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마이마이고엔의 테마곡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카니발 해피 | 베이비 데이즈 히카루 | 파어웨이 카나타 | |
| | | | |
| 타비(Tabi) | 울프 왈도 하야테 | 리틀 하트 다이어리 마모루&린린 | |
| | | | |
| 프라이머리 라임 | 미마마 유즈리하 | 포셰트 조야 | |
| | | | |
| 마더 데이즈 마리아 | 민들레 라이온 | 노토리어스 아키 | |
| | | | |
| 알마니 다이야 | Cool Fool Scoops 마도카 | Squads 신타 | |
| | | | |
| 잘 먹었습니다 다이고로 | 히어로가 되고 싶지 않아 와타루 | 미아의 길 오카다 유우 | }}}}}}}}} |
| 프라이머리 | → | 민들레 |
| <nopad> |
| ぷらいまり Primary | 프라이머리 | |
| <colbgcolor=#E3F1C9,#222> 가수 | 카후(可不) |
| 작곡가 | 이요와 |
| 작사가 | |
| 일러스트 | |
| 영상 제작 | |
| 페이지 | |
| 투고일 | 2022년 8월 25일 |
1. 개요
胃が弱いからいよわでみ
サンリオさまの「まいまいまいごえん」とのコラボ楽曲です
岡田先生、胃を痛めてそうで好感が持てます 強く生きてくれ
위가 약해서 이요와데미[1]
산리오 님의 「마이마이마이고엔」와의 콜라보 악곡입니다
유우 선생님, 위가 아픈 것 같아 호감이 갑니다 강하게 살아줘
[ruby(프라이머리, ruby=ぷらいまり)]는 이요와가 2022년 8월 25일 니코니코 동화와 유튜브에 투고한 카후(可不)의 CeVIO 오리지널 곡이다.サンリオさまの「まいまいまいごえん」とのコラボ楽曲です
岡田先生、胃を痛めてそうで好感が持てます 強く生きてくれ
위가 약해서 이요와데미[1]
산리오 님의 「마이마이마이고엔」와의 콜라보 악곡입니다
유우 선생님, 위가 아픈 것 같아 호감이 갑니다 강하게 살아줘
2. 상세
산리오 프로젝트인 마이마이마이고엔의 타이업 곡으로, 공식 트위터의 언급에 따르면 대응 캐릭터는 라임. 이후 프라이머리의 앤서곡으로 2번째 타이업 곡인 민들레가 공개되었다.밝은 것 같으면서도 금새 망가질 것 같은 느낌이 돋보이는 곡이다.
이요와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본인이 직접 그린 애니메이션과 손글씨가 사용되었다. 또한 이요와의 곡 MV 중에서는 첫번째로 오리지널 캐릭터가 등장한 경우가 아니기도 하다. 그 후에는 두번째로 열이상의 아다치 레이가 출연한 것.
마이마이마이고엔 게임판 4화의 OST에 편곡되었다. 4화 이벤트 BGM 1 4화 이벤트 BGM 2
| <nopad> |
3. 영상
| |
| 프라이머리 / 이요와 feat.카후 (PRIMARY / Iyowa feat. Kafu) |
| |
| [nicovideo(sm40977635, width=640, height=360)] |
| 프라이머리 / 이요와 feat.카후 |
4. 미디어 믹스
4.1. 음반 수록
| <nopad> | <colbgcolor=#d3d3d3,#fff> 번역명 | 영화, 양지, 졸업식 |
| 원제 | 映画、陽だまり、卒業式 | |
| 트랙 | Disc 1, 5 | |
| 발매일 | 2024년 6월 26일 | |
| 링크 | |
5. 가사
| 怒られない服の着方を |
| 오코라레나이 후쿠노 키카타오 |
| 혼나지 않는 옷 입는 법을 |
| 大人みたいなしゃべり方を |
| 오토나미타이나 샤베리카타오 |
| 어른 같이 말하는 법을 |
| まだ知らない言葉の意味も |
| 마다 시라나이 코토바노 이미모 |
| 아직 모르는 말의 의미도 |
| おしえて |
| 오시에테 |
| 가르쳐줘 |
| 背伸びした大きな窓 |
| 세노비시타 오오키나 마도 |
| 발돋움했던 커다란 창문 |
| 見えた向こうが気になって |
| 미에타 무코오가 키니낫테 |
| 보이던 저 너머가 신경 쓰여서 |
| 追いかけていたら |
| 오이카케테이타라 |
| 뒤를 쫓아가다보니 |
| 昨日が終わっちゃった |
| 키노오가 오왓찻타 |
| 어제가 끝나버렸어 |
