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14:21:02

킨테츠 8A계 전동차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68b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Kintetsu_Wlogo.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68b3> 파일:KT-E.svg파일:KT-K.svg파일:KT-L.svg파일:KT-M.svg
나고야선 계통
<colcolor=#212529,#e5e5e5>100010101200・120112301400143018102000・2013205024302610・28005200580090001A1B
파일:KT-D.svg파일:KT-J.svg파일:KT-M.svg
오사카선 계통
1220・1230140014201422・1430・16202410・24302610・28005200580058208810902092001A1B
파일:KT-A.svg파일:KT-B.svg파일:KT-G.svg파일:KT-H.svg파일:KT-I.svg
나라선 계통
1020・123032003220580058208000・8400・8600・880088109020920098208A
파일:KT-F.svg파일:KT-N.svg파일:KT-O.svg파일:KT-P.svg
미나미오사카선 계통
6020・620064006600662068206A
파일:KT-C.svg파일:Yoro.svg파일:Iga.svg
고립노선 / 이관노선
200260600700070207700
특급형 12400・12410・1260015200・1540016000・160101620016400166001920020000210002102022000226002300026000300005000080000 }}}}}}}}}
파일:Kintetsu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킨테츠 8A계 전동차
近鉄8A系電車
Kintetsu 8A series (EMU)
}}}
파일:20240930_105158.jpg
외부
차량 정보
용도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4량 1편성
운행노선 파일:KT-B.svg 교토선·카시하라선
파일:KT-A.svg 나라선, 파일:KT-H.svg 텐리선
도입시기 2024년 ~ 생산 중
제작사 킨키차량
소유기관 킨키 일본 철도
운영기관
운행 개시 2024년 10월 7일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20,720㎜
전폭 2,800㎜
전고 4,110㎜
궤간 1,435㎜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운전보안장치 킨테츠형 ATS
제어방식 미쓰비시VVVF-Hybrid SiC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어비 6.31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1]
운행최고속도 운행 노선에 따라 다름
MT 비 2M 2T
}}}}}}}}} ||
1. 개요2. 특징3.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Gz_IgMHbkAAQNQ1.jpg
킨키 일본 철도에서 노후 차량의 대차를 목적으로 도입한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0년 킨테츠 9020계 전동차의 개발 이후 24년 만에 새로 출시된 통근형 전동차이다.
킨테츠 차량 중 최초로 차량 번호에 알파벳이 들어간 차량이다.

2. 특징

곡선 승강장에 대응하기 위해 킨테츠 최초로 차량에 안전발판을 설치하였다.# 해당 안전발판은 출입문 개폐와 연동된다.[2]

또한 이전에 나왔던 9020계, 9820계 등의 시리즈 21 차량처럼 구형 차량과의 병결 호환을 위해 브레이크 지령을 해석하는 장치가 있다. 다만 나라선 계열 9020계, 9820계와 달리 한신선 직통운행은 염두에 두지 않았기 때문에 한신선 대응 설비는 탑재되어 있지 않다.

3. 관련 문서



[1] 억속제동 포함[2] 미니신칸센과 한국의 일부 일반열차에 설치된 선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