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22:14:00

풀 몬티


파일:BAFTA 로고.svg
영국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if 연도="style=\"margin: -5px -10px; font: .74067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ord-break: keep-all\"", 회차="style=\"margin: 0 -10px; font: .92589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ord-break: keep-all\"", 수상작="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1947년
#!wiki 
1948년
#!wiki 
1949년
#!wiki 
1950년
#!wiki 
[[제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회]]
#!wiki 
[[제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회]]
#!wiki 
[[제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회]]
#!wiki 
[[제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회]]
#!wiki 
[[우리 생애 최고의 해]]
#!wiki 
[[햄릿]]
#!wiki 
[[자전거 도둑(영화)|자전거 도둑]]
#!wiki 
[[이브의 모든 것]]
#!wiki 
1951년
#!wiki 
1952년
#!wiki 
1953년
#!wiki 
1954년
#!wiki 
[[제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회]]
#!wiki 
[[제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회]]
#!wiki 
[[제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회]]
#!wiki 
[[제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8회]]
#!wiki 
[[윤무(영화)|윤무]]
#!wiki 
[[소리의 장벽]]
#!wiki 
[[금지된 장난(프랑스 영화)|금지된 장난]]
#!wiki 
[[공포의 보수]]
#!wiki 
1955년
#!wiki 
1956년
#!wiki 
1957년
#!wiki 
1958년
#!wiki 
[[제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9회]]
#!wiki 
[[제1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0회]]
#!wiki 
[[제1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1회]]
#!wiki 
[[제1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2회]]
#!wiki 
[[리처드 3세(연극)|리처드 3세]]
#!wiki 
[[목로주점(소설)|목로주점]]
#!wiki 
[[콰이강의 다리(영화)|콰이강의 다리]]
#!wiki 
[[꼭대기 방]]
#!wiki 
1959년
#!wiki 
1960년
#!wiki 
1961년
#!wiki 
1962년
#!wiki 
[[제1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3회]]
#!wiki 
[[제1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4회]]
#!wiki 
[[제1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5회]]
#!wiki 
[[제1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6회]]
#!wiki 
[[벤허(1959년 영화)|벤허]]
#!wiki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wiki 
[[병사의 시]]
#!wiki 
[[아라비아의 로렌스]]
#!wiki 
[[허슬러(1961)|허슬러]]
#!wiki 
1963년
#!wiki 
1964년
#!wiki 
1965년
#!wiki 
1966년
#!wiki 
[[제1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7회]]
#!wiki 
[[제1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8회]]
#!wiki 
[[제1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19회]]
#!wiki 
[[제2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0회]]
#!wiki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
#!wiki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wiki 
[[마이 페어 레이디]]
#!wiki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wiki 
1967년
#!wiki 
1968년
#!wiki 
1969년
#!wiki 
1970년
#!wiki 
[[제2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1회]]
#!wiki 
[[제2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2회]]
#!wiki 
[[제2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3회]]
#!wiki 
[[제2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4회]]
#!wiki 
[[사계절의 사나이]]
#!wiki 
[[졸업(영화)|졸업]]
#!wiki 
[[미드나잇 카우보이]]
#!wiki 
[[내일을 향해 쏴라]]
#!wiki 
1971년
#!wiki 
1972년
#!wiki 
1973년
#!wiki 
1974년
#!wiki 
[[제2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5회]]
#!wiki 
[[제2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6회]]
#!wiki 
[[제2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7회]]
#!wiki 
[[제2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8회]]
#!wiki 
[[사랑의 여로]]
#!wiki 
[[카바레(영화)|카바레]]
#!wiki 
[[아메리카의 밤]]
#!wiki 
[[라콤 루시앙]]
#!wiki 
1975년
#!wiki 
1976년
#!wiki 
1977년
#!wiki 
1978년
#!wiki 
[[제2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29회]]
#!wiki 
[[제3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0회]]
#!wiki 
[[제3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1회]]
#!wiki 
[[제3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2회]]
#!wiki 
[[앨리스는 이제 여기 살지 않는다]]
#!wiki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영화)|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wiki 
[[애니 홀]]
#!wiki 
[[줄리아(영화)|줄리아]]
#!wiki 
1979년
#!wiki 
1980년
#!wiki 
1981년
#!wiki 
1982년
#!wiki 
[[제3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3회]]
#!wiki 
[[제3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4회]]
#!wiki 
[[제3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5회]]
#!wiki 
[[제3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6회]]
#!wiki 
[[맨하탄(영화)|맨하탄]]
#!wiki 
[[엘리펀트 맨(영화)|엘리펀트 맨]]
#!wiki 
[[불의 전차]]
#!wiki 
[[간디(영화)|간디]]
#!wiki 
1983년
#!wiki 
1984년
#!wiki 
1985년
#!wiki 
1986년
#!wiki 
[[제3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7회]]
#!wiki 
[[제3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8회]]
#!wiki 
[[제3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39회]]
#!wiki 
[[제4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0회]]
#!wiki 
[[리타 길들이기]]
#!wiki 
[[킬링필드(영화)|킬링필드]]
#!wiki 
[[카이로의 붉은 장미]]
#!wiki 
[[전망 좋은 방(영화)|전망 좋은 방]]
#!wiki 
1987년
#!wiki 
1988년
#!wiki 
1989년
#!wiki 
1990년
#!wiki 
[[제4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1회]]
