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본어로 절름발이, 짝짝이를 뜻하는 말의 잘못
기본적으로 절름발이, 짝짝이 등을 뜻하는 일본어 ちんば(침바/찜바/짐바)의 발음이 한국식으로 변형된 것이다. 이 단어는 현대 일본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멸칭, 차별용어로 간주된다. 한자로 쓸 때에는 跛(절름발이 파) 자를 사용하지만 일본의 상용한자가 아니므로 보통은 히라가나로 쓴다. 이하의 항목들은 여기서 비롯된 일본어 잔재계열의 은어다. 한국에서 일본어 잔재로 쓰이는 경우 원래 없었던 강세가 2음절에 붙는다. (원래 일본어에서는 두고형으로 ち가 높게 발음된다) 아래 두 항목 말고도 봉제공장 또는 봉제작업시 현장 용어로도 쓰이는데[1], 원 의미에 가깝게 짝짝이났다는 뜻에 가깝다.찐따의 어원이라는 게 정설이지만, 확실하게 판명난 것은 아니다. 찐따라는 단어 자체가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은 확실한데 해당 단어와 시기가 겹치기에 정설로 여겨지는 것.
2. 자동차등의 내연기관 트러블(엔진부조현상)을 일컫는 은어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엔진 등이 RPM 불안정 등으로 부조를 일으켜 정상 컨디션이 아닌 경우를 일컬어 '찐빠났다'로 표현한다.부조의 원인은 다양한데 기밀, 실린더 헤드, 센서(크랭크, 캠 등) 연료, 점화, ECU 등 등 계통의 손상이나 제어불가로 인해 발생된다.
3. 국군 은어
주로 해병대와 공군 부대원의 실수나 사물과 관련하여 일이나 상황이 잘못된 경우에 "찐빠났다." 혹은 부대원을 가르켜 '찐빠XX', '개찐빠'같은 용례로 사용되고 있다.좋은 의미이든 나쁜 의미이든, 엇나가지 않는 일관된 병력 및 인원 통솔의 추구는 조직 문화의 결정체인 군대에서 항상 추구하는 목표이다. 때문에 선임 등의 상급자가 보기에 조직 생활에 '절름발이'와 같은 행동을 보이는 인원은 눈엣가시이고, 이런 이들을 '찐빠'라고 일컫는 경우가 많다.
엔진부조현상처럼 '찜빠'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2] 이쪽은 변이음이 반영된 케이스. 일본어에서 ば행 바로 앞에 오는 'ん'의 음가는 'ㄴ'받침이 아니라 'ㅁ'으로 발음된다. 대표적인 예로 신문의 일본어 발음은 신부운으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지만 심부운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군인권센터의 보고서엔 대한민국 해병대 내에서 병력의 연명부 및 위치와 총기 수량를 적어둔 일명 '빽판'의 내용과 실제 내용이 불일치 하는 것을 '찐빠가 났다.'고 표현한다고 서술하고 있으나, 실은 그것뿐 아니라 해병대 내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모든 실수와 실패들에 폭넓게 사용하는 용어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군에서도 보급품 수량이나 불용상태가 전산과 맞지 않아 생기는 오류를 찐빠라고 하는 등 심심치 않게 각 군에서 자주 쓰이는 은어로 남아있다.
유래도 일본어의 잔재이고 점잖지 못한 느낌의 은어라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다. 게다가 타군에서 일제 강점기 시절의 용어 상당수가 점차 사장될 때에도 '오장'[3]이나 하리마오[4] 등까지 써가며 고수했고, 이 때문에 민간에서 이런 용어들을 쓰면 누군가는 단번에 옛날 사람이나 해병대 출신임을 눈치채게 된다.
공군에서도 쓰인다. 물품의 수량이 맞지 않을 때 혹은 배식할 음식이 다 떨어 졌을 때 '찐빠났다' 라는 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실수를 했다면 '찐빠냈냐?' 하는 식으로도 쓰인다.
대한민국 해병대를 희화화한 해병문학이 유행하면서 이 어휘를 비롯한 해병대 은어도 인터넷 언더그라운드 유행어로 재조명받고있다.
군대에서 사용하는 기타 용어들은 여기를 참조하면 된다.
4. 관련 문서
[1] 마찬가지로 찐빠, 찜빠라고 부른다.[2] 상술한 이외수의 운전경험담에서는 '속칭 찜빠'라고 언급됨.[3] 대한민국 해병대 내에서는 병사계급 말호봉을 의미한다. 어원은 일본군의 병장에 해당하는 오장. 이외에도 총대를 맨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4] 줄여서 '마오'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