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23:02:39

피문성


<colbgcolor=#0047a0><colcolor=#fff>
파일:피문성.jpg
출생 1917년 3월 5일
평안남도 평양시 이향동(履鄕洞)
(現 평양시 중구역 경림동)
사망 1989년 7월 9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 2동 소라아파트[2] 805호[3]
독립운동 경력 한국광복군 제 3징모분처 한교전지공작대대원
(韓國光復軍 第三徵募分處 韓橋戰地工作隊)
중화민국 제 3전구 중앙군 제 2집단군사령부
(中華民國 第三戰區 中央軍 第二集團軍)
제5공군(5th Air Force) 제 3전구 파견대 주환(駐晥)분대[4]
광복 후 경력 미국 육군부 파견대
(주) 정원연탄 감사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 - 64[5]
서훈 건국포장(1977) 추서

1. 생애2. 독립운동3. 광복 이후4. 참고문헌

[clearfix]

1. 생애

1917년 3월 5일 .평안남도 평양시 이향동에서 태어났다.
미군문서에 따르면 봉천대학에 나왔다고 하나 어떤 경유로 난징에 가게 되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6]

2. 독립운동

1942년 7월 광복군 특파원 이일범, 조일문과 접선해 한족동맹 총무부에 속해 있었다. 일본군 정보수집 및 후방 공작 활동을 수행했고, 이와 별도로 중국 중앙군 제 3전구 제 2집단군 사령부에 근무하며 대일전에 참전했다.

1945년 5월 한국광복군 제 3징모분처 한교전지공작대 대원과 동시에 중국 중앙군 제 3전구 제 2집단군 사령부에 근무하면서 대일전에 참전하였다.
Washington Registry Intelligence Field Files, 1942 - 1947 (Entry UD 108)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들에 대한 보고에서는 한족동맹(Korean National League) 간부들을 일일이 나열하여 기록하고 있다.

Strategic Services Unit, 미 전쟁성 [7]
국적 : 한국
제목 : 한족동맹(韓族同盟) 간부들, 마오린(茂林) 본부
문서기원 : 상하이
전구 : 중국
문서 생산날짜 : 1945년 5월
파일:The Officer of Korean National League_1.jpg
유수인 한족동맹 의장. 현재 제 3전구 한교전지공작대 주임. 41세 진링대학(金陵大學) 졸업. 향촌사범학교 교장, 남화한인연맹 가담.
박철원 한족동맹 총비서[8]. 제 3전구 한교전지공작대 대원, 27세, 남경중앙대 농학과 졸업. 동아일보 기자 및 만선일보 기자.
전일 한족동맹 조사위원장. 30세이며 일본에 센슈대학(専修大學)에서 공부함. 만주의 조선혁명당[9]의 정보부장.
정동율 한족동맹 조사위원회. 43세, 숭실대학 졸업.
파일:The Officer of Korean National League_2.jpg
이일범 한족동맹 조사위원회. 27세 남경중앙대 법학과 졸업. 일본 헌병대에 통역병으로 근무.
안강 한족동맹 총무과장. 26세 일본중앙대 졸업. 안후이성(安徽省) 벙부(蜯埠)에서 일본영사관 직원이었다.
조일문 한족동맹 정치부장. 27세 남경중앙대 법학과 졸업. 일본군 특무부대에 통역병으로 근무.
김호 한족동맹 훈련부장. 32세 보성고등학교 졸업. 환남총사령부 고문.
류향 한족동맹 비서. 24세. 일본의 대학에서 다닌 적이 있다. 광신소학교 교장.
심용철 한족동맹 비서. 32세. 푸젠셩(福建省) 민생학교(民生學敎)[10]에서 훈련반 졸업. 난징괴뢰국(中華民國南京國民政府)의 훈련장교였다.
피춘여 한족동맹 총무부 총무본부. 26세 봉천대학
변일성 한족동맹 총무부 회계조장. 25세. 도쿄이과대학.
정람명 한족동맹 총무부처 공공복지담당. 26세, 평양전문의대 졸업. 약사
김형석 한족동맹 정치부 정보장교. 28세. 한국광복군 제2지대 제3구대 제3 분대장
파일:The Officer of Korean National League_3.jpg
한진원 한족동맹 선전부장. 38세. 피어슨 성경 기념 학원(Pearson Bible Training School)[11] 졸업. 한국광복군 대원
김해성 한족동맹 징모처장. 28세 강계고등학교 졸업. 난징괴뢰국의 특무대원.
석원석 한족동맹 군사훈련장교 23세. 일본군 26사단 통역병.
박화 한족동맹 군사훈련장교, 22세. 난징중앙대 건축과 이수.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12]

후이저우(徽州) 소재 미군 제5공군 제 3전구 파견대 주환(駐晥)분대[13]에 배속되어 군사 정보를 제공, 제5공군이 난징·상하이 등지의 일본 군사 시설 폭격에 필요한 연락 업무를 수행하여 제5공군 작전에 적극 협조하였다. 그러던 중에 광복을 맞이하였다.

3. 광복 이후

한국전쟁 발발 초기 9.28 서울 수복을 앞두고 1950년 9월 24일 미 육군성 파견대 요청에 이순용을 통해서 이일범, 김용의 추천으로 파견대 요원으로 차출된다. 서울 수복 때 북한군이 후퇴하면서 남기고 간 물증을 수집했다고 한다.[14][15]

1969년 7월 2일 동대문구 이문동 23-2 소재 (주) 정원연탄 감사직을 맡았다.

1977년 11월 30일 대한민국 정부는 건국포장을 수여했다.

1989년 7월 9일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 2동 사망했다.

2014년에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안장했다.

4. 참고문헌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95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444·445·446·615면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출판사 2012,p. 356
[1] 이명은 피춘여(皮春如).[2] 현재 래미안 방배 아트힐[3] 포천천주교평화묘원 봉안담에 발인[4] 안후이성 후이저우(徽州) 소재[5] 2014월 12월27일에 이장[6] 만주사변 이후 봉천대학의 많은 교수들이 떠나면서 만주국 시절에 자주 일본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만주국 시기 관한 자료는 다수가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7]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 존재했던 미국 정부 의 정보 기관. 이는 전시 전략사무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 의 비밀 정보 및 대첩 부서로 1945년 10월 1일 창설된다. 이 문서는 중국전구(China Theatre)에 주둔하던 전략사무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요원이 작성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 조직은 훗날 미국 CIA가 된다.[8] 유기석 회고록에선 보조대장으로 불린다. 유기석, 삼십년방랑기-유기석 회고록, 국가보훈처 2010[9] 양세봉, 지청천[10] 1937년 평민중학교(平民中學校)의 교사였다.[11] 現 평택대학교[12] Washington Registry Intelligence Field Files, 1942 - 1947 (Entry UD 108),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소장[13] 안후이성에 주둔[14] 이일범과 같은 한국광복군 한교전지공작대 경력으로 첩보경험이 있었다.[15]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출판사 2012,p.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