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23:54:17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 분야 자격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기기능사 (필기 · 실기)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기사 (필기 · 실기)
전기공사기사
발송배전기술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전기응용기술사
전기기능장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 ||

전기공사산업기사
電氣工事産業技士
Industrial Engineer Electric Work
중분류 201. 전기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시험
2.1. 필기
2.1.1. 과목 면제
2.2. 실기2.3. 여담
3.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전기분야 산업기사급 자격증 시험.

전문대 졸업 학년 때부터 /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라면 2학년 과정을 마친 이후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전기전자공학과 등의 전기공학 계열 전공자들이 응시한다. 이외에도 응시 자격이 세부적으로 나뉘는데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 게시된 응시자격 항목을 참고하자.

2. 시험

필기와 실기 총 2번의 시험을 본다.

2.1. 필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기공사기사 문서
4.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기기사/필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의 필기와 대동소이하다.

필기시험은 총 5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객관식 4지선다 택일형으로, 과목당 20문항에 30분의 시간이 주어진다. 100점 만점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산업기사부터는 과락제도가 적용되기때문에 만약5과목중 점수가 40점 미만으로 나온 과목이 하나라도 있다면 다른 과목이 만점이라 하더라도 무조건 과락으로 인한 불합격이니 주의.

전기 분야 특유의 난해함 때문에 난이도가 높기로 유명하니 비전공자가 독학으로 준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모든 과목이 대학교 전기전자공학 커리큘럼을 압축한 구조라 상당한 수준의 지적 능력과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1]그 정도 머리라면 자격증 공부가 아니라 뭘 해도 잘한다. 특히, 비전공자라면 자신의 전공 과목이 아닌 새로운 분야의 전공 과목을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의를 통해 기본 이론들을 준비하는 것은 필수. 실제 큐넷에서 발표한 2017년 자료에 따르면 필기 응시자 중 독학생들이 가장 많지만, 합격률은 17.6%로 가장 낮다. 반대로 가장 높은 합격률을 기록한 것은 인터넷 강의를 통해 준비한 수험생들.[2] 사실 호기롭게 독학으로 준비했다가 실패를 맛 보고 인강이나 학원을 통해 재도전하는 케이스가 많은 편이다.

1과목 당 30분이 주어지니 5과목 전부 응시했다면 150분 동안 문제를 풀 수 있으며[3] 과목별 40점 이상 득점 및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내면 합격이다.

각 과목에 대한 상세설명은 전기공사기사 문서 참조.

아래는 전기공사산업기사 효율적인 학습순서 및 공부방법
회로이론 전력공학 전기기기 전기응용 전기설비기술기준

* 회로이론: 전기의 바탕이 되는 과목으로, 필기 전 과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회로이론으로 입문하여 기초를 탄탄히 쌓는 것이 좋다. 전기공사기사 대비 제어공학이 빠졌다.
* 전력공학: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으므로, 평균점수를 높이기 위해 최소 목표를 70점 이상으로 높게 잡는 것이 좋다.
* 전기기기: 이해 중심으로 학습해야 하는 과목이므로, 사람에 따라 가장 어렵게 느낄 수 있음. 따라서 목표 득점을 60점 정도로 설정하길 권장.
* 전기응용: 시험 문항 중 과년도 기출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타 과목 대비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음.
* 전기설비기술기준 : 암기위주의 과목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학습하는 것이 좋음.

2.1.1. 과목 면제

큐넷에서 분류하는 21. 전기전자 분야에 속하는 산업기사를 실기까지 최종 합격하였다면, 2014년 이후로는 2년간 전기공사산업기사의 일부 과목을 면제 받을 수 있다. (원서접수시 과목 면제를 받을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단, 과목명이 완전히 동일해야 하며, '전기전자' 분야가 아닌 경우에는 과목면제가 불가능하다.
  • 철도신호산업기사의 신호기기가 전기기기의 내용(직류기, 변압기, 유도기, 정류기)이 들어갔다고 해서 철도신호산업기사 자격 소지자에게 전기기기가 면제가 되지는 않는다.
  • 전자산업기사의 전자기학 및 회로이론이 있다고 해서 전자산업기사 자격 소지자에게 회로이론이 면제가 되지는 않는다.
  • '안전관리' 분야인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의 2과목 소방전기일반의 경우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자기학의 내용이 등장한다. 그렇다고 해서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자기학이 면제가 되지는 않는다.

필기시험에만 해당하고, 실기시험에는 과목 면제가 없다.

2.2. 실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기공사기사 문서
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실기시험은 필답형(주관식 서술형)으로, 2시간에 걸쳐 치러진다. 100점 만점으로 60점 이상 획득하면 합격이며 과락은 없다.
실기 시험과목의 정식 명칭은 '전기설비견적 및 시공' 인데, 보통은 해당과목을 크게 '단답', '시퀀스제어', '수변전 설비', '견적' 등으로 구분한다.

전기공사기사와의 차이점은 비교적 시퀀스제어 관련 문제들이 자주 출제된다는 것이다.

