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13:13:46

조선콤퓨터쎈터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4080><tablebgcolor=#ffffff> 조선콤퓨터쎈터 ||
정식 명칭조선콤퓨터쎈터
영문 명칭Korea Computer Center (KCC)
설립일1990년 10월 24일
설립자김정일 (지시)
국가북한
소재지평양시 만경대구역
업종정보기술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IT 서비스
주요 사업운영체제 개발 (붉은별),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인공지능 연구, IT 인력 양성

1. 개요

북한의 대표적인 정보기술(IT) 연구개발 기관이자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1990년 10월 24일 김정일의 지시로 설립되었으며, 평양시 만경대구역에 본부를 두고 있다. 북한 내 IT 기술 개발과 보급, 인력 양성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역사

  • 1990년 10월 24일: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평양에서 설립. 초기에는 주로 외국 기술 도입 및 연구, 기초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했다.
  •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자체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며, 리눅스 기반의 자체 운영체제인 붉은별 개발에 착수했다. 또한, 워드
프로세서, 백신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 2010년대: 모바일 운영체제 개발 및 스마트 기기용 앱 개발에도 진출했으며, 해외 지사를 통해 소프트웨어 수출 및 외화벌이를 시도하기도 했다.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로 인해 해외 활동은 크게 위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 현재: 북한의 정보화 정책을 뒷받침하는 핵심 연구개발 기지로서의 역할을 지속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 분야 연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 조직

KCC의 정확한 내부 조직 구조는 외부에 상세히 공개되지 않았으나, 여러 산하 연구소와 개발 센터, 생산 단위, 교육 기관 등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형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 정보기술연구소: 핵심 기술 연구 및 개발 담당.
  • 소프트웨어개발센터: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게임 등 각종 소프트웨어 개발.
  • 정보보안 관련 부서 (추정): 사이버 보안, 암호화 기술 등 연구.
  • 하드웨어 관련 부서: 삼지연 등 일부 하드웨어 조립 및 연구 (제한적).
  • 교육센터: IT 전문 인력 양성.

4. 주요 활동 및 개발

4.1.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붉은별 (Red Star OS) - 리눅스 기반의 자체 데스크톱 및 서버용 운영체제.
  • 오피스 스위트: '서광 오피스' -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포함.
  • 번역 프로그램: 다국어 번역 지원 소프트웨어.
  • 음성인식 및 문자인식 (OCR): 관련 기술 및 소프트웨어 개발.
  • 교육용 소프트웨어: 다양한 학습용 프로그램 및 콘텐츠.
  • 기타 유틸리티: 파일 관리, 시스템 관리 등 각종 도구.

4.2. 하드웨어

  • 태블릿 컴퓨터: 삼지연, '아침' 등 (주로 해외 부품을 수입하여 조립 및 개조하는 형태).
  • 기타 정보통신 기기 관련 연구 및 제한적인 생산.

4.3. 기타

  • IT 기술 표준화 연구.
  • IT 전문 인력 양성 및 재교육.
  • (과거) 소프트웨어 수출 및 IT 아웃소싱을 통한 외화벌이 사업.

5. 논란

  • 북한의 해킹 연루 의혹: KCC 또는 그 산하 조직, 관련 인력들이 북한 정권의 지시를 받아 국제적인 사이버 공격, 해킹, 금융 탈취 등 불법적인 사이버 활동에 관여하고 있다는 의혹이 미국 등 서방 정보기관 및 보안 업계로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KCC가 개발한 기술이나 양성한 인력이 이러한 활동에 동원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북한 당국은 이러한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 기술의 폐쇄성 및 감시 목적 활용: 붉은별 OS를 비롯한 KCC 개발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의 파일 접근 기록 추적, 스크린샷 자동 저장, 외부 콘텐츠 차단 등 주민 감시 및 통제를 위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는 분석 결과가 있다. 이는 기술이 주민 통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저작권 침해 논란: 개발한 소프트웨어 중 일부가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위반하거나 상용 소프트웨어의 디자인 등을 무단으로 도용했다는 지적이 있다.

6. 외부 링크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