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0:45:01

산개성단/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산개성단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항성천문학
측광학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속성변광성 · 색등급도 · 별의 종족
항성계다중성계(쌍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청색 낙오성) · 성군
항성 진화주계열 이전 단계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황소자리 T형 별 · 원시 행성계 원반)
주계열성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주계열 이후
항성 분류준왜성(차가운 준왜성 · O형 준왜성 · B형 준왜성) · 탄소별(C형(CR 별 · CN 별 · CH 별) · S형 별) · 특이별(Am 별 · Am/Fm 별 · Ap/Bp 별 · CEMP 별 · HgMn 별 · 헬륨선 별(강한 헬륨선 별 · 약한 헬륨선 별) · 바륨 별 · 목동자리 람다 별 · 납 별 · 테크네튬 별) · Be 별(껍질 별 · B[e]별) · 헬륨 별(극헬륨 별) · 초대질량 항성(쿼시 별) · 섬광성
밀집성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갈색왜성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의 종류Y형 · T형 · L형
갈색왜성의 이후 진화
분류법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성간물질성운(전리수소영역 · 행성상성운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우주론
기본 개념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3.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1. 개요

고전적인 산개성단의 분류 방법을 설명하는 문서.
눈으로 직접 보고 분류하는 방식이라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않다.

2.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

1930년 할로 섀플리가 산개성단을 7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표를 작성하였다.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
등급 의미 예시
a 불규칙적
b 별들의 군집
c 매우 느슨하고 불규칙적인 형태 파일:external/www.atlasoftheuniverse.com/ngc2244.jpg
NGC 2244
d 매우 느슨한 형태 파일:external/scienceblogs.com/messier-36.jpg
M18
e 별들이 중간 정도로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 파일:external/messier.seds.org/m7noao.jpg
M7
f 별들이 꽤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 파일:external/tcaa.us/M26.jpg
M26
g 별들이 매우 풍부하고 응집된 촘촘한 형태 파일:external/messier.seds.org/n2477.jpg
NGC 2477

3.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로버트 트럼플러에 의해 개발된 분류법이다.
분류 방법은 로마숫자 I~IV로 밀집도의 차이를 표기하고 숫자 1~3으로 성단을 구성하는 항성들의 밝기를, p,m,r로 항성의 갯수를, n으로 성운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표기하였다.
절대적인 기준이 없다보니 같은 산개성단도 학자마다, 또는 성도를 제작하는 회사마다 분류가 다르므로 적당히 넘어가자.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I II III IV
중심을 향한 강한 밀집 중심을 향한 약한 밀집 중심을 향하지 않고 느슨한 밀집 주변과 분리되지 않음
1 2 3
어두움 중간 정도로 밝음 매우 밝음
p m r
별이 적음(50개 미만) 중간 정도(50~100개) 별이 많음(100개 이상)
n
성단내에 성운이 존재함
예시
II,3,r,n 성단이 성운 내에 존재하며 별들이 중심을 향해 약하게 밀집되어 있고 항성들이 매우 밝으며 1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 성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