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New Rise Gangwon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ACTIVE | Nodunal ]] | RIOORI ]] |
insane ]] | Phoenixpark ]] | ||
ERNL 참가팀 로스터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New Rise Gangwon insane | |||
정예종 | |||
출생 | 1999년 8월 31일 ([age(1999-08-31)]세) | ||
국적 |
| ||
ID | 인세인 # LokeN # | ||
포지션 | 올라운더 (탱커, 브루저, 평타 원거리 딜러 등) | ||
소속 |
| ||
관련 링크 | |||
플랫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오버워치 프로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경력 상금 | $2,214 USD (₩3,166,483 KRW) | |
ID | Crazy | ||
포지션 | DPS | ||
주 영웅 | |||
소속 | Legend Young Beyond (2018.03.?? ~ 2018.04.01) We Love Gaming KR (2018.04.01 ~ 2018.06.??) Monster Shield KR (2018.06.20 ~ 2018.10.07) White Whale Incheon eSports (2019.12.10 ~ 2020.02.24) | }}}}}}}}}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이자 現 이터널 리턴 프로게이머.2. 상세
개인방송 플랫폼에선 [안녕난예종]이란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독 프로게이머들과 친분이 많은 사람이기도 하다. 그래서 부계정 닉네임인 'LokeN'도 로컨과 친했기에 지은 닉네임이며, 이 때문에 잘 알려지기 전까진 「짭컨」이라 불렸다.[1]지금은 피닉스박이 창단한 New Rise Gangwon의 멤버로 자리잡아 잘 알려진 인기선수로 발돋움했으며 더불어 플랫폼 이름인 안녕난예종마더 덩달아 유명해졌다. 마스터즈 시즌 6에서 경악할만한 플레이 미스를 보여준 적이 많았는데 그럴때마다 「안녕난XX」로 개조당해 불려왔다. 그중에서 제일 유명한건 '안녕난VLS'로 VLS를 타다 수풀 근처에 불시착하자마자 수풀에 숨어있던 적에게 순식간에 전멸당할 뻔한 플레이 미스다.[2]
인세인의 역할은 박종우의 그림자로 박종우가 스트리머 활동으로 대회에 나오지 않게 될 때마다 그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고 있다. 그래서 종없종이 될때마다 그가 직접 평타 원거리 딜러 포지션을 맡는다.
리우리와 원래부터 친해서 그런지 자주 장난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어느 정도냐면 리우리 방송에 가서 가끔씩 뭘 해달라고 한다.
==#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시절 #==
2018년엔 오픈 디비전 2018 시즌 2 - 퍼시픽 대회에 청석고겐지 명의로 프로로 데뷔한다. 프로 닉네임인 Crazy는 그 다음 대회에서 쓰이게 된다. 이후, 팀을 여러곳 전전하다가 2~3군 프로게이머로서 경력을 마무리 하게 된다. 가장 높은 티어 리그는 A-티어[4]의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시즌 2에서 'Monster Shield KR'로 뛰었을 때다.
당시 오버워치의 리그는 프로게이머 양성을 위한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예선전)부터 시작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승강전)을 거쳐 오버워치 컨텐더스(본선)에 진출한다. 여기서 퍼시픽은 동남아시아(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으로 2부 지역에 해당된다. 크레이지는 즉, 동남아시아 쪽의 리그를 뛰다 한국의 리그를 도전했지만 그 도전이 쉽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folding ▼ 오버워치 대회 성적 펼치기 / 접기
Crazy | |||||
날짜 | 순위 | 티어 | 대회 | 획득 상금 | |
2018년 5월 20일 | 1위 | C티어 | Open Division 2018 Season 2 - Pacific | - | |
2018년 5월 27일 | 1위 | B티어 | Overwatch Contenders 2018 Season 2 Trials: Pacific | $25.20 | |
2018년 7월 22일 | 패배 | 시범경기 | Flash Ops Tokyo 2018 Summer - Exhibition Match | - | |
2018년 9월 14일 | 3위~4위 | A티어 | Overwatch Contenders 2018 Season 2: Pacific | $13,712 | |
2019년 12월 12일 | 4위 | 위클리 | OVERWATCH Korea Cup December Online Qualifier #3 | - | |
2019년 12월 13일 | 3위 | 위클리 | OVERWATCH Korea Cup December Online Qualifier #4 | $1,508 | |
2020년 2월 22일 | 9위~12위 | C티어 | Open Division 2020 Season 1 - Korea | - |
3. 플레이 스타일
그 BNK FEARX를 상대로 3:1 탱킹하며 라인을 유지하는 모습 |
카르페 디엠 시절에는 브루저, 탱커 느낌이 강했다. 특히 레녹스와 얀을 많이 플레이했는데 얀의 경우, 호잇의 레니와 함께 쓰였다. 참고로 이 시절에 나온 명장면이 플레임을 협곡으로 보내버린 그 스프링 트랩.
TangleDabiX에 와선 박종우의 그림자 역할을 자처해서 담당하고 있다. 그래서 종있종과 종없종일 때의 포지션이 달라지는데 종없종일 때엔 평원딜을 많이 한다. 나딘, 하트, 리오, 카티야까지 가리지 않고 쓰는 편인데 반대로 종있종의 경우에는 자신이 벤치 멤버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우와 같이 뛰게 되면 레셀칼(레녹스, 시셀라, 칼라) 조합을 들고 탱커 포지션을 맡아 직접 오더한다.
