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21212 0%, #4f5054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등장인물 · 평가 · 시대 재현 · 실제 역사와 비교 |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정도전 이성계 · 이인임 · 최영 · 정몽주 · 이방원 | ||
주요 인물 주변 인물 | ||
<colbgcolor=#676767><colcolor=white> 정도전 측근 | 최씨 부인 · 득보아범 · 남은 · 윤소종 | |
이성계 측근 | 신덕왕후 · 이방우 · 이방과 · 이방석 | |
이지란 · 무학대사 · 배극렴 · 조준 · 권근 | ||
이방원 측근 | 하륜 · 원경왕후 · 조영규 · 이숙번 | |
고려 지배층 | ||
고려 왕실 | 우왕 · 정비 안씨 · 공양왕 | |
권문세가 | 임견미 · 염흥방 · 박가 | |
신진사대부 | 이색 · 박상충 · 이숭인 | |
군부 | 변안열 · 조민수 | |
기타 | ||
인물 | 양지 |
1. 개요
예전 대하사극들의 절반이 채 안 되는 분량이다 보니 제작진이 출연해야 할 인물들을 가급적 줄이고 있다. 당대의 네임드였던 문익점, 최무선 같은 사람들도 극중 별 비중이 없으니 아예 안 나오며,[1] 방의, 방간, 신의왕후 한씨나 정도전의 아들들처럼 주요 인물들과 관계가 있는 사람들도 극중 비중이 없으면 그냥 생략되고, 조민수처럼 제법 비중이 있는 사람들도 그 비중이 생기기 전까지는 안 나왔다.본래 주요 인물 6명 외에는 독립 문서가 개설되지 않았는데, 우왕을 시작으로 분량이 많아진 인물들이 하나 둘 독립되었다.
- ☆ 표시는 역사에 없는 창작 인물을 뜻한다.
2. 주요 인물
3. 주요 인물의 주변 인물
정도전(드라마)의 주요 인물인 정도전, 이성계, 이방원의 주변 인물들을 다루었다.최영, 이인임, 정몽주의 주변인물인 경우 고려 지배층 부분의 각 세력 항목에 정리되어 있다.
그 외 해당 문서 참고.
4. 고려 지배층
고려 왕실 세력, 권문세가, 신진사대부, 고려 군부, 그 외의 고려 지배층 인물들이 정리되어 있다.그 외 해당 문서 참고.
5. 기타 인물
거평 부곡민 등 고려 백성과, 외국의 인물들이 정리되어 있다.- 보수주인 일가
그 외 해당 문서 참고.
[1] 최무선이 네임드로 활약하던 시점은 드라마에서 10회에서 건너뛴 6년 동안에 있었던 일이고, 문익점은 정도전이 이인임에게 반대하다가 귀양간 시기와 토지개혁 이야기가 나오던 시점, 그리고 드라마보다 더 이전 시점인 공민왕 초중기를 제외하면 계속 벼슬을 떠나서 목화에 신경쓰고 있었기 때문에 드라마 스토리에 끼어들 여지가 별로 없다.[2] 드라마 태종 이방원(드라마)에서는 최종환이 맡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중종과 정몽주 역을 맡은 것이 임호와 최종환의 유일무이한 공통점이 된다.[3] 이방원의 경우 취급이 애매하며, 주요 인물 중 다른 다섯 명과 달리 공식 사이트에 독립 소개가 없고 '이성계의 사람들' 란에 정리되어 있다. OP 주요 스탭롤도 이방원이 나오는 버전과 나오지 않는 버전 두 가지가 있어서 이따금씩 혼자만 빠지고는 한다. 하지만 역사에서 최후의 승자이자 조선건국시점 부터 극 중심은 철저히 이방원 위주로 가기 때문에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없는 핵심 중 핵심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