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8b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68b3> 나고야선 계통 | <colcolor=#212529,#e5e5e5>1000・1010・1200・1201・1230・1400・1430・1810・2000・2013・2050・2430・2610・2800・5200・5800・9000・1A・1B | ||||||
오사카선 계통 | 1220・1230・1400・1420・1422・1430・1620・2410・2430・2610・2800・5200・5800・5820・8810・9020・9200・1A・1B | |||||||
나라선 계통 | 1020・1230・3200・3220・5800・5820・8000・8400・8600・8800・8810・9020・9200・9820・8A | |||||||
미나미오사카선 계통 | 6020・6200・6400・6600・6620・6820・6A | |||||||
고립노선 / 이관노선 | ||||||||
특급형 | 12400・12410・12600・15200・15400・16000・16010・16200・16400・16600・19200・20000・21000・21020・22000・22600・23000・26000・30000・50000・80000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킨테츠 8A계 전동차 近鉄8A系電車 Kintetsu 8A series (EMU)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용도 |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4량 1편성 | ||||
운행노선 | | ||||
도입시기 | 2024년 ~ 생산 중 | ||||
제작사 | 킨키차량 | ||||
소유기관 | 킨키 일본 철도 | ||||
운영기관 | |||||
운행 개시 | 2024년 10월 7일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 20,720㎜ | |||
전폭 | 2,800㎜ | ||||
전고 | 4,110㎜ | ||||
궤간 | 1,435㎜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운전보안장치 | 킨테츠형 ATS | ||||
제어방식 | 미쓰비시제 VVVF-Hybrid SiC | ||||
동력장치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6.31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1] | ||||
운행최고속도 | 운행 노선에 따라 다름 | ||||
MT 비 | 2M 2T |
1. 개요
킨키 일본 철도에서 노후 차량의 대차를 목적으로 도입한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0년 킨테츠 9020계 전동차의 개발 이후 24년 만에 새로 출시된 통근형 전동차이다.
킨테츠 차량 중 최초로 차량 번호에 알파벳이 들어간 차량이다.
2. 특징
곡선 승강장에 대응하기 위해 킨테츠 최초로 차량에 안전발판을 설치하였다.# 해당 안전발판은 출입문 개폐와 연동된다.[2]또한 이전에 나왔던 9020계, 9820계 등의 시리즈 21 차량처럼 구형 차량과의 병결 호환을 위해 브레이크 지령을 해석하는 장치가 있다. 다만 나라선 계열 9020계, 9820계와 달리 한신선 직통운행은 염두에 두지 않았기 때문에 한신선 대응 설비는 탑재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