다른 실험체도 평균 이상으로 잘하지만, 특히 레녹스로 적을 그랩해오는 능력과 적 진영을 휘젓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러나 인세인이 탱커를 서게 되면 노던알이 벤치 멤버로 전환되기 때문에 메인 오더를 인세인이 도맡아야 하고, 비교적 안정적이고 기본 운영이 뛰어난 노던알의 메인 오더를 쓸 수 없게 되어 약간 계륵 같은 상황이 되어버린다.
플레이 스타일은 상당히 공격적이되 집중력 있는 킬 결정력을 지녔다. 이른바 박종우의 상위호환 격 플레이어지만, 저점 또한 박종우보다 약간 나을 정도로 처참하게 나오는 경우가 더럿 있어 큰 아쉬움을 보여준다.[5] 그런 아쉬움을 보여줘도 고급 매물이란 점은 변함없는데, 실제로 종없종으로 마스터즈 시즌 6에서 준결승전까지 올라갔기 때문.
호소력 있는 콜을 잘한다. 콜 포지션만 따지면 설다비 포지션. 설다비 또한 자신만의 교전각을 보고서 팀원에게 호소력 있는 콜을 자주했는데 인세인도 이와 비슷하게 한다. 다만, 개인의 교전각보단 전체적으로 적 팀의 불리한 시점을 읽고서 교전 콜을 호소력 있게 전달한다. 본래 노던알의 콜은 조용한 편이었는데 인세인의 콜 방식을 배웠는지 인세인이 없는 종있종 조합일 땐 노던알이 직접 호소력 있는 교전콜을 할 때도 종종 생겼다.
4. 대회 경력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1 LCQ 오픈 슬롯 그룹 스테이지 C조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페이즈 1 예선 그룹 스테이지 A조 6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페이즈 2 예선 그룹 스테이지 D조 8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2 페이즈 3 예선 그룹 스테이지 D조 4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페이즈 2 예선 그룹 스테이지 C조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페이즈 3 와일드 카드전 7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LCQ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1 예선 그룹 스테이지 A조 3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2 본선 그룹 스테이지 A조 7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3 예선 그룹 스테이지 A조 6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LCQ 5등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1 녹아웃 6 5등
- 이터널 리턴 슈퍼컵 준결승전 8등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2 녹아웃 6 5등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준결승전 7등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7 페이즈 1 녹아웃 스테이지 1 7등
5. 사건사고
- 이터널 리턴에서 특정 집단에 속한 유저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 일명, 컴퍼니라고 불리는 디스코드 집단인데 이들은 직급을 나눈 뒤, 친목질을 통해 최고등급인 이터니티까지 보내주는 집단이다. 근데 보내주는 방식이 터무니 없는데 같은 큐에 같은 컴퍼니에 속해있는 두 개의 팀이 있다면, 2팀이 일부러 1팀에게 죽어주는 어뷰징 행위까지 서슴치 않는다.
- 2023년에 직접 커뮤니티 사이트에 글을 올려 해당 문제를 공론화하였고, 컴퍼니에 속한 유저들을 대거 영정시켰다.#
- 이게 얼마나 심하냐면 본인이 가만히 있어도 본계정/부계정으로 저격 및 트롤이 들어온다고 한다. 이때문에 랭크를 올리기 힘들다며 불만을 토로한 적이 있었다.
6. 여담
- 최근 들어 상당히 광기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으엑!!"이라던가 "엑윽!!" 같은 단말마를 스크림 도중, 아무 이유 없이 내뱉어서 '안녕난악악', '안녕난엑엑'이란 별명도 함께 생겨났다.[6]
- ERNL 리그를 뛸 준비를 해야하기에 본인이 직접 뉴라이즈 강원의 디스코드를 관리하거나 내셔널 팀 패키지를 준비하는 등, 사실상 매니저의 역할을 자처해서 하고 있다. 디스코드 관리자로 이터널 리턴 터줏대감 스트리머, 농담지를 뽑았음에도 어쩐지 예종이 더 발품을 팔고 다니는 느낌이 강하다.
- 이터널 리턴 방송인들 중에선 제일 행동력이 높아 종겜 합방을 모으는 역할을 많이 맡고 있다.
- 항상 리우리와 함께 스크림 송출 방송을 키는데 리우리가 너무 인기가 많은 나머지, 안녕난예종 방에서 시청하는 시청자 수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 은근 병약한 느낌이 있다. 스크림을 할때마다 기침을 하는 모습을 은근 자주 볼 수 있다.
- 딱 한번, 캠방을 한 적이 있다. 겟 투 워크 방송을 하면서 캠을 켰었는데 팬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후로 캠을 킨 적은 없다.
[1] 게다가 로컨이랑 많이 붙어있어서 로컨+짭컨으로 부르기에도 안성맞춤인 것도 있었다. 예종, 인세인은 나중에 알려진 케이스.[2] 당연히 음지에 써먹을 법한 개조도 있다. '안녕난콘돔'으로 하트를 픽하고선 기본 특성을 들어버린 바람에 부 특성에 불굴, 견고가 들려져 버렸기 때문. 이때 정예종의 소감은 "어쩐지 딜이 안 나오더라."[3] 청석고라는 이름 때문에 고향을 청주 내지는 충청도권 출신으로 점치고 있다.[4] 글로벌 이벤트를 제외하고 가장 큰 상금과 최고의 팀이 참여하는 각 지역의 최고 리그. 참고로 리오는 S티어인 오버워치 리그를 뛰었다.[5]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렇기에 더더욱 박종우의 그림자 포지션에 걸맞는다는 의견도 있다. 만약 이 자리에 로컨이 나온다고 가정해보자. 누가 S급 평원딜 자리를 꿰찰 수 있겠는가.[6] 당연하지만 이 단말마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면 곤란하다. 그냥 내는거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