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02:16:06

제이슨 허드슨


파일: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로고.svg
블랙 옵스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D: WAW C. 밀러 이병
(미 해병대)
로벅 병장
(미 해병대)
디미트리 페트렌코 이병
(소련 육군)
빅토르 레즈노프 중사
(소련 육군)
COD: BO 알렉스 메이슨 대위
(미 해병수색대 / CIA SAD / SOG)
프랭크 우즈 상사
(미 해병수색대 / CIA SAD / SOG)
제이슨 허드슨
(제101공수사단 / CIA)
빅토르 레즈노프
COD: BOCW
(스포일러)
러셀 애들러
(CIA)
페르세우스
COD: BO6 윌리엄 "케이스" 칼데론
(CIA / 로그 블랙옵스)
러셀 애들러
(CIA / 로그 블랙옵스)
제인 해로우
(CIA)
트로이 마셜
(CIA / 로그 블랙옵스)
COD: BO2 데이비드 메이슨 소령
(DEVGRU / J-SOC)
마이크 하퍼 원사
(DEVGRU / J-SOC)
라울 메넨데즈 프랭크 우즈
COD: BO7 데이비드 메이슨

라울 메넨데즈
COD: BO4 사반나 메이슨
(CIA/블랙 아웃 프로젝트팀)
제시카 메이슨
(미군/복제인간)
스페셜리스트 라울 메넨데즈
(복제인간)
COD: BO3 플레이어 제이콥 헨드릭스 존 테일러 스포일러
캠페인 기준으로 서술. }}}}}}}}}

<nopad> 파일:hudson bo6.jpg
제이슨 허드슨
Jason Hudson
출생 1932년 3월 26일[1]
워싱턴 D.C.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제101공중강습사단
CIA SAC/SOG
신체 조건 183cm, 95kg
등장 작품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
성우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에드 해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드 해리스}}}{{{#!if 출력 != null
}}}}}}]]
(BO1), 마이클 키튼(BO2), 에드워드 보스코(BO4), 피오트르 마이클(BOCW)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이노우에 카즈히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노우에 카즈히코}}}{{{#!if 출력 != null
}}}}}}]]
(BO1, 2)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황창영|{{{#!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황창영}}}{{{#!if 출력 != null
}}}}}}]]
(BOCW)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300><colcolor=#ffffff> 생존 여부 사망 (K.I.A.)
사망 원인 라울 메넨데즈의 펜던트에 의해 목이 그어짐.
향년 57세
날짜와 장소 1989년 12월 20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나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나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1. 개요2. 작중 행적3. 여담

1. 개요

파일:external/l9a1ps3.yolasite.com/477708-call-of-duty-black-ops-windows-screenshot-this-is-hudson-he.jpg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의 주요 등장인물.

CIA 소속.[2] 아무래도 영화배우 제이슨 스타뎀의 패러디 캐릭터인 듯. 알렉스 메이슨과 마찬가지로, 선글라스를 낀 상태에서는 성우 에드 해리스와 상당히 비슷한 외모와 분위기를 갖고 있다.

제101공중강습사단[3] 소속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4] 1955년(23세) 전역했다. 제대 후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심리학과정치학과복수전공했다. 졸업 직후 지도교수와 O.S.S. 현장요원에게 추천서를 받고 CIA에 채용되었다. 고지능자로서 전술을 세우는 데 매우 유용했으며 전투요원으로서도 매우 훌륭했다. 1963년(31세) 알렉스 메이슨의 담당관이 된다.

레즈노프 중사가 핏줄기 하나하나까지 뜨겁게 끓어오르게 만드는 간지폭풍 캐릭터였다면 제이슨은 냉철하고 차가운 이미지의 간지폭풍 캐릭터. 메이슨의 말에 의하면 얼음같이 차가운 남자 (ice cube).[5] 냉정하고 쌀쌀맞은 사람이지만 메이슨은 그래서 허드슨이 자기 마음에 들었다고 한다.

