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8:21:14

중광

중광스님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www.donga.com/382-01.jpg

1. 개요2. 생애3. 일화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1934.01.04 ~2002.03.09(세수 68세,법랍 41세)

대한민국승려이자 화가, 시인. 속명은 고창률(高昌律)이며 중광(重光)은 법명이다.

2. 생애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3살 되던 1936년 원적지였던 제주도 북제주군으로 돌아가 함덕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제주고등농림학교(현 제주고등학교)를 중퇴하였다. 이후 1960년 경상남도 양산시통도사에 출가하였다. 그러나 후술할 온갖 기행으로 결국 1979년 승적이 박탈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승복과 삭발은 계속 하고 다니는 바람에 승적이 박탈되었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다만 한국보다는 외국에서 더 유명하다. 외국에서는 한국의 피카소로 불렸다고. 그리고 리즈시절이었던 1980년대에는 시인 천상병, 소설가 이외수와 같이 기인 3인방으로 불렸다. 세 사람 다 애주가, 애연가였다는 사실은 굉장히 유명하다. 그러나 말년에는 폭음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술을 끊었고 2002년에 경기도 광주시의 기거하던 벙어리 절간에서 입적했다. 참고로 입적 이후에는 승적이 회복되었다고 한다.

3. 일화

1977년 영국 왕립 아시아 학회에 초대되어 시를 낭송했는데 이 시가 바로 <나는 걸레>이다.이 시로 인해 걸레 스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출가했었지만 온갖 기행으로 승적이 박탈되었는데 어떤 기행이었냐면… 자신의 제사를 지내거나, 성기에 붓을 매달아(…) 그림을 그리고 외국에 강연을 갔다가 여학생한테 키스를 하는 등의 기행이다. 자서전에서는 출가 이후에도 여성들과 성관계를 맺었다거나(…) 담배 피고 싶었는데 돈이 없어 화장실에서 주워도 피웠다거나 한 경험담도 적어 놓았다. 심지어는 ‘내 생활 전부가 똥이요, 사기다’라는 말까지 남겼다고 한다.

이남이이외수와도 면식이 있었다는 모양이다. 가수 이남이가 사랑과 평화 탈퇴 이후 중광 스님의 절에서 10년간 수행(?)하면서 살았었다는듯 하다.[1] 또한 윤석열 20대 대통령과도 연이 좀 있는데, 서울대 법대 재학 중이던 윤석열이 당시 광주항쟁에 대한 신군부의 유혈 진압에 대한 모의재판에서 전두환에게 사형을 구형했다가 피신 목적으로 강원도의 여러 사찰들을 전전하던 시절에 낙산사에서 마주쳤고, 윤석열이 먼저 중광을 알아보고 인사를 건넨 뒤로 중광과 함께 산사 등을 돌면서 친해졌다고.[2]#

광복 이후 대처승으로 표현되는 일본 불교의 잔재 청산[3]10.27 법난 같은 독재정권의 불교계 장악 움직임 등 불교계가 여러모로 어려운 상황에서 저런 기행을 대놓고 하고 있었으니 승적 박탈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단순히 기행만 놓고 보자면 정신나간 사람이 아닌가 생각이 들지만, 성품은 따뜻했다. 1997년에 옥시크린 싹싹 CF를 찍었었는데[4] 이때 출연료로 받은 5천만원을 모두 지인의 치료비로 기부했고, 2000년에 치러진 처음이자 마지막 작품전의 수익금도 모두 불우한 이웃에게 기부했다고. 또한 중광 스님의 지인의 말에 따르면 자신의 집에 찾아온 사람을 절대로 빈손으로 돌려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자신이 아끼는 그림도 아낌없이 내주었다고 한다.

그의 화풍을 모방한 가짜그림들이 시중에 돌아다니기 시작하자, 자기 돈으로 위작들을 사들여서 태워버리기도 했고, 아예 가짜그림을 자신이 직접 그린 진짜그림으로 바꿔주는 일도 있었다. 그가 평생 동안 그린 그림은 대략 300여점으로 추정되는데, 그보다 훨씬 많은 숫자의 가짜그림이 현재도 유통되고 있다.

1985년에 수필 <허튼소리>를 냈으며[5] 1986년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어 제작은 화풍흥업에서 맡았다. 그러나 당시 공연윤리위원회의 무자비한 사전검열로 작품이 완전히 난도질되면서 흥행과 비평 양쪽 모두 실패했고, 감독인 김수용은 분노하여 영화활동을 쉬기도 했다.[6] 1988년 금성사에서 편집본을 바탕으로 VHS 비디오테이프를 냈다가 2003년 스펙트럼DVD를 통해 복원판 DVD로 나왔다. 정동환 주연에 최불암구상 시인, 정진천상병 시인 역으로 카메오 출연했고, 명창 공옥진 여사도 카메오로 등장한다. 싱어송라이터 김수철이 음악 제작에 참여했다.

1990년 개봉된 <청송으로 가는 길>에도 출연했다.

4. 같이 보기



[1] 그리고 절을 나와서 이외수와의 대화를 통해서 결성된 밴드가 춘천지역의 로컬밴드였던 철가방 프로젝트였다.[2] 참고로 윤 대통령은 불교 신자가 아니다.[3] 다만, 이 부분은 대한불교 조계종에서의 대처승 내몰기 과정에서 과장한 게 컸다.[4] 표백제 광고다. 별명이 걸레 스님인 것과 연관지어 광고효과를 노렸다.[5] 서음출판사(현 서음미디어)에서 발간, 2012년 복간.[6]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김대중 정부 시기 공윤의 후신인 영등위 초대 위원장으로 재직하여 2002년 제한상영가 제도 시행과 온라인게임 사전등급분류제 시행 등으로 예술계로부터 비난을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