년 바흐마니 술탄국의 무함마드 샤 1세가 부카를 격파한 후 비자야나가라를 포위했고, 브라흐만 1만을 포함한 40만의 힌두교도들을 학살했다. 항전하던 부카는 결국 골콘다 등 텔랑가나 일대를 포기하는 강화를 맺었다. 이로써 포위는 풀렸으나 초토화된 카르나타카 구역은 반세기가 지나서야 인구가 회복되었다. 1377년에는 무함마드 샤 1세의 아들 무자히드 샤가 비자야나가라를 포위해 외성을 돌파했으나 부카가 원군과 함께 반격해 수 차례에 걸친 격렬한 전투 끝에 바흐마니 군대를 격퇴할 수 있었다.
파일:함피 유적.jpg 파일:함피 모스크.jpg
함피 유적 지도 아흐마드 칸 모스크
파일:코끼리 사육장.jpg
11개의 문이 있는 코끼리 사육장

1378년 무자히드 샤가 암살된 후 집권한 다우드 샤도 연이어 암살당하는 등 바흐마니 술탄국이 혼란에 휩싸이자 부카는 북진하여 국경을 크리슈나 강까지 끌어올리며 비자야나가라의 안보를 확보했고, 동남쪽으로는 마두라이 술탄국을 멸망시켜 남인도의 패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5] 15세기 말엽에는 숙적이던 바흐마니 술탄국이 분열되어 데칸 술탄국들로 분열되며 비자야나가라는 더욱 안정을 누리게 되었다. 퉁가바드라 강과 접한 도시의 중심부는 신전과 시장들로 구성되었고, 오늘날 기준 동북쪽의 강가바티에서 서남쪽의 호스펫까지 30km에 걸쳐 시가지가 펼쳐져 있었다. 비자야나가라 군주들은 도로와 관개 수로를 정비하고 신전과 학교를 세우는 등 건설 활동을 이어갔다. 따라서 1500년 무렵 비자야나가라는 델리를 상회하는 남아시아 최대의 도시가 되었고 포르투갈 등 유럽 상인들도 왕래했다.

종교적 관용 하에 도시에는 힌두교 외에 자이나교, 또한 무슬림 상인들을 위한 모스크도 세워졌다.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6세기 초엽 크리슈나 데바라야의 치세에 최전성기를 맞아 1520년 데칸의 비자푸라 술탄국을 격파하고 비자푸르 등 크리슈나 강 북안까지 진출한다. 하지만 1524년 그가 사망하고 어린 왕이 즉위하며 계승 분쟁이 일었고, 이는 1542년 들어 격화되었다. 이러한 혼란속에서 1565년 비자푸르 술탄국을 중심으로 데칸 술탄국들이 서로 연합하여 탈리코타 전투에서 화약 무기를 앞세워 크리슈나 데바라야의 사위이자 제국의 섭정인 라마 라야를 격파했다. 용감히 싸우던 라마 라야는 사로잡혀 처형되었고, 무방비 상태가 된 비자야나가라는 무려 6개월에 걸친 약탈과 파괴를 당하며 몰락했다. 이후로도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남쪽의 페누콘다로 천도하여 이어졌으나, 점차 쇠퇴하다가 한 세기 후 멸망한다.[6]

2.2. 폐허와 발굴

파일:시장 유적.jpg
일대의 바위산과 시장 유적
파일:로투스 마할.jpg
로투스 마할 유적
파일:마하나바미 바오리.jpg
마하나바미 바오리 (계단 우물)

1565년 이후 비자야나가라는 재건되지 못했고, 그대로 폐허로 남아 함피라 불렸다. 18세기에는 하이데라바드 왕국마이소르 왕국 간의 쟁탈전이 벌어졌고, 세간의 인식에서 잊혀져 가던 함피는 1799년 카르나타카가 영국령이 된 후 1800년 스코트인 콜린 맥켄지 대령이 조사하며 서구권에 알려졌다. 당시 유적지에는 야생 동물만이 살고 있었고, 맥켄지는 하이데르 알리마라타 제국이 유적을 파괴한 것이라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이후로도 함피는 계속해서 방치되다가 1856년 알렉산드 그린로우가 사진을 찍었고, 20세기 들어 영국 고고학자 알렉산더 레아가 유적지를 정비하기 시작했다. 인도 독립 이후에는 발굴 조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 관광

파일:함피 3.jpg
파일:석마차.jpg

가장 가까운 기차역인 호스펫역에서 함피까지 2019년 2월 기준 편도 가격이 ₹200에서 ₹300 정도 한다. 그 이상 부르면 다른 릭샤를 알아보자. 호스펫역과 함피 정거장을 오가는 버스가 존재하기에 버스를 이용하면 굉장히 싼 가격으로 이동할 수 있다.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3] [4] 혹은 자가드구루 스린게리 사라다 피탐[5] 그 직후 부카는 사망하고, 하리하나 2세가 전성기를 이어간다[6] 라마 라야의 동생 티루말라 데바라야가 시다시바 라야 왕을 데리고 페누콘다로 피신해 제국을 재건하고 이후 티루말라 본인이 왕으로 즉위한다. 다만 17세기 들어 지방 총독인 나야크들이 사실상 독립하게 되며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점차 해체되고, 1646년 마지막 군주 스리랑가 3세가 마이소르 왕국으로 망명하며 완전히 멸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