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14:45:09

팔라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창작물 등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팔라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팔라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팔라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창작물 등 동음이의어: }}}[[팔라딘(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팔라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팔라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landfealty.jpg
팔라딘 롤랑에게 뒤랑달을 하사하는 샤를마뉴 - 중세 무훈시에 수록된 삽화 中

1. 개요2. 역사

1. 개요

팔라딘(paladin)이란 본래 카롤루스 대제를 섬기는 12명의 기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좀 더 영어 발음에 가깝게 '팰러딘'이라고 적는 때도 간혹 있다.

역사적으로는 왕의 친위대인 고위 궁정 기사를 의미하고 있으나, 문학이나 게임에서는 을 섬기며 교회의 가르침을 따르는 기사를 뜻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에는 아예 이 후자 쪽 이미지로 정착되어, 주로 '성기사'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2. 역사

팔라딘은 프랑스 이야기에서 샤를마뉴의 궁정 내 가장 뛰어난 전사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단어는 《롤랑의 노래》 등 초기 무훈시에서 처음 발견되며 유럽에 진출한 사라센인에 맞서는 기독교적 용맹을 대변하는 존재이다.

프랑스 이야기가 기본적으로 778년 롱세보 고개 전투나 8세기 프랑크 왕국우마이야 칼리파조의 충돌 같은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삼기는 하지만, 현대에 널리 알려진 팔라딘 개념이나 관련 이야기, 심상(image) 등은 거의 전적으로 후대 창작이다.

'팔라딘(paladin)'의 어원은 로마의 팔라티누스(palatinus) 언덕이다. 이 언덕은 전설상 고대 로마를 건국한 로물루스 형제가 늑대와 함께 발견된 곳으로 전해지며, 역사적으로도 도시국가에서 영역 국가로 성장하기 전까지 로마 시의 핵심적인 신전들이 위치한 곳이었으며 이후에도 주로 황제나 귀족들의 궁전이 위치하였던 것으로 유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착안하여 궁전이나 성역을 뜻하는 단어들이 파생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영어 Palace나 독일어 Pfalz가 있고, 로마 제국 시기 황궁을 관리하는 황제의 측근도 팔라티누스로 불렸다. 궁재(Maire du palais)나 궁정백(Pfalzgraf) 등 궁전에 관한 다른 용어도 여기서 파생하였다. 이러한 개념이나 어휘는 서로마 제국의 붕괴 후에도 그곳에 자리잡은 여러 게르만계 왕국에 계승되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이미지는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종전 로마 제국의 근위대인 프라이토리아니를 해체한 후 이 언덕의 이름을 따서 친위기병대 스콜라이 팔라티나이(Scholae Palatinae)를 명명한 바 있고[1] 이것과 궁정 내 무장가신으로서의 기사의 심상(image)이 상기한 궁재나 궁정백 등 궁정 관료의 어휘와 결합하면서 중세 문학 속 개념이 탄생하였다.

프랑크 왕국이 교황에 의해 새로운 서로마로 선포되자 프랑크의 국왕 직속 기병대원에게 이러한 명칭이 사용되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당대 유명한 기사의 무훈을 기리는 롤랑의 노래 등에 등장하는 샤를마뉴의 12기사 이야기가 만들어진다. 이들은 궁정에서 기거하며 왕을 수호하였다. 카롤루스 왕조 프랑크 왕국이 해체된 후에도 동프랑크 왕국을 거쳐 새로이 서로마 제국으로 불리게 된 신성 로마 제국이나 서프랑크 왕국을 계승한 프랑스 왕국을 위시한 유럽 각국에서는 군주를 가까이에서 모시는 궁정 기사나 교회를 수호하는 고위 기사 및 귀족에게 팔라딘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특히 로마 교황청에서는 수도자가 아닌 평신도 기사 중 교황의 명을 받아 교황청을 수비하거나 재판을 실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즉, 이단심문관(인퀴지터) 역시 상당수는 팔라딘이었다. 비록 중세에서 근대로 다가갈수록 유럽의 봉건 사회가 해체되고 교황의 힘도 점차 약해지면서 그 영향력은 물론 교황령 자체도 줄어들어 팔라딘의 권한이 줄어들었으며, 르네상스 이후 전술의 변화로 기병보다 보병이 중시되어 교황청의 실질적인 방위를 담당하는 주력이 스위스 용병으로 바뀌면서 팔라딘의 필요성 자체가 점차 줄었으나, 팔라딘 조직 자체는 평신도로 이루어진 군사 조직으로서 교황청 방위를 담당하는 한 축으로 존속하였다. 리소르지멘토로 인해 교황령이 영토 국가의 자격을 상실한 뒤에도 팔라딘 조직은 존속했으나 더 이상 교황령이 상비군 부대를 대규모로 보유하는 것은 곤란해진 관계로 팔라딘 대원들은 평시에는 각자의 생업에 종사하고, 훈련이나 긴급 상황 때 동원되는 예비군 형태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무렵에도 교황을 무시하던 베니토 무솔리니가 교황청의 독립성을 무시하고 합병을 시도했을 때, 팔라딘은 스위스 근위대와 함께 총포로 무장한 채 교황청을 포위한 이탈리아군과 대치했으며, 이들의 죽음을 각오한 기세와 국제 여론의 악화, 국내 가톨릭 신도들의 반발에 눌린 무솔리니가 꼬리를 내리는 것으로 이 사건은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2차대전 이후 교황청의 예산 문제와 대외적으로 평화주의를 내거는 현대 가톨릭의 이미지상 군사 조직의 보유 필요성이 적어진 점, 라테라노 조약으로 이탈리아의 침공 위협 자체가 사라진 점, 교황령이 협소하여 팔라딘을 모집하여 군사 훈련을 시킬 공간상의 여건이 안 되는 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예비군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실질적 기능은 거의 상실하였어도 상기한 전통에 따라서 19세기까지 공적이 많은 이들에게 명예로운 호칭으로서 팔라딘의 칭호가 내렸고, 한 세기 뒤에는 제2차 세계 대전아돌프 히틀러의 심복 헤르만 괴링도 히틀러로부터 팔라딘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현재도 이 단어는 이러한 역사성에 근거해 간혹 궁정 기사라는 뜻으로 쓰인다.
[1] 이 부대는 1081년 디라키움 전투에서 노르만족 군대에 전멸하기 전까지 엘리트 기병대로서 존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