| 遊ぶ影と ついてくる空と |
| 아소부 카게토 츠이테쿠루 소라토 |
| 장난치는 그림자와 따라오는 하늘과 |
| どこからだろう |
| 도코카라다로오 |
| 어디부터일까 |
| 聞き慣れた |
| 키키나레타 |
| 귀에 익은 |
| あたしを呼んでる声がする |
| 아타시오 욘데루 코에가 스루 |
| 나를 부르는 목소리가 들려 |
| はしる心の中に |
| 하시루 코코로노 나카니 |
| 달리는 마음 속에 |
| いつでも |
| 이츠데모 |
| 언제나 |
| 大好きな色があること |
| 다이스키나 이로가 아루 코토 |
| 좋아하는 색이 있는 것 |
| やさしく笑いかけた姿が |
| 야사시쿠 와라이카케타 스가타가 |
| 상냥하게 웃어 보이던 모습이 |
| だれより かっこいいのです |
| 다레요리 캇코이이노데스 |
| 누구보다 멋있어요 |
| いつかは知らなきゃいけないこと |
| 이츠카와 시라나캬 이케나이 코토 |
| 언젠가는 알아야만 하는 것 |
| 子どもだから知らなくて |
| 코도모다카라 시라나쿠테 |
| 어린 아이라서 모른 채로 |
| 大人になったらどうするの |
| 오토나니 낫타라 도오스루노 |
| 어른이 되어버리면 어떡하지 |
| おしえて |
| 오시에테 |
| 가르쳐줘 |
| 怖いことを思い出すと |
| 코와이 코토오 오모이다스토 |
| 무서운 걸 떠올리면 |
| 下を向いちゃいそうになるから |
| 시타오 무이차이소오니 나루카라 |
| 아래를 보게 될 것 같으니까 |
| かたくにぎったその手を |
| 카타쿠 니깃타 소노 테오 |
| 꽉 붙잡은 그 손을 |
| 見てたいのです |
| 미테타이노데스 |
| 바라보고 싶은 거예요 |
| だれも 知らない |
| 다레모 시라나이 |
| 아무도 모르는 |
| ひみつの 部屋に |
| 히미츠노 헤야니 |
| 비밀의 방에서 |
| 「ここから 出たいよ」 |
| 「코코카라 데타이요」 |
| 「여기서 나가고 싶어」 |
| 「帰りたいよ」 |
| 「카에리타이요」 |
| 「돌아가고 싶어」 |
| だれかの 泣いてる声がする |
| 다레카노 나이테루 코에가 스루 |
| 누군가가 우는 소리가 들려 |
| 転ぶ心の中に |
| 코로부 코코로노 나카니 |
| 구르는 마음 속에 |
| たしかに |
| 타시카니 |
| 확실히 |
| 大好きな色があるのに |
| 다이스키나 이로가 아루노니 |
| 좋아하는 색이 있는데도 |
| カーテンの向こうの夜が |
| 카아텐노 무코오노 요루가 |
| 커튼 너머의 밤이 |
| こんなに暗いなんて |
| 콘나니 쿠라이난테 |
| 이렇게 어두울지는 |
| 知らなかったです |
| 시라나캇타데스 |
| 몰랐어요 |
| (らーらー、ら、ら、ら、らー) |
| (라ー라ー, 라, 라, 라, 라ー) |
| (라ー라ー, 라, 라, 라, 라ー) |
| (らーらー、ら、ら、ら、らー) |
| (라ー라ー, 라, 라, 라, 라ー) |
| (라ー라ー, 라, 라, 라, 라ー) |
| (らーらー、ら、ら、ら、らー) |
| (라ー라ー, 라, 라, 라, 라ー) |
| (라ー라ー, 라, 라, 라, 라ー) |
| (らーらーら) |
| (라ー라ー라) |
| (라ー라ー라) |
| はしる心の中に |
| 하시루 코코로노 나카니 |
| 달리는 마음 안에 |
| いつでも |
| 이츠데모 |
| 언제나 |
| 大好きな色があるから |
| 다이스키나 이로가 아루카라 |
| 좋아하는 색이 있으니까 |
| やさしく笑いかける姿が |
| 야사시쿠 와라이카케루 스가타가 |
| 상냥하게 웃어 보이는 모습이 |
| なにより かっこいいから |
| 나니요리 캇코이이카라 |
| 무엇보다 멋있으니까 |
| やすむ心は そばに |
| 야스무 코코로와 소바니 |
| 휴식하는 마음은 곁에 |
| たしかに |
| 타시카니 |
| 확실히 |
| 大好きを伝えるから |
| 다이스키오 츠타에루카라 |
| 「정말 좋아해」를 전할 테니까 |
| いちばん大事なものに |
| 이치반 다이지나 모노니 |
| 가장 소중한 것을 |
| やっと今 |
| 얏토 이마 |
| 겨우 지금 |
| 気づいたから |
| 키즈이타카라 |
| 깨달았으니까 |
| |
[1] 마이마이마이고엔의 등장인물인 개구리달걀의 어미를 따라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