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2 02:27:37

하남


1. 대한민국의 지명

1.1. 경기도 하남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하남지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반적으로 광주에서 '하남'이라고 하면 법정동 하남동이 아닌, 옛 광산군 하남면의 흔적이 남은 지명이다. 주로 하남 1지구로써 개발된 월곡동, 산정동과 그 옆에 동시에 개발된 우산동[1] 일대 주택 밀집지역이 일반적인 하남으로 통하고, 하남일반산업단지 또한 법정동으로써의 하남동은 아주 일부만 포함되어 있다. 호남선 하남역이 있으나 2004년에 화물전용역이 된 상태이며 호남고속철도 차량기지가 이웃하여 신설되었다.[2]

다만 하남면이 행정동으로써 전환된 하남동[3]엔 전부 포함되어 있다. 현재 법정동으로써의 하남동에는 하남 2지구 가 조성되어있으며, 하남 3지구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1.3.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하남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밀양시/행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밀양시/행정#s-2.2|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밀양시/행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수산리라는 지명으로 더 알려져 있다.

2. 중국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난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허난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허난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 한자음으로는 하남성(河南省)이며 표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허난성이라고 표기한다. 중심 도시는 정주(정저우)시.황하의 남쪽에 있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3. 베트남행정구역

하남성(베트남) 참고. 경기도 하남시, 중국 하남시와 어원이 같다. 이쪽은 중국과 달리 현지의 한자 발음도 한국과 유사하다.

4. 대한민국축구 선수 하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축구선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축구선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남(축구선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Fate 시리즈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 어새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 어새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 어새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우산동은 송정시 소속으로 단 한번도 하남면 소속이었던 적은 없지만, 시가지가 하남면 소속이었던 시가지와 더 긴밀하게 연결되어있다.[2] 역시 법정동은 산정동[3] 분리된 월곡동과 수완동으로 넘어간 풍영정천 서쪽을 제외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