#!wiki 
[[제4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2회]]
#!wiki 
[[제4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3회]]
#!wiki 
[[제4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4회]]
#!wiki 
[[마농의 샘]]
#!wiki 
[[마지막 황제]]
#!wiki 
[[죽은 시인의 사회]]
#!wiki 
[[좋은 친구들]]
#!wiki 
1991년
#!wiki 
1992년
#!wiki 
1993년
#!wiki 
1994년
#!wiki 
[[제4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5회]]
#!wiki 
[[제4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6회]]
#!wiki 
[[제4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7회]]
#!wiki 
[[제4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8회]]
#!wiki 
[[커미트먼트]]
#!wiki 
[[하워즈 엔드(영화)|하워즈 엔드]]
#!wiki 
[[쉰들러 리스트]]
#!wiki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wiki 
1995년
#!wiki 
1996년
#!wiki 
1997년
#!wiki 
1998년
#!wiki 
[[제4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49회]]
#!wiki 
[[제5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0회]]
#!wiki 
[[제5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1회]]
#!wiki 
[[제5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2회]]
#!wiki 
[[센스 앤 센서빌리티]]
#!wiki 
[[잉글리쉬 페이션트]]
#!wiki 
[[풀 몬티]]
#!wiki 
[[셰익스피어 인 러브]]
#!wiki 
1999년
#!wiki 
2000년
#!wiki 
2001년
#!wiki 
2002년
#!wiki 
[[제5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3회]]
#!wiki 
[[제5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4회]]
#!wiki 
[[제5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5회]]
#!wiki 
[[제5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6회]]
#!wiki 
[[아메리칸 뷰티(영화)|아메리칸 뷰티]]
#!wiki 
[[글래디에이터(영화)|글래디에이터]]
#!wiki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wiki 
[[피아니스트(로만 폴란스키 영화)|피아니스트]]
#!wiki 
2003년
#!wiki 
2004년
#!wiki 
2005년
#!wiki 
2006년
#!wiki 
[[제5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7회]]
#!wiki 
[[제5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8회]]
#!wiki 
[[제5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59회]]
#!wiki 
[[제6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0회]]
#!wiki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wiki 
[[에비에이터]]
#!wiki 
[[브로크백 마운틴]]
#!wiki 
[[더 퀸]]
#!wiki 
2007년
#!wiki 
2008년
#!wiki 
2009년
#!wiki 
2010년
#!wiki 
[[제6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1회]]
#!wiki 
[[제6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2회]]
#!wiki 
[[제6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3회]]
#!wiki 
[[제6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4회]]
#!wiki 
[[어톤먼트(영화)|어톤먼트]]
#!wiki 
[[슬럼독 밀리어네어(영화)|슬럼독 밀리어네어]]
#!wiki 
[[허트 로커]]
#!wiki 
[[킹스 스피치]]
#!wiki 
2011년
#!wiki 
2012년
#!wiki 
2013년
#!wiki 
2014년
#!wiki 
[[제6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5회]]
#!wiki 
[[제6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6회]]
#!wiki 
[[제6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7회]]
#!wiki 
[[제6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8회]]
#!wiki 
[[아티스트(영화)|아티스트]]
#!wiki 
[[아르고(영화)|아르고]]
#!wiki 
[[노예 12년(영화)|노예 12년]]
#!wiki 
[[보이후드]]
#!wiki 
2015년
#!wiki 
2016년
#!wiki 
2017년
#!wiki 
2018년
#!wiki 
[[제6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69회]]
#!wiki 
[[제7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0회]]
#!wiki 
[[제7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1회]]
#!wiki 
[[제7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2회]]
#!wiki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wiki 
[[라라랜드]]
#!wiki 
[[쓰리 빌보드]]
#!wiki 
[[로마(2018년 영화)|로마]]
#!wiki 
2019년
#!wiki 
2020년~2021년
#!wiki 
2021년
#!wiki 
2022년
#!wiki 
[[제7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3회]]
#!wiki 
[[제7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4회]]
#!wiki 
[[제7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5회]]
#!wiki 
[[제7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6회]]
#!wiki 
[[1917(영화)|1917]]
#!wiki 
[[노매드랜드]]
#!wiki 
[[파워 오브 도그]]
#!wiki 
[[서부 전선 이상 없다(2022)|서부 전선 이상 없다]]
#!wiki 
2023년
#!wiki 
2024년
#!wiki 
[[제7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7회]]
#!wiki 
[[제7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제78회]]
#!wiki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wiki 
[[콘클라베(영화)|콘클라베]]
}}}}}}}}}
풀 몬티 (1997)
The Full Monty
<nopad> 파일:풀 몬티 포스터.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코미디, 드라마
감독 피터 캐터니오
출연 로버트 칼라일
톰 윌킨슨
마크 애디
각본 사이먼 보포이
제작 우베르토 파졸리니
폴리 레이스
촬영 존 드 보만
편집 데이빗 프리먼
닉 무어
음악 앤 더들리
미술 맥스 고틀리에브
크리스 루프
의상/분장 질 테일러
크리스틴 블런델
마리즈 랭건
스콧 베스윅
시안 리차드
캐스팅 수지 피기스
제공사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레드 웨이브 필름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스트리밍 파일:Disney+ 로고.svg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촬영 기간 1996년 4월 29일 ~ 1996년 6월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97년 8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년 4월 11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1998년 8월 21일
화면비 1.85:1
상영 타입 필름 | 2D
상영 시간 91분 (1시간 31분)
제작비 3백 5십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45,950,122
월드 박스오피스 $257,938,649
관객 수 85,062명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예고편5. 줄거리6. 평가7. 여담8. 드라마


