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2 21:20:47

한국여자프로농구 올스타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여자프로농구

1. 개요2. 역대 개최 장소 및 MVP3.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여자프로농구올스타전.

2002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한 쿼터에 한정해 리그의 외국인 선수 전원이 출전하는 등 한국프로농구보다는 재밌는 이벤트가 많다. 2014-15 시즌 올스타전에서는 KEB하나은행신지현KB 스타즈홍아란이 거위의 꿈을 같이 불러 화제가 되었다. 2015-16 시즌 올스타전은 당진실내체육관에서 개최했는데 각 구단의 연고 도시도 아닌 데다가 교통도 불편해 불만스러워하는 팬이 많았다.

2. 역대 개최 장소 및 MVP

연도 개최 장소 최우수 선수(MVP) 최우수 선수 소속 구단
2002 장충체육관 이미선 삼성생명
2003 타미카 캐칭 우리은행
2004 김영옥 현대
2005 박정은 삼성생명
2007 용인실내체육관 로렌 잭슨 삼성생명
2007-08 부천실내체육관 정은순 신세계
2008-09 변연하 KB
2009-10 와동체육관 김영옥 KB
2010-11 용인실내체육관 이종애 삼성생명
2011-12 부천실내체육관 김정은, 박정은 신세계, 삼성생명
2012-13 경산체육관 김정은 하나외환
2013-14 춘천호반체육관 모니크 커리 신한은행
2014-15 청주실내체육관 강아정 KB
2015-16 당진실내체육관 모니크 커리 신한은행
2016-17 용인실내체육관 강아정 KB
2017-18 인천도원체육관 구슬, 모니크 커리 KDB생명, KB
2018-19 장충체육관 강이슬 KEB하나은행
2019-20 BNK센터 박지수 KB
2020-21 코로나19로 미개최
2021-22
2022-23 인천도원체육관 진안 BNK
2023-24 아산이순신체육관 박지수 KB
2024-25 부천실내체육관 진안 하나은행
구리를 제외한[1] 각 구단의 연고지에서 1번씩은 올스타전을 열었다. (용인, 부천, 안산(신한), 아산, 청주) 다만 가끔 구단들의 연고가 없는 곳에서 올스타전이 열리기도 해 (당진, 경산[2]) 팬들이 황당해하는 경우도 있다. 몇몇 구단의 연고이전 및 재창단 이후 2022년 현재, 우리은행의 새 연고지인 아산에서만 올스타전이 열린 적이 없었고 다른 5구단의 홈에선 모두 최소 한 번 개최되었다.[3]

2008년 올스타전은 한국여자프로농구 창설 10주년 기념 올스타전으로 진행되었다.

2019년 올스타전은 2005년 이후 14년 만에 장충체육관에서 열게 되었다.

2020년 올스타전은 여자 농구 올스타전 처음으로 부산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2020-21 시즌과 2021-22 시즌은 코로나19의 확산이 진정되지 않아 개최하지 않았다.

2022-23 시즌에는 정상적으로 진행해 성료했다.

2023-24 시즌엔 여자 농구 출범 후 최초로 우리은행의 새 연고지인 아산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됐다.

2024년에 올스타전을 2회 개최하게 되었다.[4] 2024 올스타전은 일본 선수단을 초청해 한국 VS 일본 올스타전으로 개최하였다. 다만 올스타전인 걸 감안해도 너무 설렁설렁 뛰어서 김이 빠졌다는 반응이 많았고 일본에서도 기대치에 비해 너무 성의 없다고 비판을 하는 의견이 있었다. [현장에서] 정녕 이것이 '별들의 잔치'의 최선이었습니까

3. 관련 문서



[1] 구리체육관은 좌석이 1,000석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올스타전을 치르기 어렵다. 올스타전이 열리지 않았던 타 구단의 홈구장이던 도원체육관은 2018년에 열렸다.[2] 최경환 당시 총재의 고향 겸 국회의원 지역구이다.[3] 다만 BNK는 금정체육관에서의 올스타전 후 사직실내체육관으로 옮겨서 현재의 홈구장에선 개최한 적이 없다.[4] 2024-25 시즌 올스타전이 2024년 12월 22일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