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차량 번호판
관련 문서: 북한/교통
1. 개요
현행 북한 번호판. 크기는 450×140이다.
북한에서 찍힌 차체에 번호판의 번호를 그대로 써 놓은 차량 사진. 왼쪽 사진의 차량은 미쓰비시 델리카 스타 웨건이며, 이런 식으로 차량 자체에 등록번호를 적는 관습은 소련 시절 군용차들로부터 답습한 것이다. 차량 파손으로 번호판을 잃거나, 흙이 묻어 번호판을 가리거나, 트레일러를 끄는 등의 이유로 번호판을 읽을 수 없을 때에도 차량을 식별할 수 있고, 교통경찰의 인력으로 단속 대부분이 행해지는 경우 멀리서도 읽기 좋다. 러시아는 2008년부터 이 방식을 정식 표기법에서 제외했지만 아직도 많은 버스들과 화물차들이 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
북한의 번호판 변천사(사진).
지역 식별이 그대로 남아있으며, 수 십년전부터 유럽과 비슷한 디자인의 번호판을 사용한다. 차량 번호에 따라 특정 신분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조선로동당 간부의 차량은 지역표기가 없거나 일반 체계와 다르다. 김씨 일가와 관련된 숫자가 적힌 번호판[1]을 단 경우도 있다.
2016년 말부터 중국 차량 번호판처럼 청색 바탕에 흰색 글씨 형식으로 바뀌었다.#
2. 1960~70년대
ㄱ2-264 |
ㄱ처럼 생긴 저 부호 다음에 차종/용도-일련번호 순으로 부여한 것 같다.
5-XXX는 택시라고 한다.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번호판이다.
1990년대까지 사용되었다고 한다.
3. 1980년대
(외)2510 |
사용 시기는 불확실하다.
위의 디자인은 주로 외국인용이었다고 한다.
4. 1992년 개정판
평남 68-366 | 외 · 398 | 황북2-933 |
개인 소유 차량. | 외국인 소유 차량 | 이륜차 번호판[2] |
평양 15-421 | 평양74-1551 | 량강 59 66 |
자가용(추정)[3] | 영업용(추정)[4] | 과학기관용으로 추정. |
이때 발급된 번호판은 규격이나 폰트 등등이 정해져 있지 않은건지
사이즈랑 폰트 사이즈가 다 다르다. 판에 스텐실로 표기만 한것도 존재하고 금형으로 찍어낸것도 존재한다. 아마 색깔만 맞춰서 발급된듯 싶다.
자가용의 경우, 개인소유가 힘들기 때문에 기관이나 당에 등록을 해놓고 이용한다. 지역명 다음에 등장하는 숫자로 그 용도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중앙당은 조선로동당 중앙당이다.
- 01 - 중앙당 본부
- 02 - 중앙당 과장, 책임지도원
- 03 ~ 06 - 중앙당 호위처
- 07 - 중앙당 대기차(각국 인사들, 중앙당 작전부, 대남 공작원 이용)
- 11 - 도/시/군 당 위원회 및 산하 기관[5]
- 12, 14 - 도/시/군 인민위원회[6]
- 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무역성 부문
- 15 - 사회안전성
- 16 - 사회안전성 직속 기관
- 17 - 도/시/군 안전부
- 18 - 국가안전보위부
- 19 - 국가안전보위부 직속 기관
- 20 - 도/시/군 보위부
- 21 - 중앙재판소, 중앙검찰소
- 22 - 중앙당 직속 차 번호(대성총국, 김일성고급당학교 등)
- 24, 25 - 제2경제위원회[7]
- 26, 27 - 선박공업 부문
- 29 - 국가계획위원회
- 30 - 국가전람사, 무역은행
- 33 - 석탄 부문
- 34 - 금속 공업 부문
- 35 - 원유, 자연 개발 부문
- 36 - 전력 공업 부문
- 38 - 농업 부문
- 45 - 철도성 부문
- 46 - 륙해운성 부문
- 47 - 여객버스 부문
- 49 - 택시 부문
- 50 - 대외봉사 부문
- 51 - 수산성 부문
- 53 - 양정 부문
- 54 - 인민봉사[8] 부문
- 55 - 내각 사무국, 항일투사 및 연고자 부문
- 56 - 우편부문
- 59 - 과학교육 부문
- 60 - 의료 부문
- 61 - 체육 부문
- 62 - 자재공급 부문
- 63 - 로동성, 보건 부문
- 64 - 근로단체(동맹) 부문
- 65 - 근로단체(사로청, 직맹[9], 녀맹) 부문
- 66 - 출판 보도 부문
- 67 - 예비 번호
- 70 - 정보산업성/택시 부문
- 72 - 합영, 합작회사 등 외화벌이 부문
- 78 - 군중 외화벌이 부문
- 80 ~ 82 - 중앙당 산하 기업소 부문
- 98 - 금수산의사당[10] 경리부
- 99 - 금수산의사당 경리부 산하 기관
외-56-02 |
외교용[11] |
이때 번호판이 대거 수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5. 2000년대
3051-0331 | ㄱ-865607 | 외 47-668 |
군용 차량 | 외교용[12] |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2자리)-(2~5자리) 에서 (2자리)-(4자리) 형식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13]
5.1. 2016년 이후
★-360 | 평양 74·1551 |
관용차량 | 2016년 개정판 [14] |
2016년도 말부터 중국식으로 교체되면서 파란색에 흰색글씨이다.