1. 개요

영국의 코미디 영화. 1970년대 초반 현대화와 완강한 구조조정으로 인해 제철소가 문을 닫으면서 해고당한 철강근로자들이 생계를 위해 스트립쇼를 벌이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1997년 우베르토 파졸리니(Uberto Pasolini)가 제작하였으며, 피터 캐터니오(Peter Cattaneo) 감독의 데뷔 작품이다.

제목인 '풀 몬티(Full Monty)'는 영국 속담으로 '홀딱 벗는다'는 뜻이다.

2. 시놉시스

철광 산업이 쇠퇴 일로를 달리게 되면서 실업자가 된 가즈(로버트 칼라일)는 어느날 우연히 여자들만 입장할 수 있는 남자 나체쇼가 성황을 이루는 것을 보고 스트립쇼를 해서 돈을 벌기로 마음 먹는다. 가즈는 친구 데이브와 함께 사교춤 선생인 제럴드를 설득해 멤버로 끌어들이고 체리와 호스는 오디션으로 뽑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자살기도를 했던 룸퍼스까지 멤버가 된다. 이들은 폐허가 된 철공소 창고에서 경찰 복장으로 스트립쇼를 연습하다 신고를 받고 달려온 경찰에게 연행됨으로써 졸지에 유명인사가 되어버린다.

