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45:20

조셉 베얼

<colbgcolor=#003458><colcolor=#fff> 조셉 베얼
Joseph Beyrle
파일:Joseph_Beyrle.jpg
출생 1923년 8월 25일
미국 미시간주 머스키건
사망 2004년 12월 12일 (향년 81세)
미국 조지아주 토코아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직업 군인
최종 계급 하사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생애
2.1. 제2차 세계 대전2.2. 종전 후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 제101공수사단, 그리고 노농적군 소속으로 독소전쟁에 참전했다.

2. 생애

2.1.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일 제101공수사단 소속으로 낙하 후 홀로 떨어지게 된 상태로 독일군의 추격을 피해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도와 생마리뒤몽에 설치된 발전소를 폭파하는 사보타주를 행하다가 결국 독일군에게 생포되어 Stalag III-C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여기서 총 세 번 탈출을 시도했는데 첫 번째엔 당시 모은 동료들과 함께 탈출 후 기차역에서 폴란드 쪽으로 가는 기차를 타려다 실수로 베를린 가는 기차를 타서 발각되어 잡혔고 두 번째에는 독일어가 서툴러 전원이 스파이로 오인당해 잡혀 버렸으며[1] 세 번째에서야 동료를 모두 잃고 홀로 탈출해 살아남았다. 그 과정에서 소련군이 독일 영토로 점점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알았으며 탈출 후 농가에 숨어 있다가 T-34 특유의 디젤엔진 소리를 듣고 소련군 기갑부대 앞으로 겁도 없이닥돌까서는 럭키 스트라이크 담배를 손에 쥔 채 두 손을 들고 자신의 소속을 밝혔다.
이때 그를 맞이하러 나온 건 다름아닌 인류 역사상 최초의 여성 전차장 "알렉산드라 그리고리예브나 사무센코( Александра Григорьевна Самусенко)"였다.[2]
그는 즉각 Американский Товарищ!(미국인 동무!)라고 외쳤고 이를 들은 사무센코는 흔쾌히 그를 받아주었는데 그렇게 소련군에 들어가자 상층부의 배려인지 갓 창설된 대대에 배치되어 M4A2을 수령했고 그걸로도 모자라 자기가 갇혀 있던 수용소로 부대를 직접 끄집고 가선 손수 수용소를 해방해 버리는 심히 드라마틱한 전과를 올렸다. 거기다 탈출 과정에서 바르샤바 코앞까지 간 건지 바르샤바 해방 메달도 받았다.[3]
전쟁 중 자신의 직속상관인 사무센코의 남편이 전사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이를 사무센코에게 보고한 것도 그였다. 이후 그는 급강하폭격기의 공습에 부상당해 고주프 비엘코폴스키 시의 야전 병원으로 긴급 후송되었는데 의식이 없었을 때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직접 병문안을 왔고 치료 후 모스크바의 주소련 미 대사관을 통해 본국으로 복귀한 후 퇴역했다.[4]
이때 전사로 되어 있던 자신의 기록을 생존으로 고쳤고 복귀한 지 2주 뒤 고향 미시간에서 종전을 맞이하였다.

2.2. 종전 후

1946년 결혼식 때는 2년 전 전쟁 당시 자기 관을 화장했던 목사가 주례를 섰다고 한다. 그는 전후 28년간 브런즈윅 사에서 선적 감독직에 종사하면서 여생을 보냈으며 2004년 12월 12일 조지아주 토코아에서 생을 마쳤다.
그가 수여받은 2차대전 전승 메달과 퍼플 하트와 바르샤바 해방메달, 프랑스의 무공 십자훈장 1939~1945(Croix de Guerre 1939–1945), 적기훈장 등은 1994년 디데이 50주년 기념식 때 빌 클린턴보리스 옐친백악관에서 만나 수여받은 것이다.


[1] 게슈타포가 처형하려 들었으나 그들의 상관들이 그들이 전쟁포로라는 사실을 알고 게슈타포 소관이 아니라고 하여 살았다고 한다.[2] 그녀는 스페인 내전겨울전쟁에 참전해 보병소대원으로 살아남고도 군에 남아 전차학교를 졸업한 뒤 2차대전 중 6호 전차 티거 1량을 박살내고 적기훈장을 타낸 전투의 달인이었다. 이후에도 T-34를 몰다가 말기엔 IS-2까지 몰았으며 이 과정에서 티거 두 대를 더 잡았고 조셉 베얼 하사를 만날 때는 이미 대대장이었다.[3] 이는 그가 비스와-오데르 대공세의 극초반 파트인 바르샤바 전투에 참전했다는 의미다.[4] 그로부터 한 달 조금 안 되는 시간이 지난 뒤 사무센코는 야간작전 중 아군 전차에 시야불량으로 인해 깔려 죽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