2.3. 여담

합격률 통계
년도 필기 실기
응시(명) 합격(명) 합격률 응시(명) 합격(명) 합격률
1984 ~ 2000 333,381 75,660 22.7% 139,212 46,336 33.3%
2001 11,996 2,219 18.5% 4,227 1,652 39.1%
2002 10,863 2,359 21.7% 3,473 1,062 30.6%
2003 9,993 1,740 17.4% 4,024 542 13.5%
2004 8,548 1,634 19.1% 3,227 919 28.5%
2005 9,431 1,767 18.7% 2,771 932 33.6%
2006 11,133 2,424 21.8% 3,601 1,306 36.3%
2007 9,328 2,013 21.6% 3,233 1,119 34.6%
2008 8,927 1,818 20.4% 2,980 749 25.1%
2009 7,974 1,375 17.2% 2,568 1,134 44.2%
2010 8,216 1,577 19.2% 2,039 862 42.3%
2011 7,443 1,337 18% 2,295 606 26.4%
2012 7,004 1,067 15.2% 2,061 529 25.7%
2013 6,464 1,138 17.6% 2,248 321 14.3%
2014 5,955 1,280 21.5% 2,278 729 32%
2015 5,887 1,562 26.5% 2,332 484 20.8%
2016 5,676 1,501 26.4% 2,818 1,031 36.6%
2017 5,303 1,689 31.8% 2,096 281 13.4%
2018 5,139 1,480 28.8% 2,349 558 23.8%
2019 5,423 1,529 28.2% 2,421 436 18%
2020 2,918 1,124 38.5% 1,928 544 28.2%
2021 5,151 1,544 30% 1,864 712 38.2%
2022 4,713 1,396 29.6% 1,944 748 38.5%
2023 4,796 1,274 26.6% 1,642 439 26.7%


전체적인 이론은 전기기사와 동일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인강이나 학원에서는 전기기사와 함께 강의를 제공한다.[5] 물론 돈에 환장한 몇몇 곳은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를 구분하여 강의를 제공하지만, 전기기사 강의와 전기산업기사 강의를 별도로 촬영한 것도 아니고, 전기기사에서 제어공학만 뺀 동일한 강의이다. 또한 전기기사 강의를 수강 한다고 해도 전기산업기사 기출 문제는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를 구분하여 강의를 제공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6] 물론 교재는 기사와 산업기사가 서로 동일하며, 제어공학을 제외하면 기사와 산업기사 문제가 같이 수록되어 있다. 전기공사기사와 겹치는 과목은 공사(산업)기사 문제까지 수록돼있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이론을 어느 정도 정립한 상태라면[7] 과년도 기출문제 풀이가 큰 힘이 되지만, 이게 안된 상태에서 과년도만 달달 외우는 건 상당히 비효율적인 공부법이라는 걸 명심하자.[8] 위에 서술한 것과 같이 기출 문제가 나오긴 하지만 변형 및 꼬아버리기 때문에 이론이 부족하다면 매우 높은 확률로 풀지 못하게 되며, 당연히 신출 문제도 건드리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기기 때문. 즉, 과년도는 어떤 식으로 문제가 나오는지 감을 잡기 위한 용도라고 보는 게 맞다. 더군다나 과년도 암기 작전으로 필기를 운 좋게 통과하더라도 이론이 부족하면 필기 이론을 바탕으로 더더욱 어렵게 문제를 내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 실기에서 반드시 물을 먹고 다시 필기 이론을 공부하는 악순환에 빠지기 쉽다.[9]

3. 관련 문서




[1] 특히나 전자기학의 경우 이쪽 계열 전공자들도 이해가 어려운 과목이다. 다만, 대학 시험급으로 어렵게 나오지는 않고 유형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공대 출신에 일반물리학과 공학수학까지 공부했으면 전기 관련 자격증의 전자지학은 그나마 쉬운 편이다.[2] 24.4%[3] 1문제 당 1.5분이 주어지는 셈. 참고로 2025년부턴 1문제 당 1분으로 5과목 응시 기준 100분으로 시험 시간이 크게 줄어들 예정이다.[4] 단, 1과목 30분간 치러지므로 1/2 초과시간인 15분에는 퇴장할 수 없다.[5]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공사(산업)기사만 구분을 한다. 이마저도 전기자기학과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의 한 과목만 차이나고 나머지 4과목은 필기면제를 해주는 과목이라 아예 커리큘럼을 같이 묶어 놓은 곳도 많다.[6] 물론 전기산업기사만 준비하는 경우, 제어공학이 빠진 만큼 수강료가 싸지기 때문에 조금 더 저렴하게 수강 할 수 있지만,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최종목표는 전기기사이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다만 전기기사 응시 자격이 없다면 지금 들어도 최소 1년 뒤에나 응시가 가능한지라 기억하고 있을지가 문제긴하다. 뭐 그 사이에 꾸준히 기사 공부를 하면 되긴하지만...[7] 예를 들어 전기전자공학 전공자.[8] 특히 비전공자들이 이러는 경우가 많은데 생각을 바꾸는 걸 강력 추천한다.[9] 정말 최악의 상황이라면 2년 간 주어지는 실기 시험 응시가능 기간을 넘겨버려 다시 필기를 따야 하는데, 실제로 이런 고난을 겪는 수험생들이 은근히 많다.

분류