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3-11 19:11:02

천마총 야광조개국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천마총
天馬塚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추정 피장자 <colbgcolor=#fff,#1f2023>소지 마립간 · 지증왕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 백화수피제 천마도 말다래 · 죽제 금동천마문 말다래 · 천마총 관모 · 천마총 금관 · 천마총 금귀걸이 · 천마총 금동 말띠드리개 · 천마총 금동 발걸이 · 천마총 금동솟을장식 · 천마총 금동장식 재갈 · 천마총 금동투조 말안장 앞뒤가리개 · 천마총 금동 투조장식 재갈 · 천마총 금반지 · 천마총 금제 관식 · 천마총 금제 허리띠 · 천마총 금팔찌 · 천마총 목걸이 · 천마총 백화수피제 채화판 · 천마총 야광조개국자 · 천마총 유리잔 · 천마총 은제 용무늬 허리띠 · 천마총 자루솥 · 천마총 환두대도
}}}}}}}}} ||


파일:천마총 야광조개국자1.jpg

1. 개요2. 내용

1. 개요

1973년 경주관광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조사한 천마총에서 발견된 삼국시대 신라조개 공예품. 국자의 형태로 만든 예술품으로,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2. 내용

파일:천마총 야광조개국자2.jpg
사진 출처

파일:천마총 야광조개국자3.jpg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조개 공예품으로, 천마총 금관, 천마총 관모, 천마총 금제 허리띠,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천마총 금제 관식, 천마총 목걸이, 천마총 유리잔, 천마총 환두대도, 천마총 자루솥, 기타 귀걸이 등 다양한 금제 장신구류 및 말갖춤류, 무기류, 토기, 유리배, 각종 구슬, 다리미 등과 함께 1973년 출토되었다.

유물 제작년대는 다른 천마총 유물들과 같이 5-6세기로 추정하고 있다.

파일:천마총 야광조개국자.jpg
사진 출처 : 경주 대릉원 천마총

일본 오키나와 근해에서만 발견되는 야광조개의 껍질로 만든 것으로, 5세기 당시 신라와 일본의 교류를 확인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조개로 제작한 국자가 천마총 외에도 경주 황남대총, 금관총, 고령 지산동 고분군 등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렇게 신라 고분에서는 중국에서 주로 사용하던 앵무조개잔과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던 야광조개잔이 모두 발견되어 당시 신라가 동아시아 국제 교역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황남대총 야광조개국자와 이 천마총 야광조개국자의 경우 일본산 조개에 추가로 신라인들이 화려한 공예를 해놓았다. 오키나와 야광조개의 테두리를 수은 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한 후 국자 모양으로 둥그렇게 절단하고 표면 각질을 제거하여 연마한 후 안쪽은 우윳빛, 바깥쪽은 다양한 색상의 광택이 나게 다듬었고, 이후 황금 테두리를 제작하여, 금을 수은에 녹여 바르고 가열하기를 여러 차례 수행했다. 김종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한국과 일본의 출토 유물들을 분석한 결과 일본에서는 이 정도로 화려한 황금 조개 국자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를 볼 때 국자 형태로 가공한 야광조개를 수입한 후 신라인들이 황금과 은으로 다양한 장식을 했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신라 황남대총 야광조개 국자는 어떤 모양이었을까

5세기 신라에서 만든 야광조개국자로, 당시 신라의 국제 교역활동 및 공예술을 연구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