많은 우여곡절이 연습 중에 포기하려는 사람도 생겨났지만, 결국은 남자 나체쇼를 하는 바의 운영주인 알란의 제의로 이들은 스트립쇼를 하게 되고, 관중들의 환호를 받는다. 이들은 스트립쇼를 통해 무기력하고 절망적이었던 삶에서 탈출할 수 있는 정신적 힘을 얻은 것이다.

3. 등장인물

  • 로버트 칼라일 - 가즈
  • 마크 애디 - 데이브
  • 윌리엄 스네이프 - 나단
  • 스티브 휴이슨 - 롬퍼
  • 톰 윌킨슨 - 제럴드
  • 폴 바버 - 호스
  • 휴고 스피어 - 가이
  • 레슬리 샤프 - 진
  • 에밀리 우프 - 맨디
  • 디어드리 코스텔로 - 린다
  • 폴 버터워스 - 베리
  • 데이브 힐 - 앨런
  • 브루스 존스 - 레그
  • 앤드류 리빙스턴 - 테리
  • 케이트 루터 - 돌 클러크
  • 글렌 커닝햄 - 형사
  • 크리스 브레일스포드 - 듀티 서전트
  • 스티브 가티 - 경찰
  • 말콤 피트 - 잡 클럽 매니저
  • 뮤리엘 헌트

4. 예고편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fff>
공식 예고편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fff>
한글 자막 예고편

5. 줄거리

25년 이후 현대화와 함께 제철소가 문을 닫고 근로자들이 해고를 당하는 1972년 사우스요크셔 산업타운 셰필드. 그들 중에는 태평한 이혼남 가즈와 무능하고, 뚱뚱한 그의 친구 데이브가 있다. 가즈는 그의 어린 아들 네이단과 데이브와 함께 마을을 배회하면서 그의 시간을 허비하고, 때때로 지역 직업 알선 센터에 가기도 하는 데 거기에서 그들의 예전 공장 감독인 거만한 제랄드와도 자주 마주친다.

이 세 남자의 개인 사생활은 엉망인 상태이다. 가즈는 그의 예전 부인 맨디와 그녀의 남자친구 배리에게 아들의 양육비를 부치지 못하는 상태고 데이브는 자신 대신 일하는 아내 진과의 침실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제랄드는 실직한 지 6개월이 지났는데도 매일 회사에 나가는 것처럼 가장함으로써 그의 부인 린다를 속이고 있다. 우연히 동네 여성 전용 클럽을 방문한 가즈는 치펜데일스(Chippendales) 남자 댄서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돈을 벌기 위해 여자들을 위한 스트립을 할 구상을 한다. 아마추어 불룸 댄서인 제랄드가 안무를 담당하고, 여기에 춤 실력보다는 몸에 어지간히 자신이 있는 가이와 자살을 시도하다 실패한 전 제철소 보안요원이며 어머니를 모시며 사는 룸퍼, 그리고 한때는 잘 나가던 댄서였지만 이제는 오래된 레퍼토리만을 알고 있는 노년의 댄서 호스가 이들과 합류한다. 하지만 몸매에 자신이 없던 데이브는 중간에 빠지고 슈퍼마켓 보안요원으로 일하게 된다.[1]

경찰 복장으로 호스의 여자 친족들 앞에서 리허설까지 하지만 리허설 도중 경찰에 체포된다. 이 과정에서 도망친 룸퍼와 가이는 눈이 맞아 사귀게 된다. 가즈는 아들을 만날 권리를 박탈당하며 제랄드는 청구서가 날아와 진실을 안 아내에 의해 집에서 쫓겨나 가즈와 일시적으로 같이 지내게 된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소문이 온 마을에 퍼지게 되고, 호기심 많은 수많은 여성들이 티켓을 구입한다. 자신들이 더 이상 이 쇼를 취소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음을 깨닫게 되자, 이들은 오직 한 번만 하되 최선을 다하기로 한다. 홍보효과를 높이기 위해 풀 몬티, 즉 옷을 몽땅 벗을 것에 합의한다. 제랄드, 데이브, 가즈 등은 중간에 각자의 사정[2]으로 망설이기도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쇼를 성공적으로 치른다.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75 / 100 점수 8.5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96% 관객 점수 79%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전문가 별점 - / 5.0 관람객 별점 3.7 / 5.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별점 7.4 / 10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별점 3.8 / 5.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3.6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7.7 / 10