다만 CIA라는 소속과 특유의 차갑고 냉철한 이미지 때문에 다른 동료들에게 여러모로 무시당하는 듯. 토우로 탱크들을 다 잡은 후, 휴이 헬기를 타고 내려오는 보우먼과 베트남에서 처음 만났을 때 급하게 자기 소개를 했지만 보우먼은 우즈와 함께 다른 데로 빠지고 무시당한 허드슨은 황망한 표정을 짓는다.

우즈의 경우에는 처음 허드슨과 만났을 때에는 대놓고 못마땅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허드슨의 활약을 보고 미션의 종반부에 "그냥 샌님인 줄 알았더니.. 아주 잘하고 있군 !" 이라며 허드슨을 다시 보기도 한다.

여담으로 등장하는 시리즈마다 성우가 유지되는 일 없이 모두 다르다.

2.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이슨 허드슨/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이슨 허드슨/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이슨 허드슨/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여담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Jason_Vietnam_BO.png
눈에 난 큰 흉터를 가리기 위해서인지 내근상황에서는 대부분 선글라스를 끼고 다닌다. 단 넘버스, WMD 미션 로딩중에 나오는 허드슨의 인텔과 마지막 미션에서 선글라스를 쓰지 않은걸로 보아 전투상황땐 벗고 활동한다. 게다가 마지막 미션 전, 메이슨이 방송 근원지를 알아냈을 때 말 없이 선글라스를 낄 때는 폭풍간지.

힘도 상당하신지 리버스 미션에서 저항하던 메이슨을 권총 손잡이로 내리쳐서 한 방에 기절시키고, 야만타우 산맥의 중계소에서 사람 손목만한 전선을 아무렇지도 않게 잡아 뜯어버리는데다가, 심문실의 커다란 TV를 두 손으로 가볍게 쓰러뜨리고, 클라크 박사를 유리 조각을 입에 넣은 뒤 펀치 두 방으로 클라크가 모든걸 발설하게 만든다. 심지어 S.O.G 미션에서는 월맹군 한 명을 총이 아닌 오로지 펀치와 발차기로 제압한다.

덧붙여 게임 초기화면에서 숨겨진 트리거 발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에 허드슨의 아이디로 접속[6]을 하면 그가 일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와이프가 이혼하자고 편지를 보낸 것을 알 수 있다. 블랙 옵스 2 캠페인 중 '나와 함께 고통받아라' 에서 자식이 2명 있으니 안된다며 당시 메이슨을 죽였다는 충격으로 말도 하지 못하던 우즈에게 흐느끼는데, 이혼한 후에 재혼하고 늦게나마 얻은 자식들인듯 하다. 약한 모습을 보인 것도 이해가 되는 일. 그리고 메인 화면에서 좀비모드로 들어갈 경우 좀비가 돼서 심문실 유리벽을 두드린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 시점에서는 죽은 지 오래라 직접적인 등자은 없지만 블랙아웃 프로젝트를 통해 아키타입으로 부활했다.
[1] 1960년 기준으로 28세, 1986년 기준으로 54세.[2] CIA 소속임에도 최전방에서 활동하는 것을 보아 SAD 소속일 확률이 높다. 당시 SOG 내부에 SAD 요원이 상당수 있었다. 실제 인텔에도 SAD 소속이라고 적혀 있다.[3] 사실 이 부분은 고증오류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공수부대는 82사단,11사단 둘뿐이며 101사단은 2차대전 종전후 잠시 해체 되었다.[4] 6.25 전쟁이 1953년에 휴전협정이 맺어졌으니 전쟁이 한창중이던 1952년이나 막바지인 1953년 초에 들어왔을 수도 있다.[5] 여담이지만 이 아이스 큐브는 보우맨의 성우 이름이기도 하다.[6] 비밀번호: bryant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