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린다드로메우스 Kulindadromeus | |
학명 | Kulindadromeus zabaikalicus Godefroit et al., 2014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목 | †조반목Ornithischia |
계통군 | †합치류Genasauria |
계통군 | †신조반류Neornithischia |
속 | †쿨린다드로메우스속Kulindadromeus |
종 | |
|
복원도 |
[clearfix]
1. 개요
중생대 쥐라기 후기 북아시아에서 서식한 원시 조반목 공룡. 속명은 '쿨린다[1]의 질주자'라는 뜻이다.2. 연구사
2014년에 이 공룡이 신종으로 발표되면서 학계의 이목을 끈 것은 이 공룡에게서 솜털 형태의 원시 깃털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위의 복원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꼬리와 사지 말단을 제외한 모든 부위가 원시 깃털로 덮여 있다. 쿨린다드로메우스의 깃털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첫 번째는 몸통과 목, 머리를 덮는 머리카락처럼 생긴 필라멘트 깃털이었다. 이 깃털의 최대 길이는 3cm였으며 수각류 시노사우롭테릭스의 솜털과 비슷했다. 두 번째는 앞다리 윗부분과 허벅지에 난 깃털로, 1.5cm까지 자라는 필라멘트 6~7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필라멘트 그룹들은 각각 서로 접촉하지 않는 육각형 밑판(baseplate)들에 박혀 있었다. 세 번째 유형은 종아리 윗부분에 난 2cm 길이의 깃털들로, 각 깃털은 리본처럼 생긴 구조 6~7개가 모여서 만들어졌다. 이 리본형 구조는 약 10개의 작은 필라멘트들로 구성되어 있었다.이보다 훨씬 뒤에 나타나거나 후속 분류군에 속하는 다른 공룡들[2]에게서는 꼬리나 몸 일부 부위에 빽빽한 강모 형태의 털이 나타나 있는 것에 반해, 이 공룡의 털은 4~5가닥씩 한 뭉탱이로 뭉쳐 있어 마치 솜털처럼 보인다. 그리고 깃털이 나지 않은 부위의 경우 꼬리부분에는 악어의 골편과 비슷한 비늘이 보이며, 뒷발목 윗부분은 도마뱀 같은 인룡류의 비늘처럼 겹쳐져 있다.[3] 이 공룡의 발견으로 인해 이후에 나타나거나 후속 분류군에 속한 초식공룡들에게서 보이는 비늘들은 발생이 억제된 깃털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용반목과의 공통 조상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3. 기타
고생물 팬층 사이에서 소소하게 인기를 끌고 있다.[4] 2014년 당시 고생물학계는 스피노사우루스에 관한 새로운 학설, 드레드노투스와 아토포덴타투스의 발견, 50년 만에 본 모습이 밝혀진 데이노케이루스 등으로 시끌벅적했는데, 이 공룡도 솜털 형태의 원시 깃털이 발견된 최초의 조반류 공룡이었으며 깃털의 배열 방식도 독특했으니 학술적 중요성을 고려하면 저들에게 전혀 꿇릴 게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른 공룡들이 2015년 이후로 새로운 발견들에 밀려 회자되지 않는 상황에서 쿨린다드로메우스에 대해서는 일부 팬들이 돌잔치를 열어주었다.2016년에 방영된 프랑스의 3부작 고생물 다큐멘터리 'Les Mondes Perdus'[5]에 출연하였다.
고생물학자 박진영 박사는 쿨린다드로메우스를 보고한 논문이 공개되기 이전에 본인의 석사 과정 당시 연구를 위해 벨기에의 박물관에 가서 파스칼 고데프로이트(Pascal Godefroit) 박사를 만났다가 화석을 보았다고 한다. 고데프로이트 박사는 재미있는 화석을 보여줄테니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하였는데, 당시 박진영 박사는 깃털의 흔적을 보고 수각류냐고 물었더니 고데프로이트 박사가 조반류라는 사실을 밝히자 그날 상당히 충격을 먹었으며, 이런 사실을 접하고 누군가에게 밝히지 않아야 해서 힘들었다고 한다. #
[1] Kulinda. 해당 공룡의 화석이 발굴된 지역의 이름으로, 러시아 시베리아 연방관구 자바이칼 지방에 있다.[2] 프시타코사우루스와 티안유롱 등이 있다.[3] 전혀 무관한 수각류 공룡인 유라베나토르의 꼬리도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4] 이 공룡이 발견된 지방의 문장에 그려지기도 했다.[5] 영어권에선 'A New Prehistory' 또는 'Ancient Earth'라는 제목으로 수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