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이영진 | 제2대 진헌식 | 제3대 성낙서 | 제4대 이기세 | 제5대 민병기 |
제6대 김학응 | 제7대 김홍식 | 제8대 김양현 | 제9대 이기세 | 제10대 윤태호 | |
제11대 노명우 | 제12대 김의창 | 제13대 김윤환 | 제14대 민유동 | 제15대 정석모 | |
제16대 김수학 | 제17대 서정화 | 제18대 정석모 | 제19대 손수익 | 제20대 이계완 | |
제21대 유흥수 | 제22대 안응모 | 제23대 한양수 | 제24대 심대평 | 제25대 한청수 | |
제26대 이종국 | 제27대 홍선기 | 제28대 이동우 | 제29대 박태권 | 제30대 박중배 | |
제31대 김한곤 | 제32-34대 심대평 | 제35대 이완구 | 제36-37대 안희정 | 제38대 양승조 | |
제39대 김태흠 | |||||
| }}}}}}}}} |
역임한 직위 | |||||||||||||||||||||||||||||||||||||||||||||||||||||||||||
|
{{{#fff 제23대 충청남도지사 한양수 韓陽洙[1]楊洙로 오기되어 있다.] | Han Yang-su}}} | |
| |
<colbgcolor=#8C8C70><colcolor=#ffffff> 출생 | 1931년 3월 17일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 |
사망 | 2024년 8월 18일 (향년 93세) |
본관 | 청주 한씨[2] |
학력 | 대전사범학교 (졸업) 충남대학교 (법학 / 학사) |
재임기간 | 제3대 경기도 부천시장 |
1978년 8월 2일 ~ 1980년 8월 1일 | |
제4대 경기도 안양시장 | |
1980년 8월 1일 ~ 1980년 11월 28일 | |
초대 충청남도 제2부지사 | |
1981년 7월 1일 ~ 11월 9일 | |
제2대 전라북도 부지사 | |
1981년 12월 4일 ~ 1983년 12월 27일 | |
제23대 충청남도지사 | |
1987년 1월 5일 ~ 1988년 5월 19일 | |
경력 | 산림청 기획관리관 충청남도지사 특별보좌관 내무부 지방개발국장 내무부 기획관리실장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사무총장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의장 청주 한씨 중앙종친회 부회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공무원.2. 생애
1931년 3월 17일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서 아버지 한연석(韓連錫, 1894.5.29. ~ ?)[3]과 어머니 전주 최씨(1893.12.22. ~ 1961.5.8.) 사이에서 1남 4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대전사범학교 졸업 후 교사로 일하다 충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1961년 내무부 공무원으로 입직하였다. 1978년 8월 2일부터 1980년 8월 1일까지 제3대 관선 경기도 부천시장, 1980년 8월 1일부터 1980년 11월 28일까지 제4대 관선 경기도 안양시장, 초대 충청남도 부지사, 제2대 전라북도 부지사, 1987년 1월 5일부터 1988년 5월 19일까지 제23대 관선 충청남도지사를 지냈다.[4] 그 사이 1983년 홍조근정훈장, 1989년 황조근정훈장을 각각 수훈했다.
1990년 3월 2일 보수 성향 통일운동 단체인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고, 이후 동 단체 부의장을 거쳐 1999년 6월 30일 제10대 의장으로 뽑혔다. 또한 청주 한씨 중앙종친회 부회장 및 고문을 지냈다.
2024년 8월 18일, 향년 93세로 사망했다. 자녀로 한승헌(韓承憲) 에르메스코리아 대표 등 1남 2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