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f2023> | 한국수자원공사 자회사 |
케이워터기술 | 케이워터운영관리 |
케이워터기술 K-water Tech Corporation | |
| |
정식 명칭 |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
한자 명칭 | 케이워터技術 株式會社 |
영문 명칭 | K-water Tech Corporation |
국가 |
|
설립일 | 2021년 9월 17일 |
설립 목적 | 안정적인 물 공급 및 발전설비의 효율적인 운영 실현 |
업종명 |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대표자 | 정승용 |
모회사 | 한국수자원공사 |
주요 주주 | 한국수자원공사: 100% |
기업 분류 | 자회사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883명(2025년 3월 31일 기준) |
자본금 | 170억 원(2024년 기준) |
매출액 | 100,388 백만원(2024년 기준) |
영업 이익 | 12,984 백만원(2024년 기준) |
순이익 | 11,813 백만원(2024년 기준) |
자산 총액 | 60,157 백만원(2024년 기준) |
부채 총액 | 12,230 백만원(2024년 기준) |
미션 | 독보적 기술을 통한 안전한 물 공급 및 물 복지 증진에 기여 |
비전 | 물 관리기술을 선도하는 물산업 토탈솔루션 기업 |
소재지 | 본사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26 7층 한강유역본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만현로 143 금강유역본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유상로 47 영섬유역본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지강로 678 낙동강유역본부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상삼5길 126 |
웹 사이트 | |
케이워터기술(주) 공식 홈페이지 | |
전화번호 | |
대표 전화: 042-342-2100 |
1. 개요
한국수자원공사가 100% 전액 출자한 광역상수도 및 댐발전 시설의 점검정비를 주요 업무로 수행하는 전문기관이다.1986년 한국수자원공사 자회사로 설립되었으나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계획에 의해 2001년 민영화 됐다. 이후 민영화 장점인 원가절감 및 효율성 극대화보다, 용역화로 인한 불안한 근로조건에 따른 인력수급 및 기술력 저하, 무리한 시장 주도권 경쟁 등 발생으로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수자원시설의 유지관리 및 긴급사고 대응 능력이 하락하는 부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안정적인 대국민 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해 점검정비 시장 민간 5개사(수자원기술, 베타, 에코엔, 부경엔지니어링, 와텍) 출신 직원들로 구성된 자회사를 설립(재공영화)하여 2022년 10월 1일부터 광역상수도 및 댐·발전 시설 점검정비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다.
국가 기간시설의 예방점검 및 정비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타 공공기관으로 한국가스기술공사, 한전KPS, 코레일테크가 있으며 재공영화를 하였다는 점에서 정부의 의지가 있으면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2. 연혁
- 1986년 : 수자원시설보수 설립(한국수자원공사 자회사)
- 1994년 : 한국수자원기술공단 상호변경
- 2001년 : 민영화
- 2021년 9월 17일 : 케이워터기술(주) 설립(재공영화)
- 2022년 10월 1일 : 점검정비 사업 개시
3. 역대 대표이사
4. 사업
- 케이워터기술은 한국수자원공사 댐시설 사용권 또는 수도시설 관리권을 보유한 수자원 시설물 및 설비의 점검정비 업무(광역상수도, 다목적댐 등)를 주로 수행하며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4.1. 점검정비 및 유지보수 사업
- 상태점검 : 운영 중인 시설물의 운영 상태를 육안 및 간단 측정기로 확인
- 측정시험 : 운영 중인 시설물의 운영 상태와 경향 등을 분석
- 경상정비 : 소규모 보수, 부분적인 분해점검 및 소모성자재 교체 등의 업무
- 계획정비 : 시행부서가 업무상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 작업의뢰서를 발행하여 실시하는 정비 보수 업무
- 기술진단 : 광역상수도 및 댐 시설물의 관망·정수장·에너지 기술진단
- 분해점검 : 선제적 예방정비로 고장률 감소를 통한 안정적 전력 생산 및 설비 수명 연장을 위한 수차발전기(대수력~소수력) 분해점검
4.2. 긴급복구사업
- 광역상수도 긴급 복구 : 수도시설에서 예상하지 못한 사태로 인해 정상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없는 수도사고가 발생한 경우 정상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능 회복을 위한 필요 공사 작업
- 댐·발전 시설 긴급 복구 : 댐 및 발전 시설에서 예상하지 못한 사태로 인해 시설의 성능 또는 수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시설 보수·보강 또는 수질을 정상화하기 위한 필요 복구 작업
4.3. 건설사업
- 상수도 시설(취수장,가압장,공업용수관로,맨홀 등)의 시공, 노후관 교체, 관로 이설 등
4.4. 해외사업
- 상수도 및 발전설비 기술진단·복구, 운영관리, O&M사업 등
5. 근무 환경
- 한국수자원공사와 근무환경을 공유하므로 본사를 제외한 부서들은 대다수가 일반적인 기준에서 오지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출퇴근하려면 자차를 구매해야 하는 편이다. (대중교통으로 출퇴근 가능한 부서도 존재하나 극히 드물다.)
- 한국수자원공사 시설물을 점검,정비,유지보수하는 업무는 사무 업무보다 현장 업무 비율이 높은 편이다.시설물에 대한 당직근무 및 민원을 모회사에서 대부분 담당하므로 긴급한 사태(태풍, 수해 등)가 아니라면 워라밸이 높은 편에 속한다.
6. 노동조합 현황
- 케이워터기술 노동조합: 한국노총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