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17:32:22

펠릭스 아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642><tablebgcolor=#007642>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 ||
2 드망 · 3 스가와라 · 4 슈타르크 · 5 피퍼 · 6 스타게 · 7 음방굴라 · 8 바이저 · 9 토프 · 10 비텡쿠르
11 은진마 · 13 헤인 · 14 리넨 · 17 그륄 · 18 푸에르타스 · 20 슈미트 · 21 한센오뢰엔 · 22 말라티니
23 슈미트 · 24 초비치 · 25 콜케 · 27 아구 · 28 알베로 · 29 무사 · 30 바크하우스 · 31 쿨리발리 · 32 [[마르코 프리들|프리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33 슈메트겐스 · 34 아데 · 37 스마칼레프 · 39 뵈버 · 40 살리푸 · 44 보니페이스
파일:독일 국기.svg 호르스트 슈테펜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Felix Agu (25/26).webp
SV 베르더 브레멘 No. 27
펠릭스 아구
Felix Agu
<colbgcolor=#007642> 출생 1999년 9월 27일 ([age(1999-09-27)]세)
독일 오스나뷔르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이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cm / 체중 73kg
포지션 풀백[1], 윙백
소속 <colbgcolor=#007642> 유스 VfL 오스나브뤼크 (2014~2018)
선수 VfL 오스나브뤼크 (2018~2020)
SV 베르더 브레멘 (2020~ )
국가대표 1경기 (나이지리아 / 2025~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여담5. 같이 보기

1. 개요

독일 출신 나이지리아SV 베르더 브레멘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풀백.

2. 클럽 경력

지역팀 VfL 오스나브뤼크 유스 출신으로, 2020년 1월 SV 베르더 브레멘과 계약을 체결하면서 2020-21 시즌부터 합류했다. 분데스리가 데뷔는 2020년 11월 21일 바이에른 뮌헨전을 통해 가졌다.

이후 미드필더와 풀백을 오가며 뛰다가 2021년 1월 16일 루드비그 아우구스틴손의 부상으로 아우크스부르크전에 처음으로 선발 출전했고, 1골 1어시로 맹활약하면서 2:0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

2021-22 시즌에는 레귤러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2022년 2월에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7월 16일, 재계약을 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청소년 대표팀은 독일을 대표해 U-21 팀에서 2경기를 뛰었다.

하지만 성인 대표팀은 청소년과 달리 나이지리아를 선택해, 2025년 5월 유니티컵[2] 명단에 포함되어, 유니티컵 결승전인 자메이카전에 출전해 데뷔전을 가졌다.

2025년 9월 월드컵 예선 명단에도 나이지리아 대표팀에 소집되었지만, 두 경기 모두 벤치만 지키고 출전하지 않았다.

4. 여담

  • 나이지리아 혈통을 가진 독일인이다.