별점 user@ / 1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3.5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82.61% 별점 3.4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if code != null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055|{{{#!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 / 10
관람객
10.0 / 10
네티즌
8.55 / 10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 / 10
관람객
10.0 / 10
네티즌
8.55 / 10
}}}}}}]]}}}}}}}}}
#!if code == null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000,#fff 평점 10.0 / 10}}}]]
'''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1 / 1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70%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6.9 / 10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별점 3 / 4

파일:JustWatch-logo.png
평점 78%

7. 여담

1998년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감독상·각본상·작곡상 등 4개 부문 후보에 올라 작곡상을 받았다. 300만 달러의 저예산영화지만, 개봉 당시 전세계에서 영국영화 역사상 최고의 관객동원을 기록하였다.

뮤지컬도 있는데 원작 영화의 배경인 영국 요크셔의 셰필드를 불황에 시달리는 미국 뉴욕의 버팔로로 옮겼다. 테렌스 맥널리 극본, 데이빗 야즈벡 작곡으로, 2000년에 샌디에고의 올드 글로브 씨어터에서 초연 후 2000년 10월 26일부터 브로드웨이의 유진 오닐 씨어터에서 2002년 9월까지 공연했다. 인물들의 이름이 달라졌으며 Jeanette Burmeister라는 인물이 추가되었다. 2013년에는 연극도 나왔다.

2001년 말 KBS 2TV 토요명화에서 더빙 방영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개봉 시기가 참으로 기가 막혔는데 IMF 외환위기가 터진 1998년에 개봉되었다. 이 영화와 그 사건은 해고라는 공통적인 카테고리를 지닌 관계로 흥행이 요상하게 잘 되었다.[3]

8. 드라마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 파일:351191967_666807775286425_3615202600145656272_n.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fff>
공식 예고편

25년이 지난 2023년 6월 14일, 디즈니+ 드라마로 공개되었다. 영화 출연진들이 그대로 출연한다. 한국은 사정상 21일에 공개되었다.

여기에서 가즈는 잡역부로 일하며 야즈란 여성과 재혼해 딸 데스티니(애칭은 데스)를 뒀지만 또 이혼했고 야즈는 새 남자친구 브라이언을 사귀었다. 데스는 음악에 재능이 있지만 한 학생을 괴롭히거나 차를 훔치는 등 문제아지만 완전히 구제불능은 아니며 자신이 한 짓에 죄책감을 느끼게 되긴 한다. 데이브는 학교 관리인으로 일하는데 아내 진이 바람을 피우는 등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여기에서 진과 데이브 사이에 마이클이라는 아들이 있었지만 요절했고 이후 둘 사이에 자식이 생기지 않았다고 나온다. 롬퍼는 데니스란 남자와 결혼해 카페를 운영하지만 사채업자들에게 시달리며 가이는 회사를 하나 차렸고 약혼자 이본과의 사이에서 아이도 생겼다. 호스는 복지 수당 신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럴드는 은퇴했다. 네이산은 성장해 경찰이 됐고 결혼해 아들 벤을 뒀다. 여기에 새 인물들로 가즈와 병원에서 알게 된 그래피티에 재능이 있는 앤트, 데이브가 아버지 역할을 해주게 된 학생 트위글렛(본명은 딘), 비둘기를 계기로 데니스와 롬퍼와 친해지는 한국인 남자 상철, 주인공들과 친한 공무원 대런과 그가 호감을 갖게 된 쿠르드 족 난민 여성 실반과 그녀의 아들 하산 등이 추가된다.
[1] 나중에 룸퍼 어머니 장례식에 참석할 때에 일을 그만두기로 결심한다.[2] 제랄드는 직장을 구해서, 데이브는 몸매에 자신이 없어서, 가즈는 여자들만 오라고 홍보 포스터에 적었는데 남자들(자신들을 체포한 경찰들 포함)이 일부 섞여 있기 때문.[3] 몇 년 지나지 않아 절묘하게도 2001년 일본에서는 이와 비슷하게 경기 불황나체를 소재로 한 노래인 YATTA!가 발표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