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0:55:02

진해터널

진해터널
鎭海터널
Jinhae Tunnel
양곡 방면
석동IC
← - km
용원 방면
진해IC
- km →
위치
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종점: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
연장
6,085m
왕복 차로 수
4차로
관리기관
창원시
시공사
개통
2021년 3월 31일

1. 개요2. 상세3. 대중교통4.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진해산업로의 터널. 총 6,085m의 연장으로 대한민국의 일반도로 터널 중에서는 서부간선지하도로를 빼면 가장 길다.[1]

2021년 3월 31일 석동~소사간 도로의 일부로 개통됐다. 석동IC~진해IC 구간이 7.03km이므로, 이 구간은 진해터널이 사실상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포함된 터널 구간으로 길이 6,085m로

2. 상세

진해터널 주행영상

동쪽으로 남해고속도로3지선 진해IC와 연결되나 진해터널 방면으로의 진출입은 불가능하다. 더 동쪽으로는 소사교차로를 통해 웅장로와 연결되며, 더 진행하면 터널을 지나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두동지구와 용원지구, 부산신항 방향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석동IC 를 통해서 석동터널과도 연결된다.
긴 터널답게 터널 전체가 구간단속이며[2] 일반도로인데도 불구하고 워낙에 터널길이가 길다보니 터널 내부 차로가 점선으로 되어 있어, 합법적으로 터널 내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 또, 다른터널에 비해 터널 전체의 조명이 매우 밝게 되어있다.

3. 대중교통

현재 이 터널을 이용하는 버스는 없는데, 시외버스 진해-부산서부는 충분히 들어갈 수 있지만 동아여객 문서에서 볼 수 있듯 이 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신규 시장 개척 및 노선 전환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이 터널 개통으로 인해 진해-서부산 노선 경로 전환이 하단역 하차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어렵다는 핑계도 더 이상 먹히지 않게 되었다.[3]

현재 진해구 동부권(웅천동과 웅동1,2동)에서 구 창원(성산구,의창구)으로 갈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진해구청 등이 있는 진해구 중부권을지나 안민터널로 가기 때문에 거리상의 문제와 수많은 정류장으로 인한 정차로 인해 시간이 매우 오래걸린다.[4] 향후 석동터널이 개통되면 진해터널에서 자은3지구를 경유하여 석동터널을 지나 창원시청, 창원중앙역 등의 구 창원으로 빠르게 지나가는 시내버스노선들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 관련 자료 #==

4. 둘러 보기


대한민국 현재 최장 도로터널
<rowcolor=#fff> 순위 도로명 터널명 연장 비고
1 파일:Expressway_kor_60.svg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양양터널 10,965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하 순위 보기 ]
<rowcolor=#212529,#e0e0e0> 2 서부간선지하도로 서부간선지하도로 10,330m 일반도로 최장
<rowcolor=#212529,#e0e0e0> 3 파일:Expressway_kor_29.svg 세종포천고속도로 남한산성터널 8,345m
<rowcolor=#212529,#e0e0e0> 4 파일:Expressway_kor_14.svg 함양울산고속도로 재약산터널 7,982m
<rowcolor=#212529,#e0e0e0> 5 파일:Expressway_kor_65.svg 동해고속도로 문무대왕1터널 7,543m
<rowcolor=#212529,#e0e0e0> 6 신월여의지하도로 신월여의지하도로 7,530m
<rowcolor=#212529,#e0e0e0> 7 파일:Expressway_kor_600.svg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금정산터널 7,087m
<rowcolor=#212529,#e0e0e0> 8 [[77번 국도|
77
]] 원산대로
보령해저터널 6,927m 해저터널, 국도 최장
<rowcolor=#212529,#e0e0e0> 9 파일:Expressway_kor_14.svg 함양울산고속도로 신불산터널 6,466m
<rowcolor=#212529,#e0e0e0> 10 진해산업로 진해터널 6,085m
}}}}}} ||


[1] 고속도로를 포함해 가장 긴 터널은 10,965m의 인제양양터널이며, 고속도로와 유료도로를 제외하면 보령 해저터널이 가장 길다. 다시 말해 해저 터널을 제외한 무료 도료 가운데서는 진해터널이 국내에서 가장 긴 셈이다.[2] 구간단속 길이는 양방향 모두 6.9 km이며, 최고 제한 속도 80 km/h, 통과 시간은 약 5분 10초이다.[3] 정 진해구청 등 기존 노선을 유지해야 한다면 진해-서부산 무정차 노선 및 진해-서부산 진해시내경유 노선으로 분리하면 될 일이다.[4] 심지어 버스노선도 3006번 한 개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