5. 같이 보기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SV 베르더 브레멘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SV 베르더 브레멘 2025-26 시즌 스쿼드
등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올리비에 드망 Olivier Deman
3 파일:일본 국기.svg DF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4 파일:독일 국기.svg DF 니클라스 슈타르크 Niklas Stark
5 파일:독일 국기.svg DF 아모스 피퍼 Amos Pieper
6 파일:덴마크 국기.svg FW 옌스 스타게 Jens Stage
7 파일:벨기에 국기.svg FW 사무엘 음방굴라 Samuel Mbangula
8 파일:독일 국기.svg DF 미첼 바이저 Mitchell Weiser
9 파일:독일 국기.svg FW 케케 토프 Keke Topp
10 파일:독일 국기.svg MF 레오나르두 비텡쿠르 Leonardo Bittencourt
11 파일:독일 국기.svg FW 저스틴 은진마 Justin Njinmah
13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GK 칼 헤인 Karl Hein
14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센느 리넨 Senne Lynen
1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W 마르코 그륄 Marco Grüll
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F 로마노 슈미트 Romano Schmid
2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F 이사크 한센오뢰엔 Isak Hansen-Aarøen
2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훌리안 말라티니 Julián Malatini
23 파일:스위스 국기.svg DF 이삭 슈미트 Isaac Schmidt
2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MF 파트리스 초비치 Patrice Covic
25 파일:독일 국기.svg GK 마르쿠스 콜케 Markus Kolke
27 파일:독일 국기.svg DF 펠릭스 아구 Felix Agu
28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스켈리 알베로 Skelly Alvero
29 파일:독일 국기.svg FW 살림 무사 Salim Musah
30 파일:독일 국기.svg GK 미오 바크하우스 Mio Backhaus
31 파일:독일 국기.svg DF 카림 쿨리발리 Karim Coulibaly
3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DF 마르코 프리들 Marco Friedl 주장
33 파일:독일 국기.svg DF 믹 슈메트겐스 Mick Schmetgens
34 파일:독일 국기.svg MF 웨슬리 아데 Wesley Adeh
35 파일:독일 국기.svg FW 레온 오피츠 Leon Opitz
37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GK 스테판 스마칼레프 Stefan Smarkalev
39 파일:독일 국기.svg DF 막시밀리안 뵈버 Maximilian Wöber
40 파일:토고 국기.svg MF 디케니 살리푸 Dikeni Salifou
구단 정보
회장: Dr. 후베르투스 헤스그루네발트 / 감독: 호르스트 슈테펜 / 홈 구장: 베저슈타디온
출처: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1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b9f4b>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A매치 출장 / 득점 소속팀
GK 1 아데바요 아델레예 Adebayo Adeleye 2000.05.17 1 / 0 파일:그리스 국기.svg 볼로스 FC
16 아마스 오바소기 Amas Obasogie 1999.12.27 0 / 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싱기다 블랙 스타스 FC
23 스탠리 은와발리 Stanley Nwabali 1996.06.10 23 / 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파 유나이티드 FC
DF 2 올라 아이나 Ola Aina 1996.10.08 48 /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
3 브루노 오녜마에치 Bruno Onyemaechi 1999.04.03 17 / 0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FC
5 윌리엄 트루스트에콩 파일:주장 아이콘.svg William Troost-Ekong 1993.09.01 81 / 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콜루드 클럽
6 치도지에 아와지엠 Chidozie Awaziem 1997.01.01 34 / 1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낭트
12 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 Bright Osayi-Samuel 1997.12.31 25 /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버밍엄 시티 FC
13 벤자민 프레드릭 Benjamin Fredrick 1999.04.03 5 / 0 파일:벨기에 국기.svg FCV 덴더르 EH
21 캘빈 배시 Calvin Bassey 1999.12.31 33 /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22 펠릭스 아구 Felix Agu 1999.09.27 1 / 0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
MF 4 윌프레드 은디디 Wilfred Ndidi 1996.12.16 66 /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식타스 JK
8 프랭크 오니에카 Frank Onyeka 1998.01.01 33 /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렌트포드 FC
14 피사요 델레바시루 Fisayo Dele-Bashiru 2001.02.06 9 /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17 알렉스 이워비 Alex Iwobi 1996.05.03 87 / 1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18 크리스탄투스 우체 Christantus Uche 2003.05.19 3 /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20 라파엘 오녜디카 Raphael Onyedika 2001.04.19 17 / 1 파일:벨기에 국기.svg 클뤼프 브뤼허 KV
FW 7 아데몰라 루크먼 Ademola Lookman 1997.10.20 31 /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9 빅터 오시멘 Victor Osimhen 1998.12.29 42 / 26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
10 톨루 아로코다레 Tolu Arokodare 2000.11.23 6 /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1 사무엘 추쿠에제 Samuel Chukwueze 1999.05.22 47 /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15 모지스 사이먼 Moses Simon 1995.07.12 84 /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FC
19 시리엘 데셀스 Cyriel Dessers 1994.12.08 10 / 3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02일
}}}}}}}}}}}}}}} ||




[1] 좌우 모두 소화한다.[2] 나이지리아, 가나,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등 런던 이주민들이 많은 국가들끼리 대결하는 친선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