숫자 중간에 하이픈(-)대신 중국과 동일하게 •이 사용되며 판의 규격 역시 450×140으로 정해졌으며 간부의 차량은 지역 표기와 용도 구분 숫자가 없다. 또개인 자가용 차량은 노란색이며 용도 구분 숫자가 없다.(평양 0000의 형식)
지방의 경우 아직 -를 사용하는 번호판이 많이 있는데, 뒤 일련번호가 5자리인 차량도 보인다. 사례
6. 기타
유엔디피-1016 | 2·163841 | 7·27055 |
유엔 (2017~2021년)[15] | 김정일의 생일인 2월 16일이 붙은 번호판. | 새로 보급 중인 7월 27일이 붙은 번호판[16] |
금강산 1001
금강산국제관광특구에 운행하는 차의 번호판 현재는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어 사용하지 않는 걸로 추정 |
외 027•0208
외교관 차의 번호판 |
국제기구•0208
국제기구 차량 |
사회안전성 도로총국 소속 순찰차의 번호판 번호 위에 붉은 색으로 '교통안전'이라는 문구가 붙는다. |
[1] 예를 들면 김정일의 생일 날짜와 3333으로 된 번호판,727로 시작되는 번호[2] (지역)2-XXX는 북한 외무성.[3] 15-XXX는 인민보안성이라고 한다. 이외 33-XXX도 정부기관에서 쓰는듯.[4] 74-XXXX는 택시.[5] 남측으로 따지면 도 의회/시 의회/군 의회(더 정확히는 여당 지역당위원회와 비슷하나, 북한에선 어차피 조선로동당이 의회를 비롯한 모든 입법 권력을 독점하니 우리나라식 지역 의회와 비교해도 무방하다)이다. 하지만 북한 및 사회주의 국가 특성상 행정수반인 정부(도/시/군 인민위원회)보다 입법수반인 당 및 의회가 더 높은 지위를 갖는다. 고로 번호판도 인민위원회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6] 남측으로 따지면 도청/시청/군청이다.[7] 북한에서 제1경제는 인민경제, 즉 일반경제를 의미하고, 제2경제는 군수공업을 의미한다. 제2경제위원회는 북한에서 막강한 권력을 쥐고 있다.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군정치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김정은 총비서 시절인 현재에도 국방-경제병진로선 채택으로 아직도 권력이 막강한 것으로 추정된다.[8] 북한에서 '봉사'는 한국에서 '서비스'와 쓰임이 같다. 인민봉사는 대략 인민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의미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 인민봉사총국이 있다. 그곳 소속인 듯 하다.[9] 조선직업총동맹[10] 흔히 남측에서 주석궁으로 부르는 곳이다. 원래 북에서도 주석궁으로 부르다가 80년대에 이와같은 이름으로 개칭하였다. 현재는 김일성, 김정일 시체가 안치되어있는 기념궁전이다. 금수산기념궁전 -> (김정일 시체 안치 후) 금수산태양궁전으로 개칭[11] 외-56-XX는 핀란드이다.[12] 2006년 개정판이며 파란색, 노란색도 있다.[13] 예시: 평양 72-901 》평양 72-0901[14] 앞에 두자리가 차량구분 번호이다.[15] 유엔디피(UNDP)는 UN의 하부 조직인 유엔 개발 계획이다.[16] 북한에선 7월 27일이 조국해방전쟁(6.25 전쟁) 승리의 날이라 주는 듯 하다. 파란색에